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증강 및 가상현실에서의 디지털 화상에 대한 디자인법적 보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069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증강 및 가상현실, 홀로그램 기술 등에서의 3차원적 그래픽 이미지 (디지털 화상)는 신기술 디자인으로서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이러 한 디지털 화상은 본질적으로 용도와 기능을 가진 산업제품의 시각적 이미지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원칙적으로 디자인 보호제도에 의하여 보호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본질적인 면 외에도 디지털 화상의 디자인적 보호에는 여러 가지 점에서 그 타당성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디자인 제도는 복합적이고 가변적인 디지털 화상의 권리 대상을 명확 히 특정할 수 있다. 둘째, 동적화상 디자인 제도와 관련디자인 제도에 의하여 디지털 화상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셋째, 디자인권 에서의 기능성 원리는 저작권이나 상표 제도에 비하여 완화되어 적용 된다는 점에서, 심미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구비한 디지털 화상의 보호 를 위하여 유리하다. 넷째, 디자인 제도는 디지털 화상의 전체적 이미지 를 보호하기에 적합하며 권리의 행사가 보다 간명하다. 디지털 화상의 원칙적인 보호는 디자인적 보호방식이 적합하다고 하더라도, 다른 지식재산권에 의한 보호가 보완적·보충적으로 이루질 필요가 있다. 디지털 화상의 기술적 구현방법은 특허 제도에 의하여 보호되어야 하고, 그 외 일정한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 트레이드 드레스 나 저작권에 의한 예외적인 보호가 인정될 수 있다. 디지털 화상의 디자인적 보호에 있어서, 디지털 화상이 디자인에서의 물품 개념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현재의 물품 개념은 디지 털 시대 이전의 산물로서, 디지털 시대에 맞게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 다. 디자인에서 중요한 것은 유체물성, 고정성 여부가 아니라, 시각적으 로 관찰 가능한 것으로서 배타적 지배 관리가 가능하고 거래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 여부이다. 이러한 성격이 반영된 새로운 물품 개념을 재정 립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유형의 디지털 화상을 디자인의 보호대상에 포섭할 경우, 그 동안 유체물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 보호제도의 운용에 많은 변화가 있으리라 예상된다. 특히 실물 디자인을 디지털 화상디자인으로 그대로 전용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에 있어서, 상호간에 신규성, 창작비용이성, 침해판단 등을 어떻게 할 것인지가 논란이 될 수 있다. 디지털 화상디자 인의 출원 실무에 있어서도 파선의 역할, 동영상 파일 제도의 운용 필요 성 등 많은 새로운 고민이 등장할 것이다.
      번역하기

      증강 및 가상현실, 홀로그램 기술 등에서의 3차원적 그래픽 이미지 (디지털 화상)는 신기술 디자인으로서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이러 한 디지털 화상은 본질적으로 용도와 기능을 가진...

      증강 및 가상현실, 홀로그램 기술 등에서의 3차원적 그래픽 이미지 (디지털 화상)는 신기술 디자인으로서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이러 한 디지털 화상은 본질적으로 용도와 기능을 가진 산업제품의 시각적 이미지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원칙적으로 디자인 보호제도에 의하여 보호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본질적인 면 외에도 디지털 화상의 디자인적 보호에는 여러 가지 점에서 그 타당성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디자인 제도는 복합적이고 가변적인 디지털 화상의 권리 대상을 명확 히 특정할 수 있다. 둘째, 동적화상 디자인 제도와 관련디자인 제도에 의하여 디지털 화상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셋째, 디자인권 에서의 기능성 원리는 저작권이나 상표 제도에 비하여 완화되어 적용 된다는 점에서, 심미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구비한 디지털 화상의 보호 를 위하여 유리하다. 넷째, 디자인 제도는 디지털 화상의 전체적 이미지 를 보호하기에 적합하며 권리의 행사가 보다 간명하다. 디지털 화상의 원칙적인 보호는 디자인적 보호방식이 적합하다고 하더라도, 다른 지식재산권에 의한 보호가 보완적·보충적으로 이루질 필요가 있다. 디지털 화상의 기술적 구현방법은 특허 제도에 의하여 보호되어야 하고, 그 외 일정한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 트레이드 드레스 나 저작권에 의한 예외적인 보호가 인정될 수 있다. 디지털 화상의 디자인적 보호에 있어서, 디지털 화상이 디자인에서의 물품 개념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현재의 물품 개념은 디지 털 시대 이전의 산물로서, 디지털 시대에 맞게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 다. 디자인에서 중요한 것은 유체물성, 고정성 여부가 아니라, 시각적으 로 관찰 가능한 것으로서 배타적 지배 관리가 가능하고 거래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 여부이다. 이러한 성격이 반영된 새로운 물품 개념을 재정 립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유형의 디지털 화상을 디자인의 보호대상에 포섭할 경우, 그 동안 유체물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 보호제도의 운용에 많은 변화가 있으리라 예상된다. 특히 실물 디자인을 디지털 화상디자인으로 그대로 전용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에 있어서, 상호간에 신규성, 창작비용이성, 침해판단 등을 어떻게 할 것인지가 논란이 될 수 있다. 디지털 화상디자 인의 출원 실무에 있어서도 파선의 역할, 동영상 파일 제도의 운용 필요 성 등 많은 새로운 고민이 등장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sign of new technologies such as AR/VR and holographic technology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Since these digital images are essentially the appearance of functional industrial products, in principle, it is reasonable to protect them by a design protection system. In addition to these essential aspects, the design protection of digital images is reasonable in several respects. First, the design system can clearly specify the right object of complex and variable digital images. Second, changes and movements of digital images can be flexibly responded to by using the motion design systems or the related design systems. Third, the doctrine of functionality in design rights is much less rigorous than that in copyright or trademark rights. Fourth, the design system is suitable for protecting the overall image of digital design, and the exercise of rights is simpler. Although design protection is appropriate for the protection of digital imag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mplementary and supplementary protection by oth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technical method of digital image must be protected by a patent right, and in other special cases, exceptional protection by trade dress or copyright is possible. In the design protection of digital imag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gital image does not meet the definition of an article in the design. Since the current definition of an article was established before the digital age, a new definition is needed in line with the digital age. What matters in design is not whether it can be touched, but whether it can be observed visually. It is also important whether it can be managed exclusively and whether it can be traded.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definition of a new article that reflects this idea. If such digital images are included in the definition of design, many changes will be required to the current design protection system based on tangible objects. In particular, when digital images are created by imitating real products, it may be a question of how to decide novelty, non-obviousness, and infringement with each other. Furthermore, in the design application, there will be many concerns about whether or not a broken line or a video file is available.
      번역하기

