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라남도 방언구획을 위한 방언분화 연구(1)-음운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alect Differentiation aspects for Jeollanam-do compartment(1)-with a focus on phonological asp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23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was aimed at discussing the differentiation aspects of the phonological part of Jeonnam dialect, will eventually be written as part of the dialect compartment of Jeollanam-do. Jeonnam dialect has been perceived as a conservative dialect in eastern South Jeolla Province, while the western part of South Jeolla Province has been an open dialect. These characteristics are made under the background of the times when the natural environment interfered with language exchange. Half a century later, Jeollanam-do is experiencing a rapidly developed humanities environment and culture. As a result, the community in South Jeolla Province is undergoing many changes. Accordingly, the plan was to review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ower regional languages through the differentiation of the phonological areas of Jeonnam dialect. In addition, this article has intended to predict the flow of changes by comparing the existing differentiation aspects with those of the 21st century.
      번역하기

      This article was aimed at discussing the differentiation aspects of the phonological part of Jeonnam dialect, will eventually be written as part of the dialect compartment of Jeollanam-do. Jeonnam dialect has been perceived as a conservative dialect i...

      This article was aimed at discussing the differentiation aspects of the phonological part of Jeonnam dialect, will eventually be written as part of the dialect compartment of Jeollanam-do. Jeonnam dialect has been perceived as a conservative dialect in eastern South Jeolla Province, while the western part of South Jeolla Province has been an open dialect. These characteristics are made under the background of the times when the natural environment interfered with language exchange. Half a century later, Jeollanam-do is experiencing a rapidly developed humanities environment and culture. As a result, the community in South Jeolla Province is undergoing many changes. Accordingly, the plan was to review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ower regional languages through the differentiation of the phonological areas of Jeonnam dialect. In addition, this article has intended to predict the flow of changes by comparing the existing differentiation aspects with those of the 21st centu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전남방언의 음운 분야에 대한 분화양상을 논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최종적으로 전라남도 방언구획 설정을 위한 일환 가운데 한 부분으로 작성될 것이다. 전남방언은 전남 동부는 보수적인 방언이고, 전남 서부는 개방적인 방언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특징은 자연환경이 언어교류에 방해가 되었던 시대적 배경 아래 만들어진 것이다. 이로부터 반세기가 흐른 전라남도는 급속도로 발전된 인문환경과 문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전남의 공동체사회는 다방면에서 변화를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전남방언의 음운 분야에 대한 분화양상을 통하여 하위 지역어 간 방언차를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기존의 분화양상과 21세기 분화양상을 대조하여 변화의 흐름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전남방언의 음운 분야에 대한 분화양상을 논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최종적으로 전라남도 방언구획 설정을 위한 일환 가운데 한 부분으로 작성될 것이다. 전남방언은 전남 동부...

      이 논문은 전남방언의 음운 분야에 대한 분화양상을 논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최종적으로 전라남도 방언구획 설정을 위한 일환 가운데 한 부분으로 작성될 것이다. 전남방언은 전남 동부는 보수적인 방언이고, 전남 서부는 개방적인 방언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특징은 자연환경이 언어교류에 방해가 되었던 시대적 배경 아래 만들어진 것이다. 이로부터 반세기가 흐른 전라남도는 급속도로 발전된 인문환경과 문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전남의 공동체사회는 다방면에서 변화를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전남방언의 음운 분야에 대한 분화양상을 통하여 하위 지역어 간 방언차를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기존의 분화양상과 21세기 분화양상을 대조하여 변화의 흐름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숭녕, "李崇寧國語學選集 3" 민음사 325-411, 1988

      2 김완진, "형태론적 현안의 음운론적 극복을 위하여" 서울대동아문화연구소 (11) : 275-283, 1972

      3 최전승, "한국어방언사탐색" 역락 209-304, 2011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방언자료집Ⅰ~Ⅷ"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5 고영근, "표준 중세 구어문법론" 집문당 2010

      6 이금화, "평양 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7 홍성웅, "통신기술의 발달과 지역개발정책" 한국통신학회 1-242, 1991

