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굿을 중심으로 본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학습 방법의 의미 = The Meaning of Learning Methods for Education to Transmi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Seen with Seoul-gu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23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learning methods for education to transmit the item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focusing on Seoul-gut. Recently, as the Act on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as promulgated, ‘the archetype’ instead of ‘the prototype’ has become highlighted as a crucial axis for transmission. Although there are some controversies over the definition of the archetype among scholars, it is now possible for transmitters to make use of transformations rather freely being freed from strict orientation to the prototype to follow some fixed frame. Examining learning methods used in education to transmit mudang-gut, one of the item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however, this author has found that the prototype is still emphasized or in the center of learning instead. Presenting learning methods employed for Hwanghaedopyeongsansonoreum-gut of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amijanggunsadang-gut of Seoul Special City’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Bonghwasandodang-gut as examples, this researcher intends to reveal the reality.
      In the recent situation that education centering around academies is being widely spread to transmit mudang-gut, setting forth the designation of some of the item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y are publishing articles on newspaper as an advertisement to encourage learning about mudang-gut. 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there are more and more shamans intending to learn mudang-gut coming to the society for preserving item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y can, of course, perform mudang-gut on their own but come to learn it as there is no fixed or definite system for it. Even though the concept of the archetype was introduced, as now it is possible to learn the fixed frame through learning about the prototype regarding the item of mudang-gut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ose involved in shamanism are coming to it more and more. As transmitting the prototype rather deteriorated the liveliness of gut, those involved in shamanism are coming to it to learn about gut thinking that it is where they can learn the basic frame and also acquire more detailed knowledge about shamanism. Therefore, it is needed for the item of mudang-gut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accept the aspects of change and develop new methods of education to transmi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learning methods for education to transmit the item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focusing on Seoul-gut. Recently, as the Act on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learning methods for education to transmit the item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focusing on Seoul-gut. Recently, as the Act on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as promulgated, ‘the archetype’ instead of ‘the prototype’ has become highlighted as a crucial axis for transmission. Although there are some controversies over the definition of the archetype among scholars, it is now possible for transmitters to make use of transformations rather freely being freed from strict orientation to the prototype to follow some fixed frame. Examining learning methods used in education to transmit mudang-gut, one of the item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however, this author has found that the prototype is still emphasized or in the center of learning instead. Presenting learning methods employed for Hwanghaedopyeongsansonoreum-gut of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amijanggunsadang-gut of Seoul Special City’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Bonghwasandodang-gut as examples, this researcher intends to reveal the reality.
      In the recent situation that education centering around academies is being widely spread to transmit mudang-gut, setting forth the designation of some of the item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y are publishing articles on newspaper as an advertisement to encourage learning about mudang-gut. 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there are more and more shamans intending to learn mudang-gut coming to the society for preserving item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y can, of course, perform mudang-gut on their own but come to learn it as there is no fixed or definite system for it. Even though the concept of the archetype was introduced, as now it is possible to learn the fixed frame through learning about the prototype regarding the item of mudang-gut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ose involved in shamanism are coming to it more and more. As transmitting the prototype rather deteriorated the liveliness of gut, those involved in shamanism are coming to it to learn about gut thinking that it is where they can learn the basic frame and also acquire more detailed knowledge about shamanism. Therefore, it is needed for the item of mudang-gut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accept the aspects of change and develop new methods of education to transmi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서울굿을 중심으로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전수교육 학습 방법의 의미를 살핀 글이다. 최근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면서 ‘원형’을 대신하여 ‘전형’이 전승의 중요한 축으로 떠올랐다. 전형의 개념에 대해 학자들 간에 논란이 벌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고정된 틀을 지켜야 하는 원형 중심에서 벗어나 전승자에 따라 자유로운 변개가 어느 정도 가능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종목 중 무당굿의 전수교육 학습 방법을 살펴보니 오히려 원형을 강조하거나 학습의 중점에 두고 있다. 국가 무형문화재 황해도평산소놀음굿, 서울틀별시 무형문화재 남이장군사당굿, 봉화산도당굿 등의 학습 방법을 예로 들어 이러한 실상을 제시했다.
      최근 무당굿을 전수하는 학원식 교육이 널리 퍼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무형문화재로 인정된 여러 종목들은 무형문화재 지정을 앞세우면서 신문에 무당굿 학습을 알리는 광고성 기사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광고에 호응하여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보존회에 와서 무당굿을 학습하려는 무속인도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자유로운 무당굿 연행은 가능하지만, 고정되고 분명한 무당굿의 체계가 없어 이를 배우러 오는 것이다. 전형 개념이 들어왔지만, 무당굿의 무형문화재 종목에서 실시하는 원형 중심의 학습을 통해 고정된 틀의 학습이 가능하게 되면서 이를 찾는 무속인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원형의 전승이 굿의 생동력을 떨어트리면서, 오히려 기본적인 틀의 학습이 가능한 곳이라는 인식, 구체적인 무속 지식을 배울 수 있다는 인식을 주어 여러 무속인들이 굿 학습을 위해 찾고 있다. 따라서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무당굿에서는 이러한 변화상을 수용하여 새로운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방식을 개발하여야 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서울굿을 중심으로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전수교육 학습 방법의 의미를 살핀 글이다. 최근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면서 ‘원형’을 대신하여 ‘전형’이 ...

