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일랜드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JC)의 특징과 시사점 고찰 =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New Curriculum Framework for junior cycle in Ire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079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Irish new Junior Cycle Curriculum and draw the issues and implications.
      Methods For the study, collected documents related to Irish Junior Cycle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published by the Irish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Curriculum Evaluation Institute. This study derived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system, curriculum goals, schedule, composition method, principles of curriculum guidelines and curriculum contents.
      Results The new junior cycle curriculum had set out 8 principles, 8 key skills and twenty-four statements of learning for the junior cycle. It comprises subjects, short courses and priority learning units(PLUs). Schools have the flexibility to decide what combination of subjects and short courses could be. The Junior Certificate examination is being replaced by a new school-based model of assessment.
      Conclusions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continuity, sequence and interrelationship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especially among subjects is very crucial. Second, the relevance of key skills in every subject should be examined. Third, new subject area ‘short courses’ has special meaning for future. As in Ireland junior cycle framework, greater choice for schools and their students could be with the third area, ‘short courses’.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Irish new Junior Cycle Curriculum and draw the issues and implications. Methods For the study, collected documents related to Irish Junior Cycle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published b...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Irish new Junior Cycle Curriculum and draw the issues and implications.
      Methods For the study, collected documents related to Irish Junior Cycle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published by the Irish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Curriculum Evaluation Institute. This study derived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system, curriculum goals, schedule, composition method, principles of curriculum guidelines and curriculum contents.
      Results The new junior cycle curriculum had set out 8 principles, 8 key skills and twenty-four statements of learning for the junior cycle. It comprises subjects, short courses and priority learning units(PLUs). Schools have the flexibility to decide what combination of subjects and short courses could be. The Junior Certificate examination is being replaced by a new school-based model of assessment.
      Conclusions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continuity, sequence and interrelationship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especially among subjects is very crucial. Second, the relevance of key skills in every subject should be examined. Third, new subject area ‘short courses’ has special meaning for future. As in Ireland junior cycle framework, greater choice for schools and their students could be with the third area, ‘short cour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일랜드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아일랜드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 등 이에 준하는 문서들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고, 아일랜드교육부 및 국가교육과정평가원 등에서 발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연구진 회의를 통해 교육제도, 교육과정 개정 목적 및 목표, 일정, 구성 방식, 교육과정 편성(Curriculum Guidelines)의 원칙 및 교육과정 내용 등을 분석하여 이를비교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 아일랜드의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 대비 개정 목적 및 연차적 개정 일정, 24가지의 ‘학습에 대한 진술(statements of learning)’, 8개 개정원리 및 8개의 핵심 역량(key skills)을 제시한 점, 교과, 단기과목(short courses), 우선학습과목(PLUs)의3개 영역으로 기존의 교과 중심 교육과정 구성의 틀 변경, 연계와 통합을 강조한 유연한 교과 교육과정, 중학교 졸업 인증(Junior Certificate)을 국가 수준 시험에서 학교 수준 인증으로 변화시킨 것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연계, ‘단기과목’ 확장성과 교육적 유용성, 교육과정에 대한 안내,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 확대, 핵심 역량의 활용 등을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일랜드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아일랜드 중학교 및 고등학...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일랜드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아일랜드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 등 이에 준하는 문서들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고, 아일랜드교육부 및 국가교육과정평가원 등에서 발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연구진 회의를 통해 교육제도, 교육과정 개정 목적 및 목표, 일정, 구성 방식, 교육과정 편성(Curriculum Guidelines)의 원칙 및 교육과정 내용 등을 분석하여 이를비교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 아일랜드의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 대비 개정 목적 및 연차적 개정 일정, 24가지의 ‘학습에 대한 진술(statements of learning)’, 8개 개정원리 및 8개의 핵심 역량(key skills)을 제시한 점, 교과, 단기과목(short courses), 우선학습과목(PLUs)의3개 영역으로 기존의 교과 중심 교육과정 구성의 틀 변경, 연계와 통합을 강조한 유연한 교과 교육과정, 중학교 졸업 인증(Junior Certificate)을 국가 수준 시험에서 학교 수준 인증으로 변화시킨 것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연계, ‘단기과목’ 확장성과 교육적 유용성, 교육과정에 대한 안내,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 확대, 핵심 역량의 활용 등을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숙,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에 관한 국제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 교육부, "중학생 부모가 알고싶은 교육과정" 천재교육 2012

      3 최상덕,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도입 방향과 실행방안" 40 (40): 66-71, 2013

      4 김현철, "자유학기제 정착을 위한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분석 및 시사점" 한국교육개발원 2013

      5 김진숙, "아일랜드 Transition Year 교육과정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165-193, 2013

      6 "국가교육과정보센터"

      7 EACEA, "The Structure of the European Education Systems 2021/22"

      8 National Council for Curriculum and Assessment, "Senior Cycle Redevelopment Looking to the Future"

      9 National Council for Curriculum and Assessment, "Level 1 Learning Programmes Guidelines for Teachers"

      10 "Ireland, National Council for Curriculum and Assessment"

      1 김진숙,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에 관한 국제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 교육부, "중학생 부모가 알고싶은 교육과정" 천재교육 2012

      3 최상덕,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도입 방향과 실행방안" 40 (40): 66-71, 2013

      4 김현철, "자유학기제 정착을 위한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분석 및 시사점" 한국교육개발원 2013

      5 김진숙, "아일랜드 Transition Year 교육과정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165-193, 2013

      6 "국가교육과정보센터"

      7 EACEA, "The Structure of the European Education Systems 2021/22"

      8 National Council for Curriculum and Assessment, "Senior Cycle Redevelopment Looking to the Future"

      9 National Council for Curriculum and Assessment, "Level 1 Learning Programmes Guidelines for Teachers"

      10 "Ireland, National Council for Curriculum and Assessment"

      11 "Ireland, Dpartment of Education"

      12 "Ireland Curriculum online"

      13 tional Council for Curriculum and Assessment, "Civic Social and Political Education Guidelines for teachers"

      14 Department of Education and Skills, "A Framework for Junior Cycle 2015"

      15 Department of Education and Skills, "A Framework for Junior Cycl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