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과 의사소통 명확성이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Clarity of Communication on Behavior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과 의사소통 명확성이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충북과 강원도에 소재한 2곳의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4학년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은 의사소통 명확성(r=.645, p<.001), 환자안전관리 행위(r=.694,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사소통 명확성도 환자안전관리 행위(r=.833,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β=.27, p<.001), 의사소통 명확성(β=.65, p<.001)으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75.2%이었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행위 증진을 위해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과 의사소통 명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개발과 더불어 실제 시뮬레이션실습 수업에서 환자안전관리 시나리오 적용을 통한 몰입태도와 적극성을 높여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과 의사소통 명확성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과 의사소통 명확성이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충북과 강원도에 소재한 2곳의 대학교 ...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과 의사소통 명확성이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충북과 강원도에 소재한 2곳의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4학년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은 의사소통 명확성(r=.645, p<.001), 환자안전관리 행위(r=.694,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사소통 명확성도 환자안전관리 행위(r=.833,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β=.27, p<.001), 의사소통 명확성(β=.65, p<.001)으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75.2%이었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행위 증진을 위해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과 의사소통 명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개발과 더불어 실제 시뮬레이션실습 수업에서 환자안전관리 시나리오 적용을 통한 몰입태도와 적극성을 높여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과 의사소통 명확성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혜, "환자안전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및 수행자신감"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2 한승희, "환자안전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안전관리 태도 및 안전관리 행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61-670, 2018

      3 김은경 ; 강민아 ; 김희정,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의료 종사자의 인식과 경험" 간호행정학회 13 (13): 321-334, 2007

      4 한지희, "입원아동 안전사고에 대한 간호관리활동 구조모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5 박정숙 ; 최미정 ; 장순양, "임상실습 전 임상수행능력평가(CPX)가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자신감과 비판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1 (21): 75-85, 2015

      6 박진경 ; 서임선,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65-682, 2020

      7 김승주,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수행 구조모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연하 ; 황선영 ; 이애영, "신규졸업간호사가 지각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37-46, 2014

      9 박미정 ; 김인숙 ; 함영림, "병원 의료종사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32-341, 2013

      10 김선호 ; 김은만 ; 최윤경 ; 이향열 ; 박미미 ; 조의영 ; 김을순, "국내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수인계 현황에 대한 조사연구" 병원간호사회 19 (19): 181-194, 2013

      1 박정혜, "환자안전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및 수행자신감"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2 한승희, "환자안전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안전관리 태도 및 안전관리 행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61-670, 2018

      3 김은경 ; 강민아 ; 김희정,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의료 종사자의 인식과 경험" 간호행정학회 13 (13): 321-334, 2007

      4 한지희, "입원아동 안전사고에 대한 간호관리활동 구조모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5 박정숙 ; 최미정 ; 장순양, "임상실습 전 임상수행능력평가(CPX)가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자신감과 비판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1 (21): 75-85, 2015

      6 박진경 ; 서임선,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65-682, 2020

      7 김승주,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수행 구조모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연하 ; 황선영 ; 이애영, "신규졸업간호사가 지각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37-46, 2014

      9 박미정 ; 김인숙 ; 함영림, "병원 의료종사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32-341, 2013

      10 김선호 ; 김은만 ; 최윤경 ; 이향열 ; 박미미 ; 조의영 ; 김을순, "국내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수인계 현황에 대한 조사연구" 병원간호사회 19 (19): 181-194, 2013

      11 박영례, "간호학생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자신감" 기본간호학회 14 (14): 429-436, 2007

      12 이수지 ; 신기수 ; 조미경,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행위 및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343-352, 2018

      13 윤지원,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안전간호 수행자신감이 환자안전관리 실천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14) : 31-45, 2021

      14 이주영 ; 이송현,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문화 태도와 환자안전관리 실천이 임상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9 (19): 125-132, 2017

      15 장경숙,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 24 (24): 358-366, 2018

      16 송미옥 ; 문정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 9 (9): 379-388, 2018

      17 손숙현 ; 박정숙,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및 안전관리 행위"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9 (29): 1043-1053, 2017

      18 정현숙 ; 공정현 ; 전미양,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융합학회 8 (8): 121-130, 2017

      19 임진실 ; 이진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8 (38): 88-98, 2021

      20 박정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적 연구" 중소기업융합학회 11 (11): 73-82, 2021

      21 박정하,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역량과 환자안전관리 행위"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216-223, 2019

      22 정애화 ; 김지영 ; 문미영,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동안 적용한 SBAR 보고교육이 의사소통명 확성, 의사소통만족도, 보고자신감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8 (38): 1129-1142, 2021

      23 문덕희, "간호대학생의 안전동기, 안전관리 수행자신감이 안전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융합학회 11 (11): 67-74, 2021

      24 유하나 ; 이해영, "간호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관리활동 측정도구에 대한 검증과 적용"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3423-3436, 2014

      25 최은희 ; 이은숙,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의사소통 명확성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대한인간공학회 40 (40): 331-343, 2021

      26 Flin, R., "Year 1 medical undergraduate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 medical error" 43 (43): 1147-1155, 2009

      27 Marshall, S., "The teaching of a structured tool improves the clarity and content of interprofessional clinical communication" 18 (18): 137-140, 2009

      28 Schwendimann, R., "The occurrence, types, consequences and preventability of in-hospital adverse events-a scoping review" 18 (18): 1-13, 2018

      29 조헌하 ; 남금희 ; 박정숙 ; 정효은 ; 정유진, "SBAR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73-81, 2020

      30 김미영 ; 김경숙, "SBAR를 이용한 의사소통이 간호사의의사소통 인식과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병원간호사회 24 (24): 23-33, 2018

      31 조혜진, "SBAR 프로그램 교육이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과 자기표현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3

      32 윤정현 ; 이은주, "SBAR 이용 팀 기반 시뮬레이션 학습이 간호학생의 비판적사고, 의사소통명확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42-49, 2018

      33 Bednash, G. P., "QSEN transforming education" 29 (29): 66-67, 2013

      34 Oza, S. K., "Medical students' engagement in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munication during an interprofessional observed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 A qualitative study" 7 : 21-27, 2017

      35 Walsh, J. E., "Instruction in psychiatric Nursing, Level of anxiety and direction of attitude change toward the mentally ill" 20 (20): 522-529, 1971

      36 Compton, J., "Implementing SBAR across a large multihospital health system" 38 (38): 261-268, 2012

      37 Stavropoulou, C., "How effective are incident-reporting systems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93 (93): 826-866, 2015

      38 Abbott, A. A., "How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value an interprofessional patient safety cours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2012 : 1-7, 2012

      39 김인숙 ; 박미정 ; 박미영 ; 유하나 ; 최지혜,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racti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mong Hospital Employees in Korea" 한국간호과학회 7 (7): 26-32, 2013

      40 Beckett, C. 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 Integrating SBAR to improve quality/patient safety outcomes" 31 (31): 19-28, 2009

      41 Madigosky, W. S., "Changing and sustaining medical student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bout patient safety and medical fallibility" 81 (81): 94-101, 2006

      42 O'Rourke, J., "A Delphi study to identify the core components of nurse to nurse handoff" 74 (74): 1659-1671,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