      이 논문은 서울굿을 중심으로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전수교육 학습 방법의 의미를 살핀 글이다. 최근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면서 ‘원형’을 대신하여 ‘전형’이 전승의 중요한 축으로 떠올랐다. 전형의 개념에 대해 학자들 간에 논란이 벌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고정된 틀을 지켜야 하는 원형 중심에서 벗어나 전승자에 따라 자유로운 변개가 어느 정도 가능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종목 중 무당굿의 전수교육 학습 방법을 살펴보니 오히려 원형을 강조하거나 학습의 중점에 두고 있다. 국가 무형문화재 황해도평산소놀음굿, 서울틀별시 무형문화재 남이장군사당굿, 봉화산도당굿 등의 학습 방법을 예로 들어 이러한 실상을 제시했다.
      최근 무당굿을 전수하는 학원식 교육이 널리 퍼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무형문화재로 인정된 여러 종목들은 무형문화재 지정을 앞세우면서 신문에 무당굿 학습을 알리는 광고성 기사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광고에 호응하여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보존회에 와서 무당굿을 학습하려는 무속인도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자유로운 무당굿 연행은 가능하지만, 고정되고 분명한 무당굿의 체계가 없어 이를 배우러 오는 것이다. 전형 개념이 들어왔지만, 무당굿의 무형문화재 종목에서 실시하는 원형 중심의 학습을 통해 고정된 틀의 학습이 가능하게 되면서 이를 찾는 무속인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원형의 전승이 굿의 생동력을 떨어트리면서, 오히려 기본적인 틀의 학습이 가능한 곳이라는 인식, 구체적인 무속 지식을 배울 수 있다는 인식을 주어 여러 무속인들이 굿 학습을 위해 찾고 있다. 따라서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무당굿에서는 이러한 변화상을 수용하여 새로운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방식을 개발하여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무속신문 335호"

      2 구미래, "진관사수륙재" 민속원 2017

      3 홍태한, "은산별신제 연구" 민속원 2016

      4 허용호, "원형의 신화, 전형의 논리" 무형유산학회 1 : 2016

      5 홍태한, "서울굿판에서 무속 지식의 전승과 교육" 어문학교육학회 44 : 2012

      6 홍태한, "서울굿판 ‘문서’의 존재와 구비문학 연구의 지향점" 실천민속학회 26 : 157-178, 2015

      7 "무당신문 111호"

      8 송준, "無形文化遺産의 保存과 活用에 대한 小考-전형(典型)의 개념을 중심으로-" 남도민속학회 (17) : 217-241, 2008

      1 "한국무속신문 335호"

      2 구미래, "진관사수륙재" 민속원 2017

      3 홍태한, "은산별신제 연구" 민속원 2016

      4 허용호, "원형의 신화, 전형의 논리" 무형유산학회 1 : 2016

      5 홍태한, "서울굿판에서 무속 지식의 전승과 교육" 어문학교육학회 44 : 2012

      6 홍태한, "서울굿판 ‘문서’의 존재와 구비문학 연구의 지향점" 실천민속학회 26 : 157-178, 2015

      7 "무당신문 111호"

      8 송준, "無形文化遺産의 保存과 活用에 대한 小考-전형(典型)의 개념을 중심으로-" 남도민속학회 (17) : 217-241,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4-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Research of Performance Art and Cul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71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