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공적인 지역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방향성 탐색 = Study on Vocational Education Supports for Successful Community Transition of Students with Severe & Multiple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54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classes in Korea focus mainly on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yet measures for this are not sufficient.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of measures to help such students' transition from school to the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reconstitution of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regarding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was conducted by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transition program and curriculum for disabled students to the society was analyzed. Second,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regarding adaptation and social skills test tools was analyzed. Third,the vocational education course of the basic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analyz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model that reconstituted the transition education within the vocational education course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proposed implic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groundwork for discussions on the transition educ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course and other general edu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번역하기

      Current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classes in Korea focus mainly on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yet measures for this are not sufficient.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of measures to help such students' transition from sc...

      Current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classes in Korea focus mainly on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yet measures for this are not sufficient.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of measures to help such students' transition from school to the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reconstitution of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regarding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was conducted by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transition program and curriculum for disabled students to the society was analyzed. Second,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regarding adaptation and social skills test tools was analyzed. Third,the vocational education course of the basic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analyz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model that reconstituted the transition education within the vocational education course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proposed implic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groundwork for discussions on the transition educ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course and other general edu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이 지역사회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하기 위해 학교에서의 진로·직업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전환 프로그램과 교육과정, 적응행동검사 도구 및 기본교육과정의 직업교과를 Snell과 Brown(2006)의 개별화 전환교육프로그램 진단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전환 프로그램과 교육과정 및 적응행동검사 도구에 포함된 진로교육의 영역은 가정생활, 지역사회생활, 여가생활, 직업생활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의 직업교과의 영역은 개인생활영역은 하위영역이 11개, 지역사회생활은 3개, 여가활동에 2개, 직업생활영역에 5개로 영역 간 불균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은 향후 생태학적 모델에 입각하여 미래 사회에서 조화롭게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성인기에 요구되는 4개의 영역과 내용요소로 구성해야 한다. 교육활동목록은 개별 학생의 요구에 맞는 학생 중심의 전환교육 프로그램 적용이라는 진로·직업교육의 재개념화에 대한 논의를 다루고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이 지역사회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하기 위해 학교에서의 진로·직업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전환 프...

      이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이 지역사회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하기 위해 학교에서의 진로·직업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전환 프로그램과 교육과정, 적응행동검사 도구 및 기본교육과정의 직업교과를 Snell과 Brown(2006)의 개별화 전환교육프로그램 진단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전환 프로그램과 교육과정 및 적응행동검사 도구에 포함된 진로교육의 영역은 가정생활, 지역사회생활, 여가생활, 직업생활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의 직업교과의 영역은 개인생활영역은 하위영역이 11개, 지역사회생활은 3개, 여가활동에 2개, 직업생활영역에 5개로 영역 간 불균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은 향후 생태학적 모델에 입각하여 미래 사회에서 조화롭게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성인기에 요구되는 4개의 영역과 내용요소로 구성해야 한다. 교육활동목록은 개별 학생의 요구에 맞는 학생 중심의 전환교육 프로그램 적용이라는 진로·직업교육의 재개념화에 대한 논의를 다루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진, "특수학교(급)고등부 졸업생의 진로실태 및 진로 지원체제 구축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5

      2 교육과학기술부, "특수학교 교육과정 해설(Ⅰ)" 47-48, 2009

      3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도서출판 하우 2009

      4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요구학생 진로교육 강화방안"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1996

      5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8

      6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0

      7 박경옥,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167-190, 2010

      8 박은송,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64-184, 2011

      9 정동일,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지도의 이해와 실제" 2-23, 2010

      10 김기흥, "지체부자유학교의 직업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국립특수교육원 11 (11): 401-424, 2004

      1 김현진, "특수학교(급)고등부 졸업생의 진로실태 및 진로 지원체제 구축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5

      2 교육과학기술부, "특수학교 교육과정 해설(Ⅰ)" 47-48, 2009

      3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도서출판 하우 2009

      4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요구학생 진로교육 강화방안"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1996

      5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8

      6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0

      7 박경옥,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167-190, 2010

      8 박은송,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64-184, 2011

      9 정동일,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지도의 이해와 실제" 2-23, 2010

      10 김기흥, "지체부자유학교의 직업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국립특수교육원 11 (11): 401-424, 2004

      11 박희찬, "지역사회통합교육과정" 서울:학지사 2004

      12 이효성, "중증장애인 직업영역 개발사업 동향분석 - 1994년~2007년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47-72, 2008

