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김담수의 문학을 중심으로 그가 ‘가족’에 대하여 어떠한 마음을 갖고 있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탐구한 것이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김담수는 가솔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221863
2017
Korean
서계 김담수 ; 가족 ; 임진왜란 ; 전쟁체험 ; 귀향의지 ; 유교적 세계관 ; 효도 ; 자애 ; 선순환구조 ; Seogye Kim Dam-su ; family ; Imjinwaeran ; war experience ; determination to return to home ; Confucian view of the world ; filial duty ; affection ; virtuous cycle structure
KCI등재
학술저널
43-79(3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김담수의 문학을 중심으로 그가 ‘가족’에 대하여 어떠한 마음을 갖고 있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탐구한 것이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김담수는 가솔을...
본고는 김담수의 문학을 중심으로 그가 ‘가족’에 대하여 어떠한 마음을 갖고 있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탐구한 것이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김담수는 가솔을 이끌고 가야산으로 피란을 하였고, 정유재란 이후에는 안동과 상주 등지를 떠돌게 된다. 김담수의 가족 사랑과 귀향의지는 바로 이러한 배경 하에 산출된 것이다. 가족을 향한 김담수의 마음은 크게 넷으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어머니에 대한 간절한 효심, 思鄕과 思母 정서의 결합, 長子에 대한 각별한 부정, 여러 아들에 대한 정서적 교감과 당부가 그것이다.
유교적 세계관에서 ‘家-國-天下’는 근본적으로 상통한다. 이 때문에 김담수 문학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를 사회적인 문제와 직결된다. 그 스스로 맏아들 정룡에게 고을을 다스리는 데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修己라 하였고, 그의 작품에는 부모에 대한 효도와 자식에 대한 자애가 선순환구조로 나타난다. 차운시를 주고받으며 자식들과 문학적·정서적 교감을 이룩해 나가기도 한다. 우리는 여기서 가정에서의 孝悌가 仁의 사회적 확산이며, 가족 사랑이 또한 험난한 사회를 극복해나가는 내적 에너지가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focused investigation into Kim Dam-su's ideas about "family" and its meanings in his literature. After Imjinwaeran broke out, he led his family and evacuated into Mt. Gaya. After Jeongyujaeran broke out, he and his family wandere...
This paper presents a focused investigation into Kim Dam-su's ideas about "family" and its meanings in his literature. After Imjinwaeran broke out, he led his family and evacuated into Mt. Gaya. After Jeongyujaeran broke out, he and his family wandered around Andong and Sangju. His love for his family and determination to return to home was created in the background. His heart for his family can be understood in four aspects: his earnest filial love for his mother, the combination of his longing for his home and his mother, his particular fatherly love for his eldest son, and his emotional communion and request for his sons.
In the Confucian view of the world, "family-state-Heaven" are interconnected fundamentally, which is why the meanings of family are directly connected to social issues in Kim's literature, in which he told his eldest son Jeongryong that Sugi was the most important in ruling a village and introduced a virtuous cycle structure between children's filial duty for their parents and parents' affection for their children. Exchanging rhyme-borrowing poems with his children, his formed literary and emotional communion with them, which indicates that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at home can lead to the social spread of benevolence and that love for his family became his internal energy to overcome the rough society.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신수진,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과 그 변화"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3 정우락, "조선시대 ‘문화공간-영남’에 대한 한문학적 독해" 한국문학언어학회 (57) : 323-354, 2012
4 이영찬, "유교사회학의 패러다임과 사회이론" 예문서원 2008
5 정우락, "서계 김담수의 전쟁체험과 그 문학적 대응"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10 : 373-412, 2006
6 金聃壽, "西溪先生逸稿"
7 정우락, "江岸學과 高靈 儒學에 대한 試論" 퇴계연구소 (43) : 39-94, 2008
8 曺挺立, "梧溪集"
9 정우락, "朝鮮中期 江岸地域의 文學活動과 그 性格 -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시론 -" 한국학연구원 (40) : 203-258, 2010
10 鄭 逑, "寒岡續集"
1 "論語"
2 신수진,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과 그 변화"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3 정우락, "조선시대 ‘문화공간-영남’에 대한 한문학적 독해" 한국문학언어학회 (57) : 323-354, 2012
4 이영찬, "유교사회학의 패러다임과 사회이론" 예문서원 2008
5 정우락, "서계 김담수의 전쟁체험과 그 문학적 대응"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10 : 373-412, 2006
6 金聃壽, "西溪先生逸稿"
7 정우락, "江岸學과 高靈 儒學에 대한 試論" 퇴계연구소 (43) : 39-94, 2008
8 曺挺立, "梧溪集"
9 정우락, "朝鮮中期 江岸地域의 文學活動과 그 性格 -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시론 -" 한국학연구원 (40) : 203-258, 2010
10 鄭 逑, "寒岡續集"
11 李象靖, "大山集"
『주초침저방』(酒醋沈菹方)의 내용 구성과 필사 연대 연구
임진왜란 초기 봉화 소천(小川) 전투의 전개와 전쟁사적 의미
주자(朱子) 심통성정론(心統性情論)의 양면성과 퇴(退)·율(栗) 성리학(性理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23 | 통합 |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66 | 1.364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