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8세 여대생 120명의 6개 인체 측정학적 변인과 5개 범주의 유연성 유형의 상관, 복근력, 배근력과 5개범주의 유연성 유형의 상관, 5개 범주의 각 유연성 유형간 상관을 산정한 결과는 다음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50757
2001
-
600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039-1053(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8-28세 여대생 120명의 6개 인체 측정학적 변인과 5개 범주의 유연성 유형의 상관, 복근력, 배근력과 5개범주의 유연성 유형의 상관, 5개 범주의 각 유연성 유형간 상관을 산정한 결과는 다음과...
18-28세 여대생 120명의 6개 인체 측정학적 변인과 5개 범주의 유연성 유형의 상관, 복근력, 배근력과 5개범주의 유연성 유형의 상관, 5개 범주의 각 유연성 유형간 상관을 산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장, 다리 길이, 팔 길이와 몸통의 굴곡, 신전 유연성, 동적 유연성은 보통의 역상관이고 팔 길이와 이들 유연성 유형과는 낮은 역상관이었다. 체중이나 %fat과 5개 범주의 유연성 유형의 상관은 거의 의미가 없었다. 2. 복근력과 몸통 굴곡 유연성, 동적 유연성의 상관은 비교적 높고 다른 유연성 유형과의 상관은 낮았으며, 배근력과 5개 범주의 유연성 유형과는 거의 상관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서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와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의 상관은 아주 높고, 몸통 굴곡 유연성과 몸통 신전 유연성은 보통의 상관이었다. 4. 몸통 뒤로 젖히기와 Bridge up Ⅱ는 보통의 상관이지만 같은 범주의 몸통 신전 유연성 검사 간 상관으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5. 몸통회전 유연성은 모든 인체 측정학적 변인, 복근력과 배근력, 다른 유연성 유형과 거의 상관이 없었으며, 본 연구자가 택한 다른 범주의 유연성 유형과는 다른 독특성을 갖는 것 같다. 6. 다리 좌우벌리기와 다리 전후 벌리기의 상관은 높았다. 7. 윗몸 앞으로 굽혔다 일어서며 좌우 뒤로 돌리기의 동적 유연성은 기능학적 측면에서는 타당성 있는 검사이지만 건강 체력 검사의 한 도구로 선정할 때는 재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8. 선 단위의 유연성 측정 도구에 대한 재검토와 각 단위로 측정하는 새로운 유연성 측정 도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lexibility types of 5 Categories, 6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2 strength types of 120 college women (mean age 21.1 years) were obtaine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flexibility type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flexibility types, 2...
Flexibility types of 5 Categories, 6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2 strength types of 120 college women (mean age 21.1 years) were obtaine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flexibility type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flexibility types, 2 strength types, and interrelationships among these flexibility measurements.1.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height, leg length and the flexion, extension, dynamic flexibility of the trunk-hip, were moderate significant negativ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rm length and the flexibility types for those were low significant negative. Weight and body fat mostly yielded in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measurements of all flexibility types of 5 categories.2.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it up and the trunk-hip flexion, the dynamic flexibility were moderate significant, and between the sit up and other flexibility types were low significan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back muscle strength and the flexibility types of 5 categories were low significant and mostly insignificant.3. High correlations were achieved between the measurements of standing and bending reach test and sit and reach test,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lexibility of trunk flexion types and trunk extension types were moderate significant.4.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ments of trunk extension and bridge up Ⅱ was moderate significant, bu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sion flexibility types in the same categories was relatively low to it of flexibility types in other categories.5. None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trunk rotation flexibility and all anthropometric measurements, the measurements of sit up and back muscle strength, and other flexibility types. Maybe the trunk rotation flexibility was specific to the other flexibility types studied.6. High correlation was acquired between the right to left split of legs, and the front to rear split of legs7.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linear measurements and the bending, twist, and touch test of dynamic flexibility were low, but the means of that should be interpreted at the aspect of the human structures and function.8. The methods of the linear measurement for the various flexibility types should be reconsidered and the new reliable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trunk and hip flexibility should further be developed.
스포츠산업, 경영 : 한국프로야구 규약 및 계약관계와 선수협의회에 대한 법적 고찰
운동생리학 :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적용이 고혈압자의 스트레스 반응 및 운동부하시 혈압에 미치는 영향
운동생리학 : 초등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시기의 체질량지수 변화 양상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들의 비만관리 방안
스포츠산업, 경영 : 생활체육지도자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조직몰입 및 친조직행동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