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전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의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Oral Health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j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064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has, by looking into the level of cognition towards as oral health educators and that towards water fluoridation on the subjects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identified the effects of those on the oral health organization.

      Methodology : 242 averag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5 district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by the method of Convenience Sampling to perform a survey by Personal Self-administration method. The survey looked into general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bjects and consisted of 24 items total, including teachers' perception on health care, the content of their oral health care education, and their experience on restricted activity due to oral disease.

      Results : To the importance of the oral health care, generally the number of those who consider it 'less important' was larger, and the better the teachers are educated, the more they consider it important. Attention to the oral health care was highly paid in general, and the percentile of those who are not less than 40 years old (62.4%) and that of those with the career of no-less-than 20 years (94.4%) were the largest. Generally, the level of teachers' knowledge on oral health care was low, and that of male teachers was lower than that of femal teachers. Also that of non-married teachers was lower than that of married ones, and that of most of 30~34-year-old teachers and the ones with career less than 3 years was low. In the cognition level on water fluoridation, the number of non-homeroom teachers was larger than that of homeroom teachers, however, homeroom teachers were more agreed than non-homeroom teachers. For the experience on oral health education, 83.4% of all the teachers indicated 'no experience', 63.5% considered oral health education is necessary. Also, the item of the guidance competency on oral health education indicated that 45.5% of the teachers were not qualified, and 58.9% thought it necessary to involve oral health education in the subject-matter.

      Conclusion : For fostering teachers, who might highly influenc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adequate knowledge on oral health care and for oral health care instruction on students, various oral health car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on the run.
      번역하기

      Objectives : This study has, by looking into the level of cognition towards as oral health educators and that towards water fluoridation on the subjects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identified the effects of those on the oral health organiza...

      Objectives : This study has, by looking into the level of cognition towards as oral health educators and that towards water fluoridation on the subjects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identified the effects of those on the oral health organization.

      Methodology : 242 averag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5 district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by the method of Convenience Sampling to perform a survey by Personal Self-administration method. The survey looked into general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bjects and consisted of 24 items total, including teachers' perception on health care, the content of their oral health care education, and their experience on restricted activity due to oral disease.

      Results : To the importance of the oral health care, generally the number of those who consider it 'less important' was larger, and the better the teachers are educated, the more they consider it important. Attention to the oral health care was highly paid in general, and the percentile of those who are not less than 40 years old (62.4%) and that of those with the career of no-less-than 20 years (94.4%) were the largest. Generally, the level of teachers' knowledge on oral health care was low, and that of male teachers was lower than that of femal teachers. Also that of non-married teachers was lower than that of married ones, and that of most of 30~34-year-old teachers and the ones with career less than 3 years was low. In the cognition level on water fluoridation, the number of non-homeroom teachers was larger than that of homeroom teachers, however, homeroom teachers were more agreed than non-homeroom teachers. For the experience on oral health education, 83.4% of all the teachers indicated 'no experience', 63.5% considered oral health education is necessary. Also, the item of the guidance competency on oral health education indicated that 45.5% of the teachers were not qualified, and 58.9% thought it necessary to involve oral health education in the subject-matter.

      Conclusion : For fostering teachers, who might highly influenc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adequate knowledge on oral health care and for oral health care instruction on students, various oral health car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on the ru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구강보건 교육자의 역할에 대한 인지수준과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구강보건교육의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연구방법 :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선정한 대전광역시의 5개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일반교사 242명을 대상으로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 조사내용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업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교사의 구강보건인식도,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내용 및 구강병으로 인한 활동제한 경험도 등 총 24문항을 조사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성적 : 구강건강의 중요성에 대해 전체적으로 ‘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교사가 많았고 교사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중요성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전체적으로 높았고 40세 이상의 교사(62.4%)에서와 20년 이상 근무한 교사(94.4%)에서 관심도가 가장 높았다. 교사의 구강건강에 대한 주관적 지식수준은 전체적으로 낮았고,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낮게 나타났다. 미혼인 교사가 기혼인 교사보다 지식수준이 더욱 낮게 나타났으며, 30~34세의 교사에서와 3년 미만 근무한 교사의 대부분에서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인지도에서는 비담임 교사가 담임교사 보다 높았으나, 찬성의견에서는 담임교사가 비담임 교사 보다 높았다.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경험에 대해서는 전체교사의 83.4%가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3.5%가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구강보건교육 주관적 지도능력수준에서는 교사의 45.5%가 부족한 것으로 인식했고, 58.9%는 구강보건교육을 교과내용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구강병으로 인한 일상생활 및 직장생활 지장유무에 대한 조사 결과 결혼유무, 자녀유무, 연령, 교육경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상생활 및 직장생활 지장은 기혼인 교사에서와 자녀가 있는 교사에서 높았으며, 40세 이상인 교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두 가지 모두 교사직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초등학교 학생들의 구강보건에 대해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올바른 구강보건 지식함양 및 학생 구강보건지도를 위한 다양한 구강보건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구강보건 교육자의 역할에 대한 인지수준과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구강보건교육의 효과에 어떠한 영향...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구강보건 교육자의 역할에 대한 인지수준과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구강보건교육의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연구방법 :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선정한 대전광역시의 5개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일반교사 242명을 대상으로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 조사내용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업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교사의 구강보건인식도,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내용 및 구강병으로 인한 활동제한 경험도 등 총 24문항을 조사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성적 : 구강건강의 중요성에 대해 전체적으로 ‘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교사가 많았고 교사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중요성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전체적으로 높았고 40세 이상의 교사(62.4%)에서와 20년 이상 근무한 교사(94.4%)에서 관심도가 가장 높았다. 교사의 구강건강에 대한 주관적 지식수준은 전체적으로 낮았고,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낮게 나타났다. 미혼인 교사가 기혼인 교사보다 지식수준이 더욱 낮게 나타났으며, 30~34세의 교사에서와 3년 미만 근무한 교사의 대부분에서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인지도에서는 비담임 교사가 담임교사 보다 높았으나, 찬성의견에서는 담임교사가 비담임 교사 보다 높았다.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경험에 대해서는 전체교사의 83.4%가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3.5%가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구강보건교육 주관적 지도능력수준에서는 교사의 45.5%가 부족한 것으로 인식했고, 58.9%는 구강보건교육을 교과내용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구강병으로 인한 일상생활 및 직장생활 지장유무에 대한 조사 결과 결혼유무, 자녀유무, 연령, 교육경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상생활 및 직장생활 지장은 기혼인 교사에서와 자녀가 있는 교사에서 높았으며, 40세 이상인 교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두 가지 모두 교사직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초등학교 학생들의 구강보건에 대해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올바른 구강보건 지식함양 및 학생 구강보건지도를 위한 다양한 구강보건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4
      • 1. 연구대상 4
      • 2. 연구방법 4
      • Ⅲ. 연구 성적 6
      • Ⅰ. 서 론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4
      • 1. 연구대상 4
      • 2. 연구방법 4
      • Ⅲ. 연구 성적 6
      • 1. 연구대상자의 특성 6
      • 2. 교사의 구강보건행태 8
      • 3. 교사의 잇솔질 실태 16
      • 4.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인지도 및 찬반의견 20
      • 5. 구강보건교육요구도 21
      • 6. 구강병으로 인한 활동제한 경험도 23
      • Ⅳ. 고 안 27
      • Ⅴ. 결 론 32
      • 참고문헌 3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