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해력, 국어능력, 문학능력 = Literacy, Korean Language Competence, Literary Compet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37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teracy has been the popular word in many areas as well as in the f irst language acquisition. But it is not easy to pin down the term since it changes and evolves like a living thing. At first, ‘literacy’ means decoding of written letters, but n...

      Literacy has been the popular word in many areas as well as in the f irst language acquisition. But it is not easy to pin down the term since it changes and evolves like a living thing. At first, ‘literacy’ means decoding of written letters, but now it extends to the ability to generate and apprehend the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delimited its boundaries too narrow and accordingly it overemphasize the instrument-based, strictly divided area teaching. Revised 2007 nation curriculum has been the starting point for improvement of these problems by taking the notion of genre in the core.
      Literary education should keep pace with these advance and development.
      Rather, literary education should play a major role in presenting basic perspectives and direction for overall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do this,literary competence should be defined clearly and the curriculum needs to be established on the rank of ideas and goals of literary education.
      In the instructional aspect, literary education should proceed to involve reading,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If comprehension, analysis,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literary activities exclude the 4skill-based activities, literary education fails to achieve its ultimate purpose. Literary education, in the end,is dialogic and this dialogue should be performed through all language activ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Literacy는 국어교육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영역에서 주요한 용어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그 용어의 의미는 확정되어 있지 않고 마치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꿈틀거리며 변화하고 있다. 처음 ...

      Literacy는 국어교육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영역에서 주요한 용어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그 용어의 의미는 확정되어 있지 않고 마치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꿈틀거리며 변화하고 있다. 처음 문자의 해독과 직결되어 있었던 Literacy는 언어를 생성하고 수용하는 모든 능력으로 확장되었으며, 국어능력과 다를 바 없는 폭 넓은 외연을갖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국어능력의 개념을 국어교육의 목표로 확정할 때, 우리는새삼 그동안의 국어교육이 지나치게 협소한 지형 위에서 허우적거렸음을 지적하지않을 수 없다. 국어의 도구적 성격을 강조하거나 언어 활동을 명확하게 영역으로 구획하여 가르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장르를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이들 문제의 해결에 한 걸음 더 나아갔다는 사실이다. 물론 미처 해결되지 못한 과제들 또한 만만치 않다. 그럼에도 교육과정을 둘러싼 논의가 일부 연구자의 전유물이 아니라, 광범위한 이해와 동의 속에서 개진되고 있음을 생각할 때 조금씩 발전적으로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
      문학교육 역시 이와 같은 변화와 발전에 나란히 어깨를 기대고 진전되어야 할 것이다. 아니 오히려 국어교육 전반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나가는 기본적인 시각과 행로를 열어가는 견인차의 역할을 기꺼이 떠맡아야 할 것이다. 그러자면 문학능력의 개념을 다시 복원시켜 문학교육의 이념과 목표를 명확하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명료한 위계 속에서 교육과정의 내용을 확정해야 한다. 현재의 고립되고 분절된성취기준의 제시로는 결코 문해력 실천으로서의 문학교육이란 이상적인 면모를 달성하기 어렵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행되는 문학교육은 가능한 한 읽기/쓰기/듣기/말하기 등의활동 영역을 언제나 아우르는 방향으로 진척되어야 한다. 문학텍스트를 중심에 둔다채로운 이해, 분석, 해석, 평가 등의 문학 활동들이 읽기/쓰기/듣기/말하기 등의언어 활동 모두를 아우르지 못한다면, 이미 실제적인 교육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문학교육이 궁극적으로 대화적이며, 이 대화는 언어 활동 모두를 통해 골고루이루어져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명완, "초등 저학년을 위한 문식성 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2) : 5-50, 2010

      2 김상욱, "소설교육의 방법 연구" 서울대출판부 1997

      3 조희정, "사회적 문해력 교육 구안을 위한 역사적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13) : 89-128, 2004

      4 김미혜, "사회 문화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방언의 교육 내용 연구" 33 : 2005

      5 황혜진, "비판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드라마 비평문 쓰기교육 방법 연구" 한국독서학회 (20) : 139-168, 2008

      6 김창원, "미디어 시대의 문학 능력" 26 : 2008

      7 박인기, "문화적 문식성의 국어교육적 재개념화" 국어교육학회 (15) : 2002

      8 최지현, "문학능력의 위계적 발달ㆍ평가 모형" 한국문학교육학회 (28) : 41-93, 2009

      9 김상욱, "국어교육의 재개념화와 문학교육" 역락 2006

      10 Scribner, "The Psychology of literacy,Harvard Univ" Harvard Univ. Press 1981

      1 노명완, "초등 저학년을 위한 문식성 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2) : 5-50, 2010

      2 김상욱, "소설교육의 방법 연구" 서울대출판부 1997

      3 조희정, "사회적 문해력 교육 구안을 위한 역사적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13) : 89-128, 2004

      4 김미혜, "사회 문화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방언의 교육 내용 연구" 33 : 2005

      5 황혜진, "비판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드라마 비평문 쓰기교육 방법 연구" 한국독서학회 (20) : 139-168, 2008

      6 김창원, "미디어 시대의 문학 능력" 26 : 2008

      7 박인기, "문화적 문식성의 국어교육적 재개념화" 국어교육학회 (15) : 2002

      8 최지현, "문학능력의 위계적 발달ㆍ평가 모형" 한국문학교육학회 (28) : 41-93, 2009

      9 김상욱, "국어교육의 재개념화와 문학교육" 역락 2006

      10 Scribner, "The Psychology of literacy,Harvard Univ" Harvard Univ. Press 1981

      11 Nodelman, "The Pleasure of Children's Literature" Longman 1996

      12 Culler, "Structural Poetics : Structuralism, Linguistics and the Study of Literature" Cornell Univ. Press 1975

      13 "Street"

      14 Gee,J, "Social linguistics; Ideology in discourse" Falmer Press 1991

      15 Luke, Allan, "New adventures in the politics of literacy: An introduction" 4 (4): 5-9, 2004

      16 "Litle & Wolfe"

      17 Culler, "Literary Theory: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 Press 1997

      18 Torrel,O, "Literary Competence Beyond Conventions" 45 (45): 2001

      19 Brumfit, "Key Issues in Curriculum and Syllabus Design for ELT" British council 1985

      20 Kamil, Mosenthal,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Lawrence Elbaum Association 2000

      21 Kamil, Pearson,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Lawrence Elbaum Association 2010

      22 Moss, J.F, "From Literature to Literacy: Bridging Learning in the Library and the Primary Grade Classroom" IRA 2002

      23 Hirsch,E.D, "Cultural Literacy:What Every American Needs to Know" Houghton Mifflin 1987

      24 The State Education Department, "Core Curriculum" The State Education Department 2005

      25 Reder, S, "Context and Literacy Practices" Cambridge Univ. Press 25 : 2005

      26 교육과학기술부, "7차국어과교육과정"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초등국어교육
      외국어명 :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4 1.4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