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및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Relative Variables of International Women as Marriage Immigr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558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relative variables of international women living in the Gyeongnam area as marriage immigrants. Can be used to find a reasonable solution to enhance their marital satisfaction in Korea. The subjects were 256 international women who immigrated for marriage and lived in the Gyeongnam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degree of marital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women living in the Gyeongnam area as marriage immigrants was found to be 5.03, when the maximal value of marital satisfaction was set to 7.0. The score of 5.03 is considered relatively high enough to have a pleasant family life in Korea.
      Second,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marital satisfaction depended on the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couple. The happiness of their family was determined not only by the difference of the woman's age, nationality, education level, and religion, but also by the education level of the husband as well as his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the number of children and familial type, and so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 caus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women.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in this field was the self-esteem of the women. Also,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her husband significantly affected the difference i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international women.
      Third, this study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women living in the Gyeongnam area as marriage immigrants was the degree of preliminary information of her husban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relative variables of international women living in the Gyeongnam area as marriage immigrants. Can be used to find a reasonable solution to enhance their marital satisfaction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relative variables of international women living in the Gyeongnam area as marriage immigrants. Can be used to find a reasonable solution to enhance their marital satisfaction in Korea. The subjects were 256 international women who immigrated for marriage and lived in the Gyeongnam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degree of marital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women living in the Gyeongnam area as marriage immigrants was found to be 5.03, when the maximal value of marital satisfaction was set to 7.0. The score of 5.03 is considered relatively high enough to have a pleasant family life in Korea.
      Second,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marital satisfaction depended on the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couple. The happiness of their family was determined not only by the difference of the woman's age, nationality, education level, and religion, but also by the education level of the husband as well as his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the number of children and familial type, and so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 caus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women.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in this field was the self-esteem of the women. Also,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her husband significantly affected the difference i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international women.
      Third, this study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women living in the Gyeongnam area as marriage immigrants was the degree of preliminary information of her husba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및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수집은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 256명이 질문지법으로 조사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분석, 일원변량분석, 독립표본 t-검증, Tukey사후검증, 회귀분석 등이 적용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는 7점 만점 척도에 평균 5.03점으로 나타나 양호한 수준임을 보였다. 둘째,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차이를 보이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연령, 학력, 출신국, 종교유무, 남편의 학력, 직업, 월수입 정도, 자녀수, 가족형태 등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변인으로는 자아존중감이, 결혼정보 변인으로는 결혼정보 일치 정도가 결혼만족도에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생활 적응변인으로는 부부의 연령차이, 아내의 한국어 수준, 자녀와의 의사소통 등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결혼정보 일치 정도 변인이며, 다음으로 남편의 학력, 자녀수, 아내의 한국어 수준, 남편의 직업 등이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및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및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수집은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 256명이 질문지법으로 조사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분석, 일원변량분석, 독립표본 t-검증, Tukey사후검증, 회귀분석 등이 적용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는 7점 만점 척도에 평균 5.03점으로 나타나 양호한 수준임을 보였다. 둘째,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차이를 보이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연령, 학력, 출신국, 종교유무, 남편의 학력, 직업, 월수입 정도, 자녀수, 가족형태 등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변인으로는 자아존중감이, 결혼정보 변인으로는 결혼정보 일치 정도가 결혼만족도에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생활 적응변인으로는 부부의 연령차이, 아내의 한국어 수준, 자녀와의 의사소통 등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결혼정보 일치 정도 변인이며, 다음으로 남편의 학력, 자녀수, 아내의 한국어 수준, 남편의 직업 등이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연실, "한중 국제결혼에서의 갈등과 적응:‘소외’와 ‘타자화’의 체험에서 ‘소통’과 ‘화합’의 모색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2 (12): 251-299, 2007

      2 김은경, "중소도시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6 (26): 83-94, 2008

      3 최정혜, "주말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 주말부부 남편과 아내의 비교 -" 대한가정학회 43 (43): 11-26, 2005

