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로 진행되는 대학 강의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느끼는 불안 연구 = A Study on Language Anxiety: International Students’ Anxiety in Korean Lect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77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ernational students’ anxiety in lectures that are delivered in the Korean language. In general, foreign students are accepted in Korean universities after they achieve certain level of Korean in a language institute. Once entering a university, they attend lectures and participate in relevant activities from Korean professors in Korean. However, it is reported that only about 30% of all international students are TOPIK level 4 or above, which is the minimum level for college scholastic ability. Rest of them, lower than level 4. In reality, under level 4 is unlikely to successfully complete a college course in Korea. To improve such a situation, many supportive curricula have been developed for foreign students that have less competent Korean communication skills. Along with those curricula,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believe that anxiety that international students have should be examined first: What kinds of anxiety do they have? And what causes anxiety? To describe the anxiety,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of 137 foreign students, examining their learning style, listening comprehension, and listening anxiety to analyze relations with lecture anxiety.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lecture anxiety of international students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istening comprehension and listening anxiety, rather than learning style.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ernational students’ anxiety in lectures that are delivered in the Korean language. In general, foreign students are accepted in Korean universities after they achieve certain level of Korean in a language ins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ernational students’ anxiety in lectures that are delivered in the Korean language. In general, foreign students are accepted in Korean universities after they achieve certain level of Korean in a language institute. Once entering a university, they attend lectures and participate in relevant activities from Korean professors in Korean. However, it is reported that only about 30% of all international students are TOPIK level 4 or above, which is the minimum level for college scholastic ability. Rest of them, lower than level 4. In reality, under level 4 is unlikely to successfully complete a college course in Korea. To improve such a situation, many supportive curricula have been developed for foreign students that have less competent Korean communication skills. Along with those curricula,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believe that anxiety that international students have should be examined first: What kinds of anxiety do they have? And what causes anxiety? To describe the anxiety,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of 137 foreign students, examining their learning style, listening comprehension, and listening anxiety to analyze relations with lecture anxiety.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lecture anxiety of international students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istening comprehension and listening anxiety, rather than learning sty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혜,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유형이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42 : 139-172, 2018

      2 김지혜,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유형과 듣기 불안의 상관관계 연구" 우리말글학회 77 : 23-49, 2018

      3 차준우,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4 하창순, "한국대학생과 조선족 및 한족 중국유학생간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 비교연구"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1 (31): 317-328, 2010

      5 서선자, "재한 일본 유학생의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유형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3 (33): 35-47, 2012

      6 나임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영리학회 5 (5): 159-197, 2006

      7 박은경,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와 지역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대구ꞏ경북지역대학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1 (1): 113-139, 2011

      8 김성주, "영어로 진행하는 원어수업에서 느끼는 대학생들의 듣기 불안" 외국어교육연구소 21 (21): 1-28, 2007

      9 차혜경, "영어 수업환경의 유형에 따른 언어불안 정도와 불안요인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6014-6028, 2014

      10 유영은, "언어 불안이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소집단 협동학습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 김지혜,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유형이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42 : 139-172, 2018

      2 김지혜,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유형과 듣기 불안의 상관관계 연구" 우리말글학회 77 : 23-49, 2018

      3 차준우,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4 하창순, "한국대학생과 조선족 및 한족 중국유학생간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 비교연구"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1 (31): 317-328, 2010

      5 서선자, "재한 일본 유학생의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유형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3 (33): 35-47, 2012

      6 나임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영리학회 5 (5): 159-197, 2006

      7 박은경,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와 지역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대구ꞏ경북지역대학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1 (1): 113-139, 2011

      8 김성주, "영어로 진행하는 원어수업에서 느끼는 대학생들의 듣기 불안" 외국어교육연구소 21 (21): 1-28, 2007

      9 차혜경, "영어 수업환경의 유형에 따른 언어불안 정도와 불안요인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6014-6028, 2014

      10 유영은, "언어 불안이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소집단 협동학습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1 김성엽,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과 선교적 접근전략" 한국로고스경영학회 9 (9): 194-213, 2011

      12 MacIntyre, Peter D, "The subtle effects of language anxiety on cognitive processing in the second language" 44 (44): 283-305, 1994

      13 Brown, H,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rentice Hall 2007

      14 Willing, K, "Learning styles in Adult Migrant Education" National Curriculum Research Council 1988

      15 Park, Gi-Pyo,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nd English proficiency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30 (30): 211-, 1997

      16 Horwitz, E. K, "Language anxiety : from theory and research to classroom implications" Prentice Hall 1991

      17 Horwitz, E.K,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70 (70): 125-132, 1986

      18 Littlewood, William, "Foreign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 language-acquisition research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19 김중섭, "2017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 국립국어원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 1.56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