      13 TASH, "중증장애인"

      14 백은희, "중복장애아동교육" 서울:양서원 1994

      15 한경근, "중등기 이후 중증장애학생을 위한 전환교육 모형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0 (50): 21-45, 2007

      16 이미경,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적 지원에 대한 질적 연구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 특수학급 교사 및 특수학교 초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16 (16): 33-65, 2009

      17 Snell, M. E., "중도장애학생의 교육"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6

      18 박은혜, "중도장애학생의 교육" 시그마프레스 2008

      19 박승희, "중도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최선의 실제" 14 (14): 1-28, 1997

      20 이소현, "중도장애아 교육 가능성에 대한 전반적 고찰"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3-27, 1997

      21 조윤경, "중도장애 학생의 성인기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계획과 실행 과정 및 과제" 한국직업재활학회 13 (13): 235-260, 2003

      22 박은송, "중도장애 학생의 고등학교에서 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진로 및 직업에 대한 추적연구" 54 (54): 2011

      23 이정은, "중도장애" 서울 : 학지사 2009

      24 박희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전환교육의 실제" 16 : 143-163, 2005

      25 김삼섭, "중도·중복장애아동의 교육의 방향"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3-13, 2002

      26 박은송, "중도 지체장애학생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의 영역화 및 우선순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23-41, 2010

      27 Neel, R. S., "중 도·중복장애아동을 위한 기능적 교육과정" 서울: 박학사 1989

      28 박승희, "장애학생 직업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개혁 방향성 정립" 4 : 79-97, 1995

      29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2008

      30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 구인·구직 및 취업 동향(2010년 1/4분기)" 경기: 분당 2010

      31 박석돈, "산학협동중심의 장애아 직업진로교육에 관한 고찰" 2 : 59-84, 1992

      32 남상석, "발달장애학생의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한 보편적 설계 및 전환 서비스 실제" 안산 : 국립특수교육원 2010

      33 佐タ木順二, "肢体不自由養護學校における 重度·重複障害生徒の移行 支援ニ-ズへの'對処の在り方 -進路指導と個別移行支援計劃の意義-" 9 : 7-37, 2006

      34 Brown, L.,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and subsequent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s in the development of curricular content and severly handicapped students" 4 (4): 407-424, 1979

      35 Brown, D. S, "Twelve middle school teachers’ planning" 8 (8): 1988

      36 Ford, A., "The Syracuse community-referenced curriculum guide for students with moderate and severe disabilities" Baltimore: Paul H. Brookes 1989

      37 Wilcox, B., "The Activities Catalog: An Alternative Curriculum for Youth and Adults with Severe Disabilities" Paul H. Brookes Publishing 1987

      38 Emerson, E., "Quality and costs of community-based residential supports, village communities, and residential campuses in the United Kingdom" 105 : 81-102, 2001

      39 Collins, B. C, "Moderate and severe disabilities a foundational approach.이정은,강경숙,김미선 공역(2009)" 서울: 학지사 2007

      40 Beirne-Smith, M., "Mental Retardation: An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Disabilities (7th ed.)" NJ: Prentice Hall 2006

      41 Brown, L., "Madison's alternative for zero exclusion : toward an integrated therapy model for teaching motor, tracking, and scanning skills to severely handicapped students" Madison, Wis. : Madison Public Schools Specialized Educational Services 1976

      42 Brolin, D. E, "Life centered career education(LCCE): Knowledge and Performance Battery" Reston, VA: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1995

      43 Downing, J., E., "Inclusive education: What makes it a goo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moderate to severe disabilities" 32 : 16-30, 2007

      44 Hamre-Nietupski, S., "Functional life skills, academic skills, and friend/social relationship development: What do parents of students with moderate/severe/profound disabilities value" 17 : 53-58, 1992

      45 Browder, M. D, "Educating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Enhancing the conversation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31 (31): 137-145, 1997

      46 Baine, D, "Ecological Inventories and Curriculum Development for Special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ies. Alternative Futures for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lberta: University of Alberta Printing Services 69-79, 1987

      47 Falvey, M. A., "Community-based curriculum: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severe handicaps(2nd ed.)" Baltimor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1989

      48 Spreat, S., "Community placement for person with significant cognitive challenges: An outcome analysis" 26 : 106-113, 2001

      49 Giangreco, M. F., "Choosing Options and Accommodations for Children: A Guide to Planning Inclusive Education" Baltimore: Paul H. Brookes 1993

      50 보건복지가족부,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정책보고서 2009-16)"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