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준규, "개항시 조선을 둘러싼 국제정세", 한국근대사의 재조명서울:서울대학 교출판부, 1977
2 오상순, "조선족 정체성의 문학적 형상화", 태학사, 2013
3 이선이, "한중 문학 연구 교류의 현황과 과제", 한중인문학연구,(44집), 2014
4 蒋晓君, "중국 근대문학 속의 安重根형상 연구", 석사학위논 문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5 장남(张楠), "한중문화교류-수교 이후의 현황과 전망", 목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6 박남용, "在满조선인 문학 속의 중국 이미지 연구", 中国研究제39권,, 2007
7 김명희, "한국내 조선족 정체성과 정체성과 한국과", 사상(가을호), 2003
8 김수현, 조원장, 박정수, "중국 영화산업 현황과 한 중 공동제작", 커뮤니케이션북 스, 2011
9 신원선, "최종병기 활 에 구현된 민족주의 코드의 두 양상", 현대영화연구 ,Vol.21, 2015
10 이희옥, "(1992-2012)한중관계 어디까지 왔나-성과와 전망", 동북아역사재단,, 2012
1 박준규, "개항시 조선을 둘러싼 국제정세", 한국근대사의 재조명서울:서울대학 교출판부, 1977
2 오상순, "조선족 정체성의 문학적 형상화", 태학사, 2013
3 이선이, "한중 문학 연구 교류의 현황과 과제", 한중인문학연구,(44집), 2014
4 蒋晓君, "중국 근대문학 속의 安重根형상 연구", 석사학위논 문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5 장남(张楠), "한중문화교류-수교 이후의 현황과 전망", 목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6 박남용, "在满조선인 문학 속의 중국 이미지 연구", 中国研究제39권,, 2007
7 김명희, "한국내 조선족 정체성과 정체성과 한국과", 사상(가을호), 2003
8 김수현, 조원장, 박정수, "중국 영화산업 현황과 한 중 공동제작", 커뮤니케이션북 스, 2011
9 신원선, "최종병기 활 에 구현된 민족주의 코드의 두 양상", 현대영화연구 ,Vol.21, 2015
10 이희옥, "(1992-2012)한중관계 어디까지 왔나-성과와 전망", 동북아역사재단,, 2012
11 田月梅, "‘타자’와 경계:한국영화에 재현되는 조선족 담론", 겨레어문학제56 집, 2016
12 金海鹰, "韩国现代游记文学中的中国形象研究—以北京体验为例", 中国语文论丛제 55집, 2011
13 이명자, "동시대 한국 범죄영화에 재현된 연변/조선족의 로컬리티", 영상예술연 구 Vol.24, 2014
14 김남석, "황해 에 반영된 연변 조선족의 이미지 왜곡 현상과 사회상 연구", 다 문화사회연구7(2), 2014
15 김남석, "황해 에 반영된 연변 조선족이 이미지 왜곡 현상과 사회상 연구", 다 문화사회연구, 2014
16 趙德天, "중일전쟁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지원", 东 洋学제63집, 2016
17 金爱莲, "한국 영화와 드라마에 나타난 조선족 언어의 반영 양상에 대한 연구", 인 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8 박세훈, 이영아, "조선족의 공간집적과 지역정체성의 정치:구로구 가리봉동 사례연 구", 다문화사회연구, 2010
19 신원선, "한국 현대영화에 나타난 만주의 의미- 좋은 놈,나쁜 놈,이상한 놈 을 중 심으로", 국제어문,제64집, 2015
20 문재원, "고착되는 경계,트랜스로컬리티의 불가능성-한국 영화에 재현된 조선족을 중심으로-", 韩日民族问题研究제28집, 2015
21 朴银淑, "해방기 문학작품에 나타난 중국 이미지 연구 –중국 화북 동북 관련 작품을 중심으로", 산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2 ZHANG YING, "한국 미디어의 조선족 재현 방식 및 그 의미 구조-TV 다큐멘터 리의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