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 참여시 소비자가 경험하는 플로우의 역할 = Role of Flow that Customers Experience upon Participating in Design Process for Mass Customization of Clothing Produ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603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소비자가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의류제품의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였을 때 디자인 과정의 참여수준과 개인의 참여능력에 따라 경험할 수 있는 플로우에 대한 차이와 이때 경험한 플로우가 소비자의 만족도와 최종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첫째, 소비자가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는 수준이 플로우, 만족도, 최종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둘째,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에서 소비자의 참여능력과 만족도의 상관관계에 있어 플로우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밝힌다. 셋째,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에서 소비자의 참여능력과 플로우의 상관관계에 대한 소비자 참여수준의 조절효과를 밝힌다.
      거주지가 서울인 20~30대의 성인 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질문지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총 600명을 할당하였다. 티셔츠, 블라우스, 쟈켓의 3참여수준으로 조작화하였으며, 참여수준 집단 별로 플로우에 대한 경험 정도에 차이가 났는데, 즐거움 요인에서는 티셔츠, 블라우스, 쟈켓 집단, 집중력 요인에서 티셔츠와 쟈켓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제품만족도에서 블라우스와 쟈켓을 제작한 집단, 전체만족도에서도 블라우스와 쟈켓 집단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 참여능력’→ ‘플로우’, ‘플로우’ → ‘만족도’, ‘만족도’ → ‘최종구매의도’의 경로들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플로우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소비자가 디자인 제작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형성된 제품만족도와 과정만족도는 제품과 과정에 대한 전체만족도와 최종 구매의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졌고, 과정만족도가 최종 구매의도에 더 큰 영향력을 지녔다. 또한 소비자가 참여하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수준에 따라 소비자의 참여능력이 플로우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을 통해 구매행동의 변화를 살펴 봄으로써, 소비자가 직접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여 의류제품을 구매하게 될 경우에 플로우를 경험하고, 플로우를 통해서 만족도와 최종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는 제공하는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이용할 때 소비자의 만족도와 최종 구매의도에 플로우가 매개 역할을 한다. 기업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가치는 목표 소비자의 기호와 개성을 더욱 잘 이해하고, 소비자가 의류제품을 구매할 때 만족감을 느끼게끔 대처할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소비자가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의류제품의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였을 때 디자인 과정의 참여수준과 개인의 참여능력에 따라 경험할 수 있는 플로우에 대한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의류제품의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였을 때 디자인 과정의 참여수준과 개인의 참여능력에 따라 경험할 수 있는 플로우에 대한 차이와 이때 경험한 플로우가 소비자의 만족도와 최종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첫째, 소비자가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는 수준이 플로우, 만족도, 최종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둘째,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에서 소비자의 참여능력과 만족도의 상관관계에 있어 플로우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밝힌다. 셋째,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에서 소비자의 참여능력과 플로우의 상관관계에 대한 소비자 참여수준의 조절효과를 밝힌다.
