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22 개정 영어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기반한 최소한의 성취기준 개발 연구: 3∼4학년군 = Development of the Minimal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Based o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Grade 3∼4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387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22 개정 영어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초등 3∼4학년군의 기초학력 수준을 변별하는 기준인 최소한의 성취기준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소한의 성취기준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평가 준거인 성취기준별 성취수준을 참고하였다.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교육 정책과 함께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을 조기에 진단하고 지원하는 것이 기초학력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핵심임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에서는 기초학력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진단하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법령, 선행 연구를 분석한 뒤 기초학력에 대한 개념과 범위를 재정리하였으며 최소한의 성취기준 개발 방향을 수립하고 초등학교 영어과 최소한의 성취기준 초안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교사 및 영어교육 전문가에 의한 검토를 통해 내용의 정합성을 제고하였다. 17개 시도교육청 소속 영어 교사들로 구성된 자문단에 의한 현장 적합성 검토를 진행하여 최소한의 성취기준의 내용 타당성을 점검하고 최소한의 성취기준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청회를 개최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최소한의 성취기준을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4학년군의 이해 영역에서 6개, 표현 영역에서 8개의 최소한의 성취기준을 도출하였으며 최소한의 성취기준의 활용도를 제고하고 학생들의 기초학력 미도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22 개정 영어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초등 3∼4학년군의 기초학력 수준을 변별하는 기준인 최소한의 성취기준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소한의 성취기준을 ...

      본 연구는 2022 개정 영어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초등 3∼4학년군의 기초학력 수준을 변별하는 기준인 최소한의 성취기준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소한의 성취기준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평가 준거인 성취기준별 성취수준을 참고하였다.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교육 정책과 함께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을 조기에 진단하고 지원하는 것이 기초학력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핵심임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에서는 기초학력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진단하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법령, 선행 연구를 분석한 뒤 기초학력에 대한 개념과 범위를 재정리하였으며 최소한의 성취기준 개발 방향을 수립하고 초등학교 영어과 최소한의 성취기준 초안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교사 및 영어교육 전문가에 의한 검토를 통해 내용의 정합성을 제고하였다. 17개 시도교육청 소속 영어 교사들로 구성된 자문단에 의한 현장 적합성 검토를 진행하여 최소한의 성취기준의 내용 타당성을 점검하고 최소한의 성취기준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청회를 개최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최소한의 성취기준을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4학년군의 이해 영역에서 6개, 표현 영역에서 8개의 최소한의 성취기준을 도출하였으며 최소한의 성취기준의 활용도를 제고하고 학생들의 기초학력 미도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minimal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based o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tending to assess students’ basic academic abilities using these standards. Primarily, we reviewed literature related to Korean educational policies, achievement standards from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omestic studies on basic academic abilities, and minimal achievement standards. The initial draft emerged from several discussions among working group members. This draft was refined through a Delphi survey conducted by a group of education professionals and feedback collected during public hear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nticipate effective support for students with basic academic abiliti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minimal achievement standards aligned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s.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learning support materials grounded in these minimal achievement standards are essential. Additionally, we propose a systematic study of the minimal achievement standard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velop minimal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based o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tending to assess students’ basic academic abilities using these standards. Primarily, we reviewed literature rel...

      This study aims to develop minimal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based o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tending to assess students’ basic academic abilities using these standards. Primarily, we reviewed literature related to Korean educational policies, achievement standards from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omestic studies on basic academic abilities, and minimal achievement standards. The initial draft emerged from several discussions among working group members. This draft was refined through a Delphi survey conducted by a group of education professionals and feedback collected during public hear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nticipate effective support for students with basic academic abiliti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minimal achievement standards aligned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s.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learning support materials grounded in these minimal achievement standards are essential. Additionally, we propose a systematic study of the minimal achievement standard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