      8 국립국어원, "지역어 조사 질문지" 국립국어원 2006

      9 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990

      10 이숭녕, "조선어 이화작용에 대하여" 진단학회 (11) : 1-42, 1939

      1 이숭녕, "李崇寧國語學選集 3" 민음사 325-411, 1988

      2 김완진, "형태론적 현안의 음운론적 극복을 위하여" 서울대동아문화연구소 (11) : 275-283, 1972

      3 최전승, "한국어방언사탐색" 역락 209-304, 2011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방언자료집Ⅰ~Ⅷ"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5 고영근, "표준 중세 구어문법론" 집문당 2010

      6 이금화, "평양 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7 홍성웅, "통신기술의 발달과 지역개발정책" 한국통신학회 1-242, 1991

      8 국립국어원, "지역어 조사 질문지" 국립국어원 2006

      9 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990

      10 이숭녕, "조선어 이화작용에 대하여" 진단학회 (11) : 1-42, 1939

      11 이숭녕, "접미사 ~b(p)~계의 연구: 상고어의 재구를 위한 형태론적 시고" 진단학회 (17) : 31-102, 1955

      12 이기갑, "전라남도 언어지리" 국어학회 1986

      13 이돈주, "전남방언" 형설출판사 1978

      14 이상신, "전남 영암지역어의 공시음운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15 김경표, "전남 도서 방언의 음운론적 대비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16 하신영, "전남 곡성지역어와 경남 창녕지역어의 음운론적 대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7 배주채, "음절말자음과 어간말자음의 음운론" 서울대학교 (91) : 54-69, 1989

      18 이병근, "유음탈락의 음운론과 형태론" 한글학회 (173․174) : 223-246, 1981

      19 최명옥, "월성지역어의 음운론" 영남대출판부 1982

      20 이진호, "우리말 접사의 음운론적 고찰" 우리말학회 (19) : 47-81, 2006

      21 정인호, "용천지역어와 화순지역어의 음운론적 대비연구" 서울대 2004

      22 이익섭, "영동영서의 언어분화" 서울대 출판부 1981

      23 김성규, "비자동적 교체의 공시적 기술"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3) : 26-30, 1988

      24 오종갑, "방언학과 국어학" 태학사 563-592, 1998

      25 김병제, "방언사전"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0

      26 이상규, "문화전통론집 1" 경성대학교 향토문화연구소 225-257, 1996

      27 이혁화, "무주·영동·김천 방언의 음운론적 대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28 소신애, "모음 간 ㄱ 약화・탈락에 대하여- 방언 구술 발화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방언학회 (18) : 107-146, 2013

      29 최명옥, "동남방언의 세 음소" 국어학회 (7) : 77-82, 1978

      30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언어지도" 태학사 2008

      31 송철의,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민음사 278-284, 1991

      32 이현희, "국어의 어중․어말 ‘ㄱ’의 성격에 대한 종합적 고찰" 한신대학교출판부 (4) : 225-282, 1987

      33 구본관, "국어의 시대별 변천․실태 연구 Ⅰ" 국립국어연구원 56-113, 1996

      34 소신애, "국어의 ‘p/k 교체’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158) : 101-134, 2011

      35 허웅, "국어음운학" 샘문화사 1985

      36 유창돈, "국어변천사" 통문관 1961

      37 유창돈, "국어국문학총서 3" 삼우사 1975

      38 이진호, "국어 PK-교체에 대한 종합적 고찰" 국어학회 (63) : 247-273, 2012

      39 이승재, "구례지역어의 음소체계" 서울대학교 (45) : 88-89, 1980

      40 기세관, "광양 방언의 음운론과 형태론" 배달말학회 (35) : 5-58, 2004

      41 배주채, "고흥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42 이진숙, "고흥 지역어와 진도 지역어의 음운론적 대비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43 임석규, "경북북부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44 金德鎬, "경북방언의 지리언어학적 연구"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7

      45 최명옥, "경북 동해안방언 연구" 영남대출판부 1980

      46 김봉국, "강원도 남부지역 방언의 음운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47 이익섭, "강릉방언의 형태음소론적 고찰" 진단학회 (34) : 96-119, 1972

      48 小倉進平, "朝鮮語方言の硏究" 岩波書店 1944

      49 河野六郞, "朝鮮方言學試攷" 東都書籍 1945

      50 정인호, "和順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51 김정태, "‘바위(岩)’의 통시적 변화와 방언 분포상의 특징" 한국언어문학회 (70) : 25-48, 2009

      52 이숭녕, "‘ㆍ’ 음고" 진단학회 (11) : 467-470, 194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2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