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남방언 비모음화의 지리적 분포 =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owel Nasalization in Jeonnam Dial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23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realization of vowel nasalization in Jeonnam dialect was examined by the lower dialects, and based on this, it was interested in identifying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vowel nasalization in Jeonnam dialect. The research also found that vowel nasalization by ‘ㄴ’ and ‘ㅇ' are being actively realized in the dialects regardless of the conditions of the internal-morpheme and boundary.
      I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owel nasalization in Jeonnam dialect, which has been confirmed by the research, it seems difficult to pinpoint the direction of its innovation and diffusion at the moment. However, in the case of the Boseong regional language, which belongs to the southeastern dialect area of South Jeolla Province, the two types of vowel nasalization are hardly realized, confirming the peculiarity that the wave of innovation of the vowel nasalization has yet to be reached. It was also noted that in the case of Gwangyang, which belongs to the northeastern dialects, it is possible to consider whether these linguistic features were due to geographical features belonging to the transitional area of the southeastern dialects, the region where vowel nasalization is the most active among the dialects of the Korean dialects.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realization of vowel nasalization in Jeonnam dialect was examined by the lower dialects, and based on this, it was interested in identifying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vowel nasalization in Jeonnam dialect. The research also fou...

      In this study, the realization of vowel nasalization in Jeonnam dialect was examined by the lower dialects, and based on this, it was interested in identifying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vowel nasalization in Jeonnam dialect. The research also found that vowel nasalization by ‘ㄴ’ and ‘ㅇ' are being actively realized in the dialects regardless of the conditions of the internal-morpheme and boundary.
      I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owel nasalization in Jeonnam dialect, which has been confirmed by the research, it seems difficult to pinpoint the direction of its innovation and diffusion at the moment. However, in the case of the Boseong regional language, which belongs to the southeastern dialect area of South Jeolla Province, the two types of vowel nasalization are hardly realized, confirming the peculiarity that the wave of innovation of the vowel nasalization has yet to be reached. It was also noted that in the case of Gwangyang, which belongs to the northeastern dialects, it is possible to consider whether these linguistic features were due to geographical features belonging to the transitional area of the southeastern dialects, the region where vowel nasalization is the most active among the dialects of the Korean dial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전남방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모음화 실현 양상을 하위 방언권별로 대조하여 살피고, 이를 토대로 전남방언의 비모음화가 지리적으로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확인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그 결과 전남방언에서도 비자음 ‘ㄴ’과 ‘ㅇ’에 의한 비모음화가 형태소 내부에서와 경계라는 조건과 무관하게 상당히 활발하게 실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확인된 전남방언의 비모음화의 지리적 분포에서 당장은 그 개신과 확산의 방향을 정확하게 포착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전남의 동남부 방언권에 속하는 보성 지역어의 경우 두 종류의 비모음화가 거의 실현되지 않음으로써 비모음화의 개신파가 아직 도달하지 않고 있다는 특이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동북부 방언권에 속하는 광양 지역어의 경우, 다른 지역어들보다 가장 넓은 실현 범위를 차지하고 있음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방언적 특징이 국어 방언권 가운데 비모음화가 가장 활발한 지역인 동남방언과의 전이 지대에 속하는 지리적 특성에서 비롯된 것은 아닐까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전남방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모음화 실현 양상을 하위 방언권별로 대조하여 살피고, 이를 토대로 전남방언의 비모음화가 지리적으로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확인하는 ...

      본 연구에서는 전남방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모음화 실현 양상을 하위 방언권별로 대조하여 살피고, 이를 토대로 전남방언의 비모음화가 지리적으로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확인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그 결과 전남방언에서도 비자음 ‘ㄴ’과 ‘ㅇ’에 의한 비모음화가 형태소 내부에서와 경계라는 조건과 무관하게 상당히 활발하게 실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확인된 전남방언의 비모음화의 지리적 분포에서 당장은 그 개신과 확산의 방향을 정확하게 포착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전남의 동남부 방언권에 속하는 보성 지역어의 경우 두 종류의 비모음화가 거의 실현되지 않음으로써 비모음화의 개신파가 아직 도달하지 않고 있다는 특이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동북부 방언권에 속하는 광양 지역어의 경우, 다른 지역어들보다 가장 넓은 실현 범위를 차지하고 있음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방언적 특징이 국어 방언권 가운데 비모음화가 가장 활발한 지역인 동남방언과의 전이 지대에 속하는 지리적 특성에서 비롯된 것은 아닐까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희숙, "진도 지역어의 비모음화 재고" 국어학회 (91) : 3-26, 2019

      2 강희숙, "진도 방언의 /ㄴ/ 탈락 현상에 대한 고찰" 국어학회 (27) : 157-178, 1996

      3 이기갑, "전남 진도 지역의 언어와 생활" 태학사 2009

      4 정인호, "소위 ‘비모음화’ 현상의 지리적 분포와 그 성격" 우리말글학회 41 : 135-162, 2007

      5 정성훈, "서남방언의 하위방언구획과 네트워크 분석"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77) : 157-180, 2017

      6 주상대, "비모음화 현상에 대하여" 국어교육학회 16 (16): 43-62, 1984

      7 이병선, "비모음화 현상고: 경상도 방언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37․38) : 37-66, 1967

      8 곽충구, "국어국문학회 50년" 태학사 423-480, 2002

      9 이진호, "국어 비모음화(鼻母音化)와 관련된 이론적 문제" 국어학회 37 : 61-84, 2001

      10 이기갑, "국어 담화 문법" 태학사 2015

      1 강희숙, "진도 지역어의 비모음화 재고" 국어학회 (91) : 3-26, 2019

      2 강희숙, "진도 방언의 /ㄴ/ 탈락 현상에 대한 고찰" 국어학회 (27) : 157-178, 1996

      3 이기갑, "전남 진도 지역의 언어와 생활" 태학사 2009

      4 정인호, "소위 ‘비모음화’ 현상의 지리적 분포와 그 성격" 우리말글학회 41 : 135-162, 2007

      5 정성훈, "서남방언의 하위방언구획과 네트워크 분석"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77) : 157-180, 2017

      6 주상대, "비모음화 현상에 대하여" 국어교육학회 16 (16): 43-62, 1984

      7 이병선, "비모음화 현상고: 경상도 방언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37․38) : 37-66, 1967

      8 곽충구, "국어국문학회 50년" 태학사 423-480, 2002

      9 이진호, "국어 비모음화(鼻母音化)와 관련된 이론적 문제" 국어학회 37 : 61-84, 2001

      10 이기갑, "국어 담화 문법" 태학사 2015

      11 소신애, "音聲的 요인에 기반한 通時的 音韻 變化의 發生 層位 -鼻母音化 및 鼻音性 消去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169-193, 2009

      12 이병근, "方言(國語學講座 6)" 태학사 1998

      13 한수정, "‘ㄴ’ 탈락과 비모음화(鼻母音化) 연구" 어문연구학회 92 : 73-96,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2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