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관 -선조이후를 중심으로 = Culture : The Ideas on Education Represented in Joseonwangjosilok(『조선왕조실록』) -Focused on the era after King Seonjo(선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360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과 관련된 내용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생각하고 행했던 교육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교육내용과 바람직한 교사상, 기타 교육에 대해 기울인 다양한 관심들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국사편찬위원회가 국역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의 범위는 선조부터 순조까지로 국한했다. 먼저 그들이 생각한 교육의 목적은 인재양성을 가장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시한 교육내용은 『소학』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육방법으로는 개별화교육을 강조하고 암기식 교육을 지양했으며, 상벌로 격려해주어야 한다는 등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훌륭한 교사상으로는 어진사람과 행실에 있어 사표가 되는 사람 그리고 노성한 사람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다. 그 외 가정교육을 중시했다거나 외국인을 활용한 교육을 권했다는 점 그리고 교사와 학생간의 도리를 강조하고 교육에 귀천이 있을 수 없으며 직임을 못하는 교사는 도태시켜야 한다는 등 요즘 우리가 안고 있는 교육문제 혹은 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내용들에 대해 이미 밝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의 이러한 교육적 관점들은 오늘 우리 교육을 이해하고 평가하며 우리의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과 관련된 내용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생각하고 행했던 교육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교육내용과 바람직한 교사상, 기타 교육에 대해 기울인 다양한 ...

      이 글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과 관련된 내용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생각하고 행했던 교육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교육내용과 바람직한 교사상, 기타 교육에 대해 기울인 다양한 관심들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국사편찬위원회가 국역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의 범위는 선조부터 순조까지로 국한했다. 먼저 그들이 생각한 교육의 목적은 인재양성을 가장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시한 교육내용은 『소학』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육방법으로는 개별화교육을 강조하고 암기식 교육을 지양했으며, 상벌로 격려해주어야 한다는 등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훌륭한 교사상으로는 어진사람과 행실에 있어 사표가 되는 사람 그리고 노성한 사람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다. 그 외 가정교육을 중시했다거나 외국인을 활용한 교육을 권했다는 점 그리고 교사와 학생간의 도리를 강조하고 교육에 귀천이 있을 수 없으며 직임을 못하는 교사는 도태시켜야 한다는 등 요즘 우리가 안고 있는 교육문제 혹은 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내용들에 대해 이미 밝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의 이러한 교육적 관점들은 오늘 우리 교육을 이해하고 평가하며 우리의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ses many types of specifics regarding education, which is represented in Joseonwangjosilok(『조선왕조실록』). Especially focused on purposes, methods, contents of education and desirable teacher at that times, this study analyse various ideas on education. The range of this analysis is limited from the era of King Seonjo(선조) to the era of King Sunjo(순조), and materials, which is translated into korean,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국사편찬위원회) were used for this study. At that eras, the cultivating human resources wa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book, Sohak(소학)was considered as the most essential and most valuable contents of teaching. The ideal methods of education at that times were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leaning on memorizing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desirable teacher should be benevolent and have wide experience as well as be a model in behaving. Also, at that eras, people were considering home education serious, encouraging teachers to educate through foreigners. And they emphasized dut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tressed all students are equally honorable and wished all teachers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their students. Their attitude to education like these closely resembles what we are emphasizing about education now and offers solutions to our educational problems we have had. Therefore their many types of ideas on education at that times can be guidance for understanding and resolving our education as well as educational problems.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ses many types of specifics regarding education, which is represented in Joseonwangjosilok(『조선왕조실록』). Especially focused on purposes, methods, contents of education and desirable teacher at that times, this study analys...

      This study analyses many types of specifics regarding education, which is represented in Joseonwangjosilok(『조선왕조실록』). Especially focused on purposes, methods, contents of education and desirable teacher at that times, this study analyse various ideas on education. The range of this analysis is limited from the era of King Seonjo(선조) to the era of King Sunjo(순조), and materials, which is translated into korean,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국사편찬위원회) were used for this study. At that eras, the cultivating human resources wa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book, Sohak(소학)was considered as the most essential and most valuable contents of teaching. The ideal methods of education at that times were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leaning on memorizing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desirable teacher should be benevolent and have wide experience as well as be a model in behaving. Also, at that eras, people were considering home education serious, encouraging teachers to educate through foreigners. And they emphasized dut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tressed all students are equally honorable and wished all teachers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their students. Their attitude to education like these closely resembles what we are emphasizing about education now and offers solutions to our educational problems we have had. Therefore their many types of ideas on education at that times can be guidance for understanding and resolving our education as well as educational proble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환, "현장 교육학" 동문사 2010

      2 김종철, "최신 교사론" 교육과학사 1996

      3 김익수, "참된 삶을 일깨우는 효 사상 연구" 인천광역시 교육청

      4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5 지옥정, "유아교육개론" 창지사 2010

      6 차하순, "역사의 본질과 인식" 학연사 1988

      7 윤정일, "신교육의 이해" 학지사 2008

      8 김익수, "동방소학" 수덕문화사 2011

      9 이칭찬, "교직실무이론" 동문사 2010

      10 김종운, "교직실무" 동문사 2010

      1 김미환, "현장 교육학" 동문사 2010

      2 김종철, "최신 교사론" 교육과학사 1996

      3 김익수, "참된 삶을 일깨우는 효 사상 연구" 인천광역시 교육청

      4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5 지옥정, "유아교육개론" 창지사 2010

      6 차하순, "역사의 본질과 인식" 학연사 1988

      7 윤정일, "신교육의 이해" 학지사 2008

      8 김익수, "동방소학" 수덕문화사 2011

      9 이칭찬, "교직실무이론" 동문사 2010

      10 김종운, "교직실무" 동문사 2010

      11 이윤식, "교직과 교사" 학지사 2008

      12 이해경, "교육학의 이해" 학지사 2008

      13 김은영, "교육학의 이해" 동문사 2010

      14 이형행, "교육학개론" 공동체 2010

      15 한상길, "교육학개론" 공동체 2010

      16 최철용, "교육학개론" 양서원 2009

      17 신차균, "교육철학 및 교육사의 이해" 학지사 2008

      18 이주한, "교육의 역사와 철학의 탐구" 창지사 2010

      19 조병규, "교육사" 교육과학사 1981

      20 A. W. Combs, "교사교육의 혁신" 교육과학사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