보행은 교통의 시작과 끝을 구성하며 교통체계 전반의 효율성을 좌우하는 매우 기본적인 이동수단으로 인간의 이동과 관련된 가장 기초적인 통행단위이다. 그러나, 과거 우리나라는 자동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98365
부산 :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부산대학교 경제통상대학원 , 글로벌정책전공 , 2019. 2
2019
한국어
388.1 판사항(23)
부산
vi, 63 장 : 삽화 ; 30 cm
지도교수: 이상철
참고문헌: 장 55-56
I804:21016-00000013838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보행은 교통의 시작과 끝을 구성하며 교통체계 전반의 효율성을 좌우하는 매우 기본적인 이동수단으로 인간의 이동과 관련된 가장 기초적인 통행단위이다. 그러나, 과거 우리나라는 자동차...
보행은 교통의 시작과 끝을 구성하며 교통체계 전반의 효율성을 좌우하는 매우 기본적인 이동수단으로 인간의 이동과 관련된 가장 기초적인 통행단위이다. 그러나, 과거 우리나라는 자동차 위주의 교통정책 추진으로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보행환경은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최근 보행자 중심의 교통정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부산광역시에서도 편리하고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을 위해 보행환경 실태조사 및 시설정비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생활도로의 열악한 보행환경 등 보행교통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보행교통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부산광역시 생활도로를 대상으로 보행환경 실태조사를 통해 생활도로의 문제점과 보행환경개선사업의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생활도로의 보행권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젊음의 거리’ 보행환경개선사업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정량적 지표의 분석 결과 차량 보행환경개선사업 후 교통량은 개선사업 전에 비해 16.1% 감소하였고 차량의 통행속도도 8.3% 감소하였으며,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역시 35.1%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불법주정차대수는 개선사업 후 오히려 98.1%로 크게 증가하여 보행환경개선사업의 효과를 하락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정성적 지표의 분석 결과 보행환경개선사업 후 보행환경개선에 대한 이해도는 146.8%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보행안전성에 대한 인식은 64.3%, 보행이동성에 대한 인식은 63.8%, 보행쾌적성에 대한 인식은 52.4% 각각 개선되어 보행환경개선사업에 대한 종합 만족도는 69.0%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보행환경개선사업은 보행환경의 개선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안전과 이동편의에 긍정정인 영향을 주었으며, 보행환경개선지구에 대표성 및 상징성을 부여하여 보행유발요소로 작용함으로써 방문객을 증가시키고 나아가 지역경제의 활성화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부산광역시 생활도로의 보행권 확보를 위해서는 첫째, 생활도로의 교통특성에 따라 시간대별로 차량의 진입을 제한하거나 진입 가능한 차량의 종류를 지정하는 등 부분적 차량통행 제한하는 교통정책의 추진이 필요하다. 둘째, 보행자와 차량의 물리적 분리를 최우선으로 하되 도로폭이 매우 좁아 보행자와 차량이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없는 생활도로에서는 차량의 속도를 저감하여 보행자와 차량이 혼재된 상태에서도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교통정책의 추진이 필요하다. 셋째, 생활도로의 불법주차를 방지하기 위해 노외 주차공간의 우선적인 확보와 더불어 거주자우선주차구역 등 노상주차시설을 정비하여 지정된 장소 외에는 불법주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책방향을 설정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보행자와 차량을 물리적으로 분리하기 어려운 도로폭이 8m 미만의 주거지역 및 상업지역 이면도로 전체를 생활도로구역으로 편입시키거나, 위 기준을 만족할 경우 별도의 생활도로구역 지정 없이도 차량의 제한속도를 30km/h로 낮출 수 있는 보행자 안전 중심의 교통정책도 도입되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