      거주지가 서울인 20~30대의 성인 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질문지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총 600명을 할당하였다. 티셔츠, 블라우스, 쟈켓의 3참여수준으로 조작화하였으며, 참여수준 집단 별로 플로우에 대한 경험 정도에 차이가 났는데, 즐거움 요인에서는 티셔츠, 블라우스, 쟈켓 집단, 집중력 요인에서 티셔츠와 쟈켓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제품만족도에서 블라우스와 쟈켓을 제작한 집단, 전체만족도에서도 블라우스와 쟈켓 집단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 참여능력’→ ‘플로우’, ‘플로우’ → ‘만족도’, ‘만족도’ → ‘최종구매의도’의 경로들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플로우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소비자가 디자인 제작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형성된 제품만족도와 과정만족도는 제품과 과정에 대한 전체만족도와 최종 구매의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졌고, 과정만족도가 최종 구매의도에 더 큰 영향력을 지녔다. 또한 소비자가 참여하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수준에 따라 소비자의 참여능력이 플로우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을 통해 구매행동의 변화를 살펴 봄으로써, 소비자가 직접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여 의류제품을 구매하게 될 경우에 플로우를 경험하고, 플로우를 통해서 만족도와 최종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는 제공하는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이용할 때 소비자의 만족도와 최종 구매의도에 플로우가 매개 역할을 한다. 기업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가치는 목표 소비자의 기호와 개성을 더욱 잘 이해하고, 소비자가 의류제품을 구매할 때 만족감을 느끼게끔 대처할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4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4
      • 제 2 장 이론적 배경 7
      • 제 1 절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Mass Customization) 7
      • 1.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Mass Customization)의 개념 7
      • 2.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10
      • 1)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에의 소비자 참여 13
      • (1) 소비자의 참여시점 13
      • (2) 소비자의 참여수준 16
      • 2)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 22
      • 제 2 절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과정 참여에서의 플로우(Flow) 25
      • 1. 플로우(Flow) 25
      • 1) 플로우(Flow)의 개념 25
      • 2) 플로우의 구성요소 29
      • 2. 플로우의 자극 요인 31
      • 1) 과제 난이도와 숙련도 31
      • 2)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 참여시 플로우 자극요인 36
      • (1) 과제 난이도 37
      • (2) 숙련도 38
      • ① 제품지식 39
      • ② 선호명확성 40
      • ③ 유행혁신성 42
      • 3. 플로우가 구매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43
      • 1) 플로우가 구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3
      • 2) 플로우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47
      • 제 3 장 실증적 연구방법 및 자료분석 49
      • 제 1 절 연구 문제와 연구 모형 49
      • 1. 연구문제 49
      • 2. 연구 모형 52
      • 제 2 절 연구 절차 53
      • 1. 연구 진행의 개요 53
      • 2. 예비조사 57
      • 1) 예비조사Ⅰ: 면접조사 57
      • 2) 예비조사 Ⅱ: 자극물 조작 61
      • 3) 조작 확인 67
      • 4) 측정도구의 개발 68
      • 3. 본조사 69
      • 1) 소비자의 디자인 과정 참여능력에 관한 측정 71
      • 2) 소비자 인구통계적 특성에 관한 측정 73
      • 3) 소비자의 플로우에 관한 측정 75
      • 4)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 참여시 만족도에 관한 측정 77
      • 5) 소비자 구매의도에 관한 측정 78
      • 4. 실험 절차 79
      • 제 3 절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80
      • 1.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 80
      • 1) 예비조사 80
      • 2) 본조사 81
      • 2. 자료분석 82
      • 제 4 장 결과 및 논의 84
      • 제 1 절 표본의 특성 84
      • 1. 인구통계적 특성 84
      • 2. 의류제품과 관련된 소비자 특성 88
      • 제 2 절 플로우 90
      • 1. 플로우의 요인 분석 90
      • 제 3 절 참여수준 집단의 동질성 확인 92
      • 제 4 절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 참여시 참여수준 집단에 따른 플로우, 만족도, 최종 구매의도최종구매의도의 차이
      • 96
      • 1. 디자인 과정 참여시 참여수준 집단에 따른 플로우 차이 96
      • 2. 디자인 과정에의 참여수준 집단에 따른 만족도 차이 98
      • 3. 디자인 과정에의 참여수준 집단에 따른 최종 구매의도최종구매의도 차이 100
      • 제 5 절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에서
      • 소비자의 참여능력과 만족도, 최종 구매의도최종구매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 플로우의 매개효과 101
      • 1. 측정모델: 각 변수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102
      • 2. 이론모델: 소비자 특성을 통한 플로우의 영향 모형 구성 106
      • 3. 의류제품 디자인 과정에의 만족도 참여수준 및 최종 구매의도최종구매의도 112
      • 4. 의류제품 디자인 과정 참여 후 최종 구매의도최종구매의도 113
      • 제 6 절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에서
      • 소비자 참여능력과 플로우의 관계에 대한 참여수준의 조절효과
      • 116
      • 1. 디자인 과정에의 참여 수준에 따른 소비자 참여능력이 플로우에
      • 미치는 영향 116
      • 제 5 장 요약 및 결론 129
      • 참 고 문 헌 136
      • 부 록 145
      • ABSTRACT 1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