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비자가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의류제품의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였을 때 디자인 과정의 참여수준과 개인의 참여능력에 따라 경험할 수 있는 플로우에 대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소비자가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의류제품의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였을 때 디자인 과정의 참여수준과 개인의 참여능력에 따라 경험할 수 있는 플로우에 대한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의류제품의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였을 때 디자인 과정의 참여수준과 개인의 참여능력에 따라 경험할 수 있는 플로우에 대한 차이와 이때 경험한 플로우가 소비자의 만족도와 최종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첫째, 소비자가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는 수준이 플로우, 만족도, 최종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둘째,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에서 소비자의 참여능력과 만족도의 상관관계에 있어 플로우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밝힌다. 셋째,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에서 소비자의 참여능력과 플로우의 상관관계에 대한 소비자 참여수준의 조절효과를 밝힌다.
거주지가 서울인 20~30대의 성인 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질문지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총 600명을 할당하였다. 티셔츠, 블라우스, 쟈켓의 3참여수준으로 조작화하였으며, 참여수준 집단 별로 플로우에 대한 경험 정도에 차이가 났는데, 즐거움 요인에서는 티셔츠, 블라우스, 쟈켓 집단, 집중력 요인에서 티셔츠와 쟈켓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제품만족도에서 블라우스와 쟈켓을 제작한 집단, 전체만족도에서도 블라우스와 쟈켓 집단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 참여능력’→ ‘플로우’, ‘플로우’ → ‘만족도’, ‘만족도’ → ‘최종구매의도’의 경로들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플로우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소비자가 디자인 제작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형성된 제품만족도와 과정만족도는 제품과 과정에 대한 전체만족도와 최종 구매의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졌고, 과정만족도가 최종 구매의도에 더 큰 영향력을 지녔다. 또한 소비자가 참여하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수준에 따라 소비자의 참여능력이 플로우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을 통해 구매행동의 변화를 살펴 봄으로써, 소비자가 직접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여 의류제품을 구매하게 될 경우에 플로우를 경험하고, 플로우를 통해서 만족도와 최종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는 제공하는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이용할 때 소비자의 만족도와 최종 구매의도에 플로우가 매개 역할을 한다. 기업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가치는 목표 소비자의 기호와 개성을 더욱 잘 이해하고, 소비자가 의류제품을 구매할 때 만족감을 느끼게끔 대처할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