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정치, 경제의 변화는 전통적인 조선족 언어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복합적인 언어환경에 처해있는 산거지역 조선족은 언어 태도와 사용에서 집거지역과 달리 다양한 양상을 보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385105
2017
Korean
학술저널
31-37(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회, 정치, 경제의 변화는 전통적인 조선족 언어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복합적인 언어환경에 처해있는 산거지역 조선족은 언어 태도와 사용에서 집거지역과 달리 다양한 양상을 보이...
사회, 정치, 경제의 변화는 전통적인 조선족 언어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복합적인 언어환경에 처해있는 산거지역 조선족은 언어 태도와 사용에서 집거지역과 달리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들이 웃세대에 비해 한어를 사용하는 비률이 높아지면서 중심언어가 조선어로부터 한어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 언어전환이 발생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민족문화 정체성을 강화시키고 민족어 교육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시급하고도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