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 피드백과 학업성취도, 수업이해도, 자기효능감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Teacher Feedback, Achievement, Self-Efficacy, and Understanding of Lesson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사의 피드백이 학생들의 적응적 학업 태도와 성취를 촉진한다는 전통적인 믿음과는 달리, 최근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된 학생이 지각한 교사 피드백은 성취도와 관련성이 없거나 부적인 관련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 같은 결과는 자기보고식 설문 응답에 반영된 개인 간의 안정적 요인(예: 학생의 일관된 성취도 수준, 교사 피드백 지각 수준)과 개인 내 변화 요인(예: 시점과 맥락에 따라 변화하는 동기나 피드백 지각 수준)이 혼입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 간, 개인 내 수준을 구분하여 학생이 지각한 교사 피드백과 국어 성취도(국어 교과 역량 검사 점수, 주관적 수업이해도), 자기효능감 간의 종단적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구교육종단연구(DELS) 2017 초등패널의 2, 3,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해 개인 간 수준의 종단적 관련성을 검증하는 2-lag 교차지연 패널모형(2-lag cross-lagged panel model, 2-lag CLPM)과 개인 내 수준의 종단적 관련성을 검증하는 무선절편 교차지연 패널모형(random-intercept cross-lagged panel model, RI-CLPM) 분석을 시행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개인 간 수준에서는 학생의 국어 성취도, 수업이해도,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피드백 지각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교차지연 경로가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예외적으로, 2차년도 피드백 지각이 3차년도 수업이해도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경로도 확인되었다. 반면, 개인 내 수준에서는 3차년도 수업이해도가 4차년도 피드백 지각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교차지연 경로만이 유의하게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 교실에서 피드백 제공에 대한 실제적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교사의 피드백이 학생들의 적응적 학업 태도와 성취를 촉진한다는 전통적인 믿음과는 달리, 최근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된 학생이 지각한 교사 피드백은 성취도와 관련성이 없거...

      교사의 피드백이 학생들의 적응적 학업 태도와 성취를 촉진한다는 전통적인 믿음과는 달리, 최근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된 학생이 지각한 교사 피드백은 성취도와 관련성이 없거나 부적인 관련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 같은 결과는 자기보고식 설문 응답에 반영된 개인 간의 안정적 요인(예: 학생의 일관된 성취도 수준, 교사 피드백 지각 수준)과 개인 내 변화 요인(예: 시점과 맥락에 따라 변화하는 동기나 피드백 지각 수준)이 혼입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 간, 개인 내 수준을 구분하여 학생이 지각한 교사 피드백과 국어 성취도(국어 교과 역량 검사 점수, 주관적 수업이해도), 자기효능감 간의 종단적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구교육종단연구(DELS) 2017 초등패널의 2, 3,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해 개인 간 수준의 종단적 관련성을 검증하는 2-lag 교차지연 패널모형(2-lag cross-lagged panel model, 2-lag CLPM)과 개인 내 수준의 종단적 관련성을 검증하는 무선절편 교차지연 패널모형(random-intercept cross-lagged panel model, RI-CLPM) 분석을 시행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개인 간 수준에서는 학생의 국어 성취도, 수업이해도,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피드백 지각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교차지연 경로가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예외적으로, 2차년도 피드백 지각이 3차년도 수업이해도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경로도 확인되었다. 반면, 개인 내 수준에서는 3차년도 수업이해도가 4차년도 피드백 지각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교차지연 경로만이 유의하게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 교실에서 피드백 제공에 대한 실제적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eacher feedback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Korean language competency test scores and subjective understanding of lessons), as well as self-efficacy at both the between- and within-person levels. We utilized data from the second to the fourth waves of the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ELS) 2017 Elementary Panel. Two types of analyses were conducted and compared: a 2-lag cross-lagged panel model (2-lag CLPM) to verify longitudinal associations at the between-person level, and a random-intercept cross-lagged panel model (RI-CLPM) to assess longitudinal associations at the within-person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at the between-person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cross-lagged paths where students’ Korean language achievement, understanding of lessons, and self-efficacy positively predicted their perception of teacher feedback. An exception was found in the path where students' perceived feedback in the second wave positively predicted their understanding of lessons in the third wave. In contrast, at the within-person level, only the cross-lagged path from lesson understanding in the third wave to perceived feedback in the fourth wave was significant.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eacher feedback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Korean language competency test scores and subjective understanding of lessons), as well as self-efficacy at both the betwee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eacher feedback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Korean language competency test scores and subjective understanding of lessons), as well as self-efficacy at both the between- and within-person levels. We utilized data from the second to the fourth waves of the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ELS) 2017 Elementary Panel. Two types of analyses were conducted and compared: a 2-lag cross-lagged panel model (2-lag CLPM) to verify longitudinal associations at the between-person level, and a random-intercept cross-lagged panel model (RI-CLPM) to assess longitudinal associations at the within-person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at the between-person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cross-lagged paths where students’ Korean language achievement, understanding of lessons, and self-efficacy positively predicted their perception of teacher feedback. An exception was found in the path where students' perceived feedback in the second wave positively predicted their understanding of lessons in the third wave. In contrast, at the within-person level, only the cross-lagged path from lesson understanding in the third wave to perceived feedback in the fourth wave was significan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