      The design of new technologies such as AR/VR and holographic technology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Since these digital images are essentially the appearance of functional industrial products, in principle, it is reasonable to protect them by ...

      The design of new technologies such as AR/VR and holographic technology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Since these digital images are essentially the appearance of functional industrial products, in principle, it is reasonable to protect them by a design protection system. In addition to these essential aspects, the design protection of digital images is reasonable in several respects. First, the design system can clearly specify the right object of complex and variable digital images. Second, changes and movements of digital images can be flexibly responded to by using the motion design systems or the related design systems. Third, the doctrine of functionality in design rights is much less rigorous than that in copyright or trademark rights. Fourth, the design system is suitable for protecting the overall image of digital design, and the exercise of rights is simpler. Although design protection is appropriate for the protection of digital imag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mplementary and supplementary protection by oth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technical method of digital image must be protected by a patent right, and in other special cases, exceptional protection by trade dress or copyright is possible. In the design protection of digital imag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gital image does not meet the definition of an article in the design. Since the current definition of an article was established before the digital age, a new definition is needed in line with the digital age. What matters in design is not whether it can be touched, but whether it can be observed visually. It is also important whether it can be managed exclusively and whether it can be traded.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definition of a new article that reflects this idea. If such digital images are included in the definition of design, many changes will be required to the current design protection system based on tangible objects. In particular, when digital images are created by imitating real products, it may be a question of how to decide novelty, non-obviousness, and infringement with each other. Furthermore, in the design application, there will be many concerns about whether or not a broken line or a video file is availab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증강 및 가상현실과 디지털 화상
      • 1. 증강 및 가상현실의 정의
      • 2. 증강 및 가상현실 기술의 과거와 미래
      • 3. 증강 및 가상현실 기술에서 그래픽 이미지의 중요성
      • Ⅰ. 서론
      • Ⅱ. 증강 및 가상현실과 디지털 화상
      • 1. 증강 및 가상현실의 정의
      • 2. 증강 및 가상현실 기술의 과거와 미래
      • 3. 증강 및 가상현실 기술에서 그래픽 이미지의 중요성
      • 4. 디지털 화상의 특징
      • Ⅲ. 디지털 화상에 적합한 지식재산 보호체계
      • 1. 특허 제도에 의한 보호
      • 2. 상표 또는 트레이드 드레스(trade dress)에 의한 보호
      • 3.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
      • 4. 부정경쟁방지법에 의한 보호
      • 5. 디자인보호법에 의한 보호
      • 6. 소결
      • Ⅳ. 디지털 화상의 디자인적 보호에 관한 주요국의 태도
      • 1. 유럽연합
      • 2. 미국
      • 3. 일본
      • 4. 우리나라
      • Ⅴ. 디자인보호법에 의한 디지털 화상의 보호
      • 1. 디자인 정의에서의 물품 개념
      • 2. 신규성과 창작비용이성 판단
      • 3. 도면 작성 실무
      • 4. 침해판단
      • Ⅵ.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특허청, "증강‧가상현실 속 디자인도 지식재산으로 보호 받는다 !"

