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돈 드릴로의 『화이트 노이즈』에 나타난 현대사회 속 개인의 위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8805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820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crisis of the individual in modern society in Don DeLillo's White Noise

      • 형태사항

        iii, 70 L.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인찬
        참고문헌: p. 66-68

      • UCI식별코드

        I804:11043-00000006755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on DeLillo’s White Noise depicts the changes and crises experienced by individuals in the U.S. society in the 1980s, which marked the beginning of the post-modern era. The primitive fear of death, like the white noise, sits all over the place of everyday life, making modern people miserable. At this time, exploring individual looks for ways to cope with death will suggest a modern attitude that adapts to the rapidly changing post-modern society.
      This paper attempts to criticize the technology-dependent capitalist society, tracking how Jack, a middle-class white male speaker, tries to adapt to modern society and escape from the fear of death that threatens him. The elements of modern society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Jack and those can be divided into material capitalism, technology, mass media, and images. The way of life changed as capitalism controls human life and material had the upper hand. Humans try to satisfy their hunger and gain emotional stability through consumption. While science and technology have also brought many benefits, including convenience and the extension of life, humans have become so absorbed in the benefits so that they have overlooked the things behind them. Disasters created by technology threaten people without any solution. As modern society is dominated by science, television plays a major role in the formation of an individual’s ego. Humans learn what the media sends, and even believe that the disguised image is real. However, modern belief is proven to be fictitious as all Jack’s efforts fail. That is because no changes have been made from Jack’s actions.
      Although nothing seems to have changed when Jack returns to daily life, the series of events he experienced shows how much influence modern society is having. Thus, Jack, who feels uncomfortable and refuses, is a human being who realizes what is going wrong and how meaningless an effort to avoid death is. Jack can never be separated from capitalism, technology, and image. Also, he has no choice but to adapt to this society, but nevertheless he became the one who is able to reconcile and accept death. Jack experienced failure and went back to normal, but his experience was not a failure. As soon as Jack conceals with death and admits it as an extension of life, he can only find himself and be free from his misery.
      번역하기

      Don DeLillo’s White Noise depicts the changes and crises experienced by individuals in the U.S. society in the 1980s, which marked the beginning of the post-modern era. The primitive fear of death, like the white noise, sits all over the place of ev...

      Don DeLillo’s White Noise depicts the changes and crises experienced by individuals in the U.S. society in the 1980s, which marked the beginning of the post-modern era. The primitive fear of death, like the white noise, sits all over the place of everyday life, making modern people miserable. At this time, exploring individual looks for ways to cope with death will suggest a modern attitude that adapts to the rapidly changing post-modern society.
      This paper attempts to criticize the technology-dependent capitalist society, tracking how Jack, a middle-class white male speaker, tries to adapt to modern society and escape from the fear of death that threatens him. The elements of modern society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Jack and those can be divided into material capitalism, technology, mass media, and images. The way of life changed as capitalism controls human life and material had the upper hand. Humans try to satisfy their hunger and gain emotional stability through consumption. While science and technology have also brought many benefits, including convenience and the extension of life, humans have become so absorbed in the benefits so that they have overlooked the things behind them. Disasters created by technology threaten people without any solution. As modern society is dominated by science, television plays a major role in the formation of an individual’s ego. Humans learn what the media sends, and even believe that the disguised image is real. However, modern belief is proven to be fictitious as all Jack’s efforts fail. That is because no changes have been made from Jack’s actions.
      Although nothing seems to have changed when Jack returns to daily life, the series of events he experienced shows how much influence modern society is having. Thus, Jack, who feels uncomfortable and refuses, is a human being who realizes what is going wrong and how meaningless an effort to avoid death is. Jack can never be separated from capitalism, technology, and image. Also, he has no choice but to adapt to this society, but nevertheless he became the one who is able to reconcile and accept death. Jack experienced failure and went back to normal, but his experience was not a failure. As soon as Jack conceals with death and admits it as an extension of life, he can only find himself and be free from his mise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돈 드릴로의 『화이트 노이즈』는 포스트모던 시대를 맞이한 1980년대 미국 사회 속 개인이 겪는 변화와 위기를 그린 작품이다. ‘죽음’이라는 원초적인 공포는 백색소음처럼 일상의 도처에 자리하여 현대인을 괴롭게 한다. 이때 각 개인이 죽음에 대처하는 방안을 탐구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포스트모던 사회에 적응하는 현대인의 자세를 모색한다.
      본 논문은 과학기술에 의존한 자본주의 사회를 비판하면서 중산층 백인 남성 화자인 잭이 현대 사회에 순응하는 동시에 그를 위협하는 죽음의 공포로부터 어떻게 벗어나려 하는지 추적한다. 잭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현대사회의 요소는 물질 자본주의, 과학기술, 대중 매체와 이미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자본주의가 인간의 삶을 통제하고 물질이 가장 우위를 선점하는 가치가 되어버리면서 삶의 방식이 변화하였는데 인간은 소비행위를 통하여 자신의 허기를 채우고 감정적인 안정감을 얻는다. 또한 과학기술 문명이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면서 편리함과 생명의 연장 등 여러 이점을 가지고 왔지만 인간은 혜택에 너무나도 심취한 나머지 이면에 있는 것들을 간과하고 말았다. 테크놀로지가 만들어낸 인재(人災)는 해결방안도 없이 인간을 위협하고 있다. 현대인이 과학에 지배당함과 동시에 텔레비전은 개인의 자아 형성에 지대한 역할을 수행한다. 인간은 미디어가 송출하는 이미지를 그대로 학습하며 심지어 위장된 이미지를 실재라고 믿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현대인의 믿음은 잭의 노력들이 모두 실패하면서 허구로 밝혀진다. 잭이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실천했던 행동들이 어떤 변화도 가지고 오지 못한 까닭이다.
      비록 잭이 일상으로 회귀한다는 점에서 변한 것은 아무것도 없어 보이나 그가 경험한 사건들은 현대인이 간과하고 있는 현대사회의 요소들이 얼마나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지 보여준다. 따라서 불편함을 느끼고 거부를 행사하는 잭은 무엇이 잘못되어가고 있으며 죽음을 피한다는 노력이 얼마나 의미가 없는 일인지를 깨닫는 인간이다. 자본주의, 테크놀로지, 이미지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현대인인 잭은 이 사회에 순응할 수밖에 없다.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노력했던 잭은 실패를 경험하고 일상으로 회귀하지만 그의 경험은 실패가 아니다. 죽음과 화해하고 삶의 연장선임을 인정하는 순간, 잭은 괴로움에서 벗어나 비로소 자아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번역하기

