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구한말 지형도” 지명에 나타나는 ‘뫼(山)’ 등의 분포 양상에 대하여 = Distribution of the words to mean a mountain in Guhanmal-Hanbando Topographical Ma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19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distribution of the vocabulary to mean "mountain" by place names of the map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article studies a one-50,000th topographical maps which Japan produced from 1895 through 1906 in the Korean Peninsula. The place names of those maps are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and the method to read are written in katakana words aside. Through this katakana words, we can know how the then place name was read.
      The word to mean a mountain in Middle Korean was ‘moe(뫼ㅎ)’, however, by the 19th century, this word became extinct under the influence of the ‘san(산)’ which was a word derived from Chinese. But ‘moe’ is not used in the daily language life, but is left in the place name in the form of ‘me(메, 매)’, ‘mi(미)’.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for the place names, the following things became clear about distribution of the vocabulary to mean a mountain.
      (1) ‘Me’ are distributed in a large area from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peninsula to the northwestern part.
      (2) ‘Mi’ are distributed around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that are the central part of the peninsula.
      (3) The area where both 'mi' and 'me' are distributed over is in Gyeonggi-do, Chungcheongdo.
      Therefore, firstly ‘moe’ turned into ‘me’ and were used in a large area, but ‘mi’ appear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peninsula, and the use range seemed to gradually enlarge it.
      번역하기

      A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distribution of the vocabulary to mean "mountain" by place names of the map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article studies a one-50,000th topographical maps which Japan produced from 1895 through 1906 in the Kor...

      A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distribution of the vocabulary to mean "mountain" by place names of the map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article studies a one-50,000th topographical maps which Japan produced from 1895 through 1906 in the Korean Peninsula. The place names of those maps are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and the method to read are written in katakana words aside. Through this katakana words, we can know how the then place name was read.
      The word to mean a mountain in Middle Korean was ‘moe(뫼ㅎ)’, however, by the 19th century, this word became extinct under the influence of the ‘san(산)’ which was a word derived from Chinese. But ‘moe’ is not used in the daily language life, but is left in the place name in the form of ‘me(메, 매)’, ‘mi(미)’.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for the place names, the following things became clear about distribution of the vocabulary to mean a mountain.
      (1) ‘Me’ are distributed in a large area from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peninsula to the northwestern part.
      (2) ‘Mi’ are distributed around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that are the central part of the peninsula.
      (3) The area where both 'mi' and 'me' are distributed over is in Gyeonggi-do, Chungcheongdo.
      Therefore, firstly ‘moe’ turned into ‘me’ and were used in a large area, but ‘mi’ appear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peninsula, and the use range seemed to gradually enlarge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본 연구는 구한말에 제작된 5만분의1 지형도인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와 1911년-12년에 걸쳐 제작된 “제2차 지형도”의 지명 및 그 주음(註音)을 통해 ‘산(山)’을 나타내는 어휘의 분포를 밝히고 그 변천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세 국어에서 ‘산’을 나타내는 고유어 어휘는 ‘뫼ㅎ’이며 이 어휘는 문헌상에서 18세기 중엽까지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한자어인 ‘산(山)’의 영향으로 점차 도태되고 실제 언어생활에서 소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산악 명칭 및 산악에서 유래된 지명에는 여전히 ‘뫼’가 포함돼 있으며, ‘뫼’에서 변화된 것으로 보이는 ‘메’, ‘매’, ‘미’가 포함된 지명도 넓은 범위에 분포돼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 및 “제2차 지형도” 지명의 주음을 통해 ‘산’을 나타내는 어휘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자어인 ‘산’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고 반면에 고유어인 ‘뫼’, ‘메’, ‘매’, ‘미’ 등도 6% 정도에 불과했다. 그 분포를 살펴본 결과 지형도 상에서 ‘メ(me)’로 주음된 ‘뫼’, ‘메’, ‘매’는 한반도 각 지역에서 넓은 분포를 보인 반면에 ‘ミ(mi)’로 주음된 ‘미’는 주로 경기도․충청도에서 집중적인 분포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산을 나타내는 고유어는 ‘뫼’가 가장 오래된 형태이며 ‘뫼’에서 변화된 ‘메’, ‘매’ 등이 널리 쓰였다가 한반도 중앙에서 생겨난 ‘미’가 점차 세력을 확대시켜 나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한자어인 ‘산’의 세력 확장으로 이들 고유어 어휘는 도태되어 지명이나 한자의 자석(字釋) 등에 화석화된 형태로 남은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이본 연구는 구한말에 제작된 5만분의1 지형도인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와 1911년-12년에 걸쳐 제작된 “제2차 지형도”의 지명 및 그 주음(註音)을 통해 ‘산(山)’을 나타내는 어휘의 분...

