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 F. Bollnow 교육적 분위기의 교육적 의의 = Educational Meaning of Pedagogical Atmosphere by O. F. Bollno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014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란 무엇이며, 이러한 교육적 분위기가 지니는 교육적 의의가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Bollnow의 교육 적 분위기...

      이 연구의 목적은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란 무엇이며, 이러한 교육적 분위기가 지니는 교육적 의의가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Bollnow의 교육 적 분위기의 사상적 전통과 의미를 고찰하고, 교육적 분위기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그 양면성을 아동의 측면과 교육자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다음, 이러한 분위기가 지니고 있는 교육적 의의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Bollnow는 교육적 분위기에 대한 주장을 통해 교육을 아동과 교사의 존재와 삶에 관련되는 교육적 관계와 기분에 주목하여 고찰함으로써, 교육현상에 대한 구체적, 본질적 접근을 시도 하였다. 또한 교육실제에서 교육자의 기분뿐만 아니라 아동의 기분과 태도를 중시하여 아동 을 교육의 주체로 인정하고, 아동의 내면에 교육적 의지가 존재하며, 아동이 교육받고 싶어 하는 존재임을 인정하여 아동을 새로운 교육적 지평에서 이해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교육적 분위기는 단순히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적인 요소가 아니라 교육 의 성립과 성공적인 교육 실현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교육자와 아동의 관계와 그러한 관계에서 기인하는 기분을 핵심 요소로 하는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는 갈등과 불신의 분위기가 만연해 있는 한국 교육 현실에 바람직한 교육적 분위기 조성 의 필요성과 그 방향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dagogic atmosphere of Bollnow is and the educational meaning kept by the pedagogic atmosphere. In order to achieve such study purpose, it first reviewed ideological tradition and meaning of the Bollnow``s ...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dagogic atmosphere of Bollnow is and the educational meaning kept by the pedagogic atmosphere. In order to achieve such study purpose, it first reviewed ideological tradition and meaning of the Bollnow``s pedagogic atmosphere; it divided the double-sidedness, which was the feature of the pedagogic atmosphere, into children``s aspect and educators`` aspect; and then, it attempted to determine to look into the educational meaning kept by the pedagogic atmosphere. According to result of the research, Bollnow paid attention to and understood educational relationship and feelings related to existence and life of children and teachers through an assertion of the pedagogic atmosphere; he sought specific and essential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phenomenon; and, he recognized children as the subject of education by focusing on not only feelings of educators but also feelings and attitude of children in education field. In addition, it made it possible to have new educational understanding about children by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educational will existed inside children and children wanted to be educated; it focused on relationships between educators and children and on feelings based on such relationships; and so, it made us know that the pedagogic atmosphere was essential element for establishment of education and successful education. Especially, the pedagogic atmosphere of Bollnow has an educational meaning in that it may provide a clue to create desirable pedagogic atmosphere in Korea education reality under which atmosphere of conflict and distrust is preval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규호, "현대철학의 전망" 법문사 1966

      2 이영식, "체육교사의 리더십 유형과 학급분위기가 학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3 강기수, "보르노(O. F. Bollnow) 인내에 관한 교육인간학적 접근" 19 : 183-197, 1998

      4 Bollnow, O. F., "교육학에 있어서 인간학적 고찰방식" 형설출판사 1994

      5 이병준, "교육적 분위기의 담론에 대한 시론적 고찰. 분위기와 학습의 만남" 14-18, 2016

      6 Bollnow. O. F., "교육의 인간학" 문음사 1990

      7 강기수, "관계의 교육학 : 교육적 분위기의 이해" 173-184, 2012

      8 정광순, "van Manen의 교육적 분위기 논의" 32-45, 2016

      9 Bollnow. O. F., "The Pedagogical Atmosphere : the Perspective of the Child" 7 : 12-36, 1989

      10 강기수, "O.F.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의 교육인간학적 기능에 관한 연구-신뢰와 안정감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1 (11): 25-43, 2003

      1 이규호, "현대철학의 전망" 법문사 1966

      2 이영식, "체육교사의 리더십 유형과 학급분위기가 학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3 강기수, "보르노(O. F. Bollnow) 인내에 관한 교육인간학적 접근" 19 : 183-197, 1998

      4 Bollnow, O. F., "교육학에 있어서 인간학적 고찰방식" 형설출판사 1994

      5 이병준, "교육적 분위기의 담론에 대한 시론적 고찰. 분위기와 학습의 만남" 14-18, 2016

      6 Bollnow. O. F., "교육의 인간학" 문음사 1990

      7 강기수, "관계의 교육학 : 교육적 분위기의 이해" 173-184, 2012

      8 정광순, "van Manen의 교육적 분위기 논의" 32-45, 2016

      9 Bollnow. O. F., "The Pedagogical Atmosphere : the Perspective of the Child" 7 : 12-36, 1989

      10 강기수, "O.F.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의 교육인간학적 기능에 관한 연구-신뢰와 안정감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1 (11): 25-43, 2003

      11 장승우, "O. F. Bollnow의 인간학적 교사론" 동아대학교 2015

      12 박진우, "O. F.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13 강기수, "O. F.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의 교육자의 미덕에 관한 연구 -신뢰와 인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5-22, 2003

      14 Bollnow., "Neue Geborgenheit: Das Problem eine Überwindung des Existentialismus" Kohihammer 1972

      15 Patterson, C. H., "Humanistic Education" Prentice-Hall, Inc 1973

      16 Bollnow. O. F., "Die Pädagogische Atmophäre" Qulle &Meyer 1970

      17 Bollnow. O. F., "Das Wesen der Stimmungen" Klostermann 1995

      18 Bollnow. O. F., "Das Verhältnis zur Zeit: Ein Beitrag zur pädagogischen Anthropologie" Qulle & Meyer 1972

      19 안민,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에 대한 한국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20 이현주,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pedagogical atmosphere)" 개념을 통해 본 어린이-교사 관계론"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5 1.96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