      돈 드릴로의 『화이트 노이즈』는 포스트모던 시대를 맞이한 1980년대 미국 사회 속 개인이 겪는 변화와 위기를 그린 작품이다. ‘죽음’이라는 원초적인 공포는 백색소음처럼 일상의 도처...

      돈 드릴로의 『화이트 노이즈』는 포스트모던 시대를 맞이한 1980년대 미국 사회 속 개인이 겪는 변화와 위기를 그린 작품이다. ‘죽음’이라는 원초적인 공포는 백색소음처럼 일상의 도처에 자리하여 현대인을 괴롭게 한다. 이때 각 개인이 죽음에 대처하는 방안을 탐구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포스트모던 사회에 적응하는 현대인의 자세를 모색한다.
      본 논문은 과학기술에 의존한 자본주의 사회를 비판하면서 중산층 백인 남성 화자인 잭이 현대 사회에 순응하는 동시에 그를 위협하는 죽음의 공포로부터 어떻게 벗어나려 하는지 추적한다. 잭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현대사회의 요소는 물질 자본주의, 과학기술, 대중 매체와 이미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자본주의가 인간의 삶을 통제하고 물질이 가장 우위를 선점하는 가치가 되어버리면서 삶의 방식이 변화하였는데 인간은 소비행위를 통하여 자신의 허기를 채우고 감정적인 안정감을 얻는다. 또한 과학기술 문명이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면서 편리함과 생명의 연장 등 여러 이점을 가지고 왔지만 인간은 혜택에 너무나도 심취한 나머지 이면에 있는 것들을 간과하고 말았다. 테크놀로지가 만들어낸 인재(人災)는 해결방안도 없이 인간을 위협하고 있다. 현대인이 과학에 지배당함과 동시에 텔레비전은 개인의 자아 형성에 지대한 역할을 수행한다. 인간은 미디어가 송출하는 이미지를 그대로 학습하며 심지어 위장된 이미지를 실재라고 믿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현대인의 믿음은 잭의 노력들이 모두 실패하면서 허구로 밝혀진다. 잭이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실천했던 행동들이 어떤 변화도 가지고 오지 못한 까닭이다.
      비록 잭이 일상으로 회귀한다는 점에서 변한 것은 아무것도 없어 보이나 그가 경험한 사건들은 현대인이 간과하고 있는 현대사회의 요소들이 얼마나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지 보여준다. 따라서 불편함을 느끼고 거부를 행사하는 잭은 무엇이 잘못되어가고 있으며 죽음을 피한다는 노력이 얼마나 의미가 없는 일인지를 깨닫는 인간이다. 자본주의, 테크놀로지, 이미지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현대인인 잭은 이 사회에 순응할 수밖에 없다.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노력했던 잭은 실패를 경험하고 일상으로 회귀하지만 그의 경험은 실패가 아니다. 죽음과 화해하고 삶의 연장선임을 인정하는 순간, 잭은 괴로움에서 벗어나 비로소 자아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Ⅱ. 소비사회의 풍요 속의 공허 = 8
      • Ⅲ. 과학기술 시대의 발달과 불안 = 22
      • Ⅰ. 서론 = 1
      • Ⅱ. 소비사회의 풍요 속의 공허 = 8
      • Ⅲ. 과학기술 시대의 발달과 불안 = 22
      • Ⅳ. 대중매체의 발달과 이미지화 = 43
      • Ⅴ. 결론 = 62
      • Ⅵ. 인용문헌 = 66
      • Ⅶ. ABSTRACT = 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