      2 곽현, "심층분석 보고서 – 증강현실 기술 동향 및 지식재산권 추이"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6

      3 정상조, "부정경쟁방지법 주해" 박영사 2020

      4 안원모, "디자인의 유사성 판단에서 기능적인 특징 부분의 취급" 한국지식재산학회 (62) : 105-150, 2020

      5 안원모, "디자인의 부등록사유로서, 물품의 기능을 확보하는 데에 불가결한 형상만으로 된 디자인" 법학연구소 20 (20): 25-55, 2019

      6 안원모, "디자인보호법에서의 물품 개념의 재검토"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6 (16): 37-76, 2021

      7 정상조, "디자인보호법 주해" 박영사 2015

      8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디자인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의안번호 제2176호, 제3182호)"

      9 윤태식, "디자인보호법 – 디자인 소송 실무와 이론-" 진원사 2016

      10 노태정, "디자인보호법" 세창출판사 2009

      1 특허청, "증강‧가상현실 속 디자인도 지식재산으로 보호 받는다 !"

      2 곽현, "심층분석 보고서 – 증강현실 기술 동향 및 지식재산권 추이"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6

      3 정상조, "부정경쟁방지법 주해" 박영사 2020

      4 안원모, "디자인의 유사성 판단에서 기능적인 특징 부분의 취급" 한국지식재산학회 (62) : 105-150, 2020

      5 안원모, "디자인의 부등록사유로서, 물품의 기능을 확보하는 데에 불가결한 형상만으로 된 디자인" 법학연구소 20 (20): 25-55, 2019

      6 안원모, "디자인보호법에서의 물품 개념의 재검토"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6 (16): 37-76, 2021

      7 정상조, "디자인보호법 주해" 박영사 2015

      8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디자인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의안번호 제2176호, 제3182호)"

      9 윤태식, "디자인보호법 – 디자인 소송 실무와 이론-" 진원사 2016

      10 노태정, "디자인보호법" 세창출판사 2009

      11 안원모, "등록디자인의 보호범위 확장 가능성에관한 검토" 한국지식재산학회 (65) : 227-272, 2020

      12 진선태, "동적화상디자인의 디자인법상 성립요건에 관한 실무적 고찰"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5 (15): 75-103, 2020

      13 유영선, "기능성원리 연구-특허와의 관계에서 상표에 의한 보호의 한계" 경인문화사 2012

      14 일본특허청, "法律改正(令和元年法律第3号)解説書" 일본특허청 HP

      15 寒河江, "意匠法 コンメンタ-ル" LexisNexis 2012

      16 Nancy Gupton,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AR, VR, and MR?"

      17 Joe Bardi, "What is Virtual Reality? [Definition and Examples]"

      18 Virtual Reality Society, "What is Virtual Reality?"

      19 Lenovopro, "What is VR? ... and AR? ...and MR?"

      20 Franklin Institute, "What is Augmented Reality?"

      21 Awe, "Virtual Reality vs. Augmented Reality: similarities, differences & future opp ortunities"

      22 Elara systems, "VR, AR, MR: What are the difference between VR and AR and MR?"

      23 Sarah Burstein, "The ‘Article of Manufacture’ in 1887" 32 : 1-, 2017

      24 Sarah Burstein, "The ‘Article of Manufacture’ Today" 31 : 781-, 2018

      25 Sarah Burstein, "The Patented Design" 83 : 161-, 2015

      26 USPTO, "Request for Information: The Article of Manufacture Requirement"

      27 John R. Boule, "Redefining Reality: Why Design Patent Protection should Expand to the Virtual World" 66 : 1113-, 2017

      28 Rachel Stigler, "Ooey GUI: The Messy Protection of Graphical User Interfaces" 12 : 215-, 2014

      29 Sonia Okolie, "Determining the Article of Manufacture i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Design Patents" 48 : 95-, 2020

      30 Gordian N. Hasselblatt, "Community Design Regulation – Article by Article Commentary" BECK·HART·NOMOS 2018

      31 특허청, "4차 산업을 기반으로 한 창작디자인의 디자인보호법상 보호 연구" 2018

      32 William J. Seymour, "(R)evolution in Design Patentable Subject Matter: The Shifting Meaning of ‘Article of Manufacture’" 17 : 183-,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8-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산업재산권법학회 -> 한국지식재산학회
      영문명 : Korea Industrial Property Law Association -> Korea Intellectual Property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3-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산업재산권법학회a -> 한국산업재산권법학회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3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산업재산권
      외국어명 : Journal of Industrial Propert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9 0.759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