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50년대 김수영과 김춘수 시의 헤테로토피아 = Heterotopia Revealed in Poems by Kim Soo-Young and Kim Chun-Soo in the 195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93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oetic sensitivity of the space revealed in poems by Kim Soo-Young and Kim Chun-Soo in the 1950s through heterotopia. Critical reflections on the history and reality of the two poets who not only st...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oetic sensitivity of the space revealed in poems by Kim Soo-Young and Kim Chun-Soo in the 1950s through heterotopia. Critical reflections on the history and reality of the two poets who not only started their literary career but also went through both prison and prison life at the same time are evident in heterotopia.
      Heterotopia revealed in poems by Kim Soo-Young as the prison camp, the library, and the city streets under modern planning carries out the meaning of denial to the social life of fatigue or despair of urban life. On the other hand, Kim Chun-soo's absence consciousness by prison life in Sedagayashi, Japan, and the absence consciousness due to the loss of hometown after the war show the appearance of a original form of heterotopia, such as a childhood hometown or a mythical space as a return to nature.
      The two different heterotopias that are revealed in poems by the two poets were a space of resistance and opposition to overcome the history of threatening the true ethical existence of individuals and the fear or anxiety of the empirical self in the reality of postwar ruins. Furthermore, they are critical reflections on the absurdity of modern times that threat human values and life by juxtaposing the experiential reality that people have experienced in the same period. Heterotopia as a heterogeneous place will be a new research method to approach the incomprehensibility revealed in the poems by the two poe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1950년대 김수영과 김춘수 시에 드러나는 공간과 현실에 대한 인식을 헤테로토피아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등단 시기뿐 아니라 감옥이나 수용소 생활을 동시에 겪은 두 시인...

      이 연구에서는 1950년대 김수영과 김춘수 시에 드러나는 공간과 현실에 대한 인식을 헤테로토피아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등단 시기뿐 아니라 감옥이나 수용소 생활을 동시에 겪은 두 시인의 역사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들이 이질적이고 반(反)배치의 장소인 헤테로토피아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김수영 시의 포로수용소와 도서관 그리고 거리와 같은 규율화된 공간이나 현실의 다성적 표상의 헤테로토피아는 비판과 대안의 여지를 함축하고 있다. 이에 반해 김춘수는 일본 세다가야서(署)에서의 감옥 생활과 전후 고향과 같은 근원 상실의 장소들은 자연 회귀로서의 신화와 원형적 상상을 통해 잃어버린 세계에 대한 실존적 성찰들을 보여주고 있다.
      두 시인의 시에 드러나는 헤테로토피아는 각각 현재와 과거의 시간과 관계되는 부정과 원형의 장소이다. 그것은 개인들의 윤리적 실존을 위협했던 역사와 전후 폐허의 현실에서 시적 자아의 불안이나 공포를 극복하기 위함이었다. 나아가 이것은 동시대에 겪었던 경험적 현실을 병치시킴으로써 인간의 가치와 생명을 위협하는 근대의 부조리함에 대한 비판적 성찰인 것이다. 따라서 이질적인 탈장소로서의 헤테로토피아는 두 시인의 시에 드러나는 불가해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이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마샬 버만, "현대성의 경험" 현대미학사 12-, 1998

      2 김지율, "허수경 시의 ‘고향’ 이라는 헤테로토피아의 변모와 서발턴 연구" 우리말글학회 93 : 259-292, 2022

      3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2" 민음사 192-, 2002

      4 신범순, "한국 현대시의 퇴폐와 작은 주체" 신구문화사 1998

      5 게오르그 짐멜,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36-, 2005

      6 김춘수, "왜 나는 시인인가" 현대문학 32-33, 2005

      7 김 현, "시인을 찾아서" 민음사 22-, 1975

      8 조강석, "비화해적 가상으로서의 김수영과 김춘수 시학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9 알랭 바디우, "비미학" 이학사 43-44, 2010

      10 수잔 벅모스,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문학동네 57-88, 2004

      1 마샬 버만, "현대성의 경험" 현대미학사 12-, 1998

      2 김지율, "허수경 시의 ‘고향’ 이라는 헤테로토피아의 변모와 서발턴 연구" 우리말글학회 93 : 259-292, 2022

      3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2" 민음사 192-, 2002

      4 신범순, "한국 현대시의 퇴폐와 작은 주체" 신구문화사 1998

      5 게오르그 짐멜,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36-, 2005

      6 김춘수, "왜 나는 시인인가" 현대문학 32-33, 2005

      7 김 현, "시인을 찾아서" 민음사 22-, 1975

      8 조강석, "비화해적 가상으로서의 김수영과 김춘수 시학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9 알랭 바디우, "비미학" 이학사 43-44, 2010

      10 수잔 벅모스,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문학동네 57-88, 2004

      11 김춘수, "문학이라 하는 괴물" 44-46, 1953

      12 김응교, "마리서사・유명옥・국립도서관 - 김수영 시의 장소에 대한 연구 : 김수영 연구(7)" 외국문학연구소 (73) : 139-168, 2019

      13 김규동, "나는 시인이다" 바이북스 70-, 2011

      14 이강하, "김춘수의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연구- 개작 과정에 나타난 시의식의 전회-" 동악어문학회 (63) : 379-408, 2014

      15 남기혁, "김춘수 초기시의 자아 인식과 미적 근대성- '무의미의 시'로 이르는 길" 한국시학회 (1) : 64-100, 1998

      16 김춘수, "김춘수 시전집" 현대문학 2004

      17 이경민, "김춘수 시의 공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18 서진영, "김춘수 시에 나타난 나르시시즘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9 김춘수, "김춘수 시론전집 2" 현대문학 2004

      20 김춘수, "김춘수 시론전집 1" 현대문학 2004

      21 강경희, "김춘수 시 연구: ‘늪’과 ‘바다’ 이미지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숭실어문학회 19 : 2003

      22 이영준, "김수영과 한국전쟁" 한국시학회 (67) : 105-150, 2021

      23 김응교, "김수영, 시로 쓴 자서전" 삼인 131-132, 2021

      24 최하림, "김수영 평전" 실천문학사 170-, 2001

      25 김수영, "김수영 전집 2, 산문" 민음사 2018

      26 김수영, "김수영 전집 1, 시" 민음사 2018

      27 여태천, "김수영 시의 장소적 특성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41) : 347-387, 2004

      28 권경아, "김수영 시에 나타난 도시의 시간과 공간 인식" 한양대학교 수행인문학연구소 35 : 5-31, 2005

      29 김원경, "김수영 시에 나타난 공간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66 : 67-95, 2020

      30 윤숙, "김수영 시론의 원점으로서의 포로체험" 한국시학회 (60) : 183-215, 2019

      31 홍기원, "길 위의 김수영" 삼인 137-185, 2020

      32 권보드래, "1950년대 시민의 개념과 담론, In 식민지-제국의 해체와 전후 동아시아 문화질서의 재편" 142-,

      33 정영진, "1950년대 시 문학의 '지성' 담론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0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문학논총
      외국어명 : Theses o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1 0.73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