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스마트미디어와 정치문화 현상에 관하여 이미 사용되어 온 기능적 수량분석에서 한 걸음 나아가 보다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의미에 접근할 수 있는 질적 분석방법의 하나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51075
2011
Korean
340.1
KCI등재
학술저널
7-47(4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미디어와 정치문화 현상에 관하여 이미 사용되어 온 기능적 수량분석에서 한 걸음 나아가 보다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의미에 접근할 수 있는 질적 분석방법의 하나가 ...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미디어와 정치문화 현상에 관하여 이미 사용되어 온 기능적 수량분석에서 한 걸음 나아가 보다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의미에 접근할 수 있는 질적 분석방법의 하나가 되는 Q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은 스마트미디어와 정치문화 현상에 관하여 대학생들의 수용 유형을 유형별로 분류해서 이들 간의 특성을 알아보고 향후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된 내용은 크게 총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제1유형[(N=5): 미디어 활용형(Media Use Type)], 제2유형[(N=6): 개인적 요구형(Personal Need Type)], 제3유형[(N=10): 정보습득형(Information Acquirement Type)], 제4유형[(N=5): 미디어접근형(Media Approach Type)으로서, 각 유형마다 독특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과적으로, 그간의 스마트미디어와 정치문화 현상와 관련하여 대중의 사회적, 심리적 특성이나 라이프스타일 유형화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다양한 문화 수용과 평가에 따른 타깃별 대중의 유형화 작업은 다양하게 연구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많은 개선책을 제시할 수 있겠다. 따라서 추후 발전된 연구방향은 스마트미디어와 정치문화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이용자들의 인식 특성과 행태를 연결하여 분석하는 것이 요청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ork was researched by practical method in a subjectivity study accessible in-depth, in sloughing off old habit of functional quantity analysis about Reception Type on smart media and political culture phenomenon. The perception pattern come out ...
This work was researched by practical method in a subjectivity study accessible in-depth, in sloughing off old habit of functional quantity analysis about Reception Type on smart media and political culture phenomenon. The perception pattern come out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in Q-methodology. The result is as follows ; it is that divided ‘1[(N=5): Media Use Type], 2[(N=6): Personal Need Type], 3[(N=10): Information Acquirement Type], 4[(N=5): Media Approach Type]'. Like this, it found that is very different type all over. Hereafter, this study is to ascertain acceptance behavior about Reception Type on smart media and political culture phenomenon, 21th ; to offer a developmental suggestion about it.
목차 (Table of Contents)
대학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문대학교를 중심으로
대안언론과 관련된 비판이론 및 급진 미디어, 시민의 미디어, 토착민도보 개념에 대한 고찰
동남권 신공항 이슈의 프레이밍을 통해 본 언론의 지역 이기주의 : 부산일보, 매일신문, 경향신문 뉴스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