      4 손희란, "여성결혼이민자의 라이프스타일, 부부관계 만족도, 노후준비의식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지역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9 (49): 57-69, 2011

      5 조유리, "부부의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광주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5 (5): 1-21, 2000

      6 최정혜,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8 (18): 163-173, 2006

      7 공수연, "다문화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20 (20): 101-117, 2011

      8 임성옥, "다문화가족 한국인남편의 성격특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 16 (16): 251-272, 2011

      9 오성배, "다문화가족 자녀교육지원 정책의 과제 탐색, 2012 경상남도 다문화정책 토론회" 경상남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3-27, 2012

      10 최정혜, "다문화가족 연구 동향 분석: 2005년-2010년 발간된 국내논문을 중심으로-" 22 : 79-97, 2010

      1 최연실, "한중 국제결혼에서의 갈등과 적응:‘소외’와 ‘타자화’의 체험에서 ‘소통’과 ‘화합’의 모색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2 (12): 251-299, 2007

      2 김은경, "중소도시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6 (26): 83-94, 2008

      3 최정혜, "주말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 주말부부 남편과 아내의 비교 -" 대한가정학회 43 (43): 11-26, 2005

      4 손희란, "여성결혼이민자의 라이프스타일, 부부관계 만족도, 노후준비의식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지역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9 (49): 57-69, 2011

      5 조유리, "부부의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광주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5 (5): 1-21, 2000

      6 최정혜,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8 (18): 163-173, 2006

      7 공수연, "다문화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20 (20): 101-117, 2011

      8 임성옥, "다문화가족 한국인남편의 성격특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 16 (16): 251-272, 2011

      9 오성배, "다문화가족 자녀교육지원 정책의 과제 탐색, 2012 경상남도 다문화정책 토론회" 경상남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3-27, 2012

      10 최정혜, "다문화가족 연구 동향 분석: 2005년-2010년 발간된 국내논문을 중심으로-" 22 : 79-97, 2010

      11 변미희, "다문화 가족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 관련 요인" 한국가족복지학회 15 (15): 127-141, 2010

      12 권복순, "농촌지역 코시안가정주부의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09-134, 2006

      13 강수정, "농촌주부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연구 -생활개선회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5 (15): 71-85, 2010

      14 양점도, "농촌 외국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16 (16): 1-20, 2006

      15 양순미,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 대한영향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 11 (11): 223-252, 2006

      16 최정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6 (16): 29-46, 2011

      17 신경희, "국제결혼가족의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4 (44): 1-8, 2006

      18 원서진, "결혼이주여성의 개인적, 문화적, 사회적 특성이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6 (16): 95-113, 2011

      19 전혜정, "결혼이주여성 가족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한국가족복지학회 14 (14): 5-27, 2009

      20 설동훈,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 정책방안연구" 여성가족부 2006

      21 양순미, "가족 건강성, 자아존중감, 부부문제가 농촌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8 (8): 31-50, 2003

      22 Ward, C, "Where's the culture in cross-cultural transition? comparative studies of sojourner adjustment" 24 (24): 221-249, 1993

      23 Roach, A,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43 : 537-546, 1981

      24 Heller and Wood, "The influence of religious and ethnic differences on marital intimacy : Intermarriage versus intramarriage" 26 : 241-252, 2000

      25 Beach, S, "Persepective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on depressive symptoms in established marriage: A dyadic model" 20 : 355-371, 20

      26 Sullivan, C, "Culturally based couple therapy and intercultural relatiionship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14 (14): 221-225, 2006

      27 Bowman, Marilyn. L, "Coping efforts and marital satisfaction, measuring marital coping and its correlates" 52 (52): 463-474,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2-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가족복지학회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영문명 : Korea Family Welfare Association -> Korea Child & Family Welfare Association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Welfare -> Korea Family Welfare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57 1.71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