      이본 연구는 구한말에 제작된 5만분의1 지형도인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와 1911년-12년에 걸쳐 제작된 “제2차 지형도”의 지명 및 그 주음(註音)을 통해 ‘산(山)’을 나타내는 어휘의 분포를 밝히고 그 변천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세 국어에서 ‘산’을 나타내는 고유어 어휘는 ‘뫼ㅎ’이며 이 어휘는 문헌상에서 18세기 중엽까지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한자어인 ‘산(山)’의 영향으로 점차 도태되고 실제 언어생활에서 소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산악 명칭 및 산악에서 유래된 지명에는 여전히 ‘뫼’가 포함돼 있으며, ‘뫼’에서 변화된 것으로 보이는 ‘메’, ‘매’, ‘미’가 포함된 지명도 넓은 범위에 분포돼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 및 “제2차 지형도” 지명의 주음을 통해 ‘산’을 나타내는 어휘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자어인 ‘산’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고 반면에 고유어인 ‘뫼’, ‘메’, ‘매’, ‘미’ 등도 6% 정도에 불과했다. 그 분포를 살펴본 결과 지형도 상에서 ‘メ(me)’로 주음된 ‘뫼’, ‘메’, ‘매’는 한반도 각 지역에서 넓은 분포를 보인 반면에 ‘ミ(mi)’로 주음된 ‘미’는 주로 경기도․충청도에서 집중적인 분포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산을 나타내는 고유어는 ‘뫼’가 가장 오래된 형태이며 ‘뫼’에서 변화된 ‘메’, ‘매’ 등이 널리 쓰였다가 한반도 중앙에서 생겨난 ‘미’가 점차 세력을 확대시켜 나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한자어인 ‘산’의 세력 확장으로 이들 고유어 어휘는 도태되어 지명이나 한자의 자석(字釋) 등에 화석화된 형태로 남은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한글학회 1966

      2 김무림, "한국어 어원 사전" 지식과 교양 2012

      3 이기갑, "전라남도의 언어지리" 탑출판사 1986

      4 김종혁, "디지털시대 인문학의 새 방법론으로서의전자문화지도" 한국국학진흥원 1 (1): 263-290, 2008

      5 김종혁, "고지명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19세기 지명의 지역별·유형별 분포 특징"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 (20): 51-78, 2008

      6 김형규, "韓國方言研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4

      7 光岡雅彦, "韓国古地名の謎" 学生社 1982

      8 송기중, "近代 地名에 남은 訓讀 表記" 한국지명학회 6 : 177-216, 2001

      9 南縈佑, "植民下以前の韓半島における日本の軍用秘図作製, In 近代日本の地図作製とアジア太平洋地域" 大阪大学出版会 210-227, 2006

      10 小倉進平, "朝鮮語方言の研究" 岩波書店 1994

      1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한글학회 1966

      2 김무림, "한국어 어원 사전" 지식과 교양 2012

      3 이기갑, "전라남도의 언어지리" 탑출판사 1986

      4 김종혁, "디지털시대 인문학의 새 방법론으로서의전자문화지도" 한국국학진흥원 1 (1): 263-290, 2008

      5 김종혁, "고지명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19세기 지명의 지역별·유형별 분포 특징"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 (20): 51-78, 2008

      6 김형규, "韓國方言研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4

      7 光岡雅彦, "韓国古地名の謎" 学生社 1982

      8 송기중, "近代 地名에 남은 訓讀 表記" 한국지명학회 6 : 177-216, 2001

      9 南縈佑, "植民下以前の韓半島における日本の軍用秘図作製, In 近代日本の地図作製とアジア太平洋地域" 大阪大学出版会 210-227, 2006

      10 小倉進平, "朝鮮語方言の研究" 岩波書店 1994

      11 河野六郎, "朝鮮方言試攷-"鋏"語考-" 東都書籍 1945

      12 谷屋鄕子, "朝鮮半島の外邦図の作製過程" 大阪大学文学部卒業論文 2004

      13 清水靖夫, "日本統治機関作製にかかる朝鮮半島地図の概要, In 近代日本の地図作製とアジア太平洋地域" 大阪大学出版会 131-183, 2009

      14 백두현, "嶺南 文獻語의 音韻史 研究" 태학사 1992

      15 姜信沆, "外來語의 實態와 그 受容對策, In 韓國語文의 諸問題" 一志社 116-191, 2001

      16 이기문, "國語 語彙史 研究" 동아출판사 1990

      17 김종혁,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에 수록된 지명의 유형 분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1 (21): 58-75, 2009

      18 미즈노 슌페이,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 지명에 나타난 ㄱ구개음화 현상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18 : 75-95, 2012

      19 미즈노 슌페이,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 지명의 자료적 가치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17 : 105-140,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7 0.6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