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직무만족도가 높은 사립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A narrative study on the career experiences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ith high job satisf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387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직무만족도가 높은 사립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을 살펴보고, 그 심층에 담긴 의미를 논의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립인 가을유치원(가명)에서 11년째 높은 직무만족도 속에서 근무 중인 안유진 교사(여, 가명)를 대상으로 2024년 7월부터 약 5개월간 내러티브적 대화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 입문 전 안유진 교사는 중학교부터 대학까지 유치원 교직과 관련된 다양한 진로 경험을 하며 유치원 교직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었다. 둘째, 교직 입문 후에는 원장의 유치원 운영 방식이 안유진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하였다. 가을유치원에는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사립유치원 운영상 일부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교사의 기본 복지 보장, 유아 교육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조성, 학부모 민원에 대해 적극적인 교사 보호 등 ‘합리적 독재자’로서 원장의 유치원 운영은 가을유치원의 문제를 상쇄하고 안유진 교사가 높은 직무만족도를 가지도록 하였다. 셋째, 높은 직무만족도 속에서 안유진 교사는 유치원과 유아들을 위해 자신의 직무에 헌신하였고, 유아 교육의 발전을 위해 유아교육학자라는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안유진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을 통해 사립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기본권 보장에서 시작됨과 사립유치원의 문제에 대한 교사들의 무기력감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 양질의 유치원 교사 양성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 교육 정책 전반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직무만족도가 높은 사립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을 살펴보고, 그 심층에 담긴 의미를 논의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립인 가을유치원(가명)에서 11년째 높은 직무만...

      본 연구는 직무만족도가 높은 사립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을 살펴보고, 그 심층에 담긴 의미를 논의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립인 가을유치원(가명)에서 11년째 높은 직무만족도 속에서 근무 중인 안유진 교사(여, 가명)를 대상으로 2024년 7월부터 약 5개월간 내러티브적 대화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 입문 전 안유진 교사는 중학교부터 대학까지 유치원 교직과 관련된 다양한 진로 경험을 하며 유치원 교직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었다. 둘째, 교직 입문 후에는 원장의 유치원 운영 방식이 안유진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하였다. 가을유치원에는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사립유치원 운영상 일부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교사의 기본 복지 보장, 유아 교육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조성, 학부모 민원에 대해 적극적인 교사 보호 등 ‘합리적 독재자’로서 원장의 유치원 운영은 가을유치원의 문제를 상쇄하고 안유진 교사가 높은 직무만족도를 가지도록 하였다. 셋째, 높은 직무만족도 속에서 안유진 교사는 유치원과 유아들을 위해 자신의 직무에 헌신하였고, 유아 교육의 발전을 위해 유아교육학자라는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안유진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을 통해 사립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기본권 보장에서 시작됨과 사립유치원의 문제에 대한 교사들의 무기력감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 양질의 유치원 교사 양성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 교육 정책 전반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rofessional life experiences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ith high job satisfaction and discusses the underlying meanings. To achieve th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arrative conversations over approximately five months, starting in July 2024, with Yujin Ahn (pseudonym), a female teacher who has been working at Ga-eul Kindergarten (pseudonym) for 11 years with consistently high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efore entering the teaching profession, Yujin Ahn gained various career experiences related to kindergarten teaching from middle school to university, which solidified her conviction in pursuing this career. Second, after entering the profession, the kindergarten director’s management style significantly enhanced her job satisfaction. While Ga-eul Kindergarten had some operational issues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on private kindergartens, the director's leadership as a ‘rational dictator’ helped offset these issues by ensuring teachers’ basic welfare, creating an environment conducive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ctively protecting teachers from parental complaints. These factors contributed to Yujin Ahn’s high job satisfaction. Third, with her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she devoted herself to her work for the benefit of the kindergarten and its children, eventually setting a new goal of becom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cholar to contribute further to the field.
      Through the case of Yujin Ah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guaranteeing teachers' fundamental rights as a basis for their job satisfaction. It also emphasizes the need to address teachers’ sense of helplessness regarding the challenges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discusses measures for fostering high-quality kindergarten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are suggested.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professional life experiences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ith high job satisfaction and discusses the underlying meanings. To achieve th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arrative conversations over approximately five month...

      This study examines the professional life experiences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ith high job satisfaction and discusses the underlying meanings. To achieve th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arrative conversations over approximately five months, starting in July 2024, with Yujin Ahn (pseudonym), a female teacher who has been working at Ga-eul Kindergarten (pseudonym) for 11 years with consistently high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efore entering the teaching profession, Yujin Ahn gained various career experiences related to kindergarten teaching from middle school to university, which solidified her conviction in pursuing this career. Second, after entering the profession, the kindergarten director’s management style significantly enhanced her job satisfaction. While Ga-eul Kindergarten had some operational issues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on private kindergartens, the director's leadership as a ‘rational dictator’ helped offset these issues by ensuring teachers’ basic welfare, creating an environment conducive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ctively protecting teachers from parental complaints. These factors contributed to Yujin Ahn’s high job satisfaction. Third, with her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she devoted herself to her work for the benefit of the kindergarten and its children, eventually setting a new goal of becom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cholar to contribute further to the field.
      Through the case of Yujin Ah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guaranteeing teachers' fundamental rights as a basis for their job satisfaction. It also emphasizes the need to address teachers’ sense of helplessness regarding the challenges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discusses measures for fostering high-quality kindergarten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are suggest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