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도장애학생의 졸업 후 지역사회 전환에 따른 진로·직업 실태 및 교육효과 분석 = An analysis of career and vocation status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after transition from high school into society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54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s special education has see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rowth since the 1980s and accordingly many students for whom special education was required have advanced into the society after receiving special education. Even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whom special education was required but who were isolated from special education just a few years ago, are now witnessed on the spot of special education including itinerant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lities of career and employment of graduates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the past decade who need overall aid in their daily life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input so far, thereby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organizing and managing educational courses in future special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proper direction in establishing policies for careers and jobs of the adult disabled. This study is a follow-up, complete study; all the graduates from H special school for the past ten years were surveyed. The study result is that graduates with severe disabilities were under much poorer conditions after graduation than those with non-severe disabilities to an incomparable degree in terms of their work and leisure and their lives as a whole. Only two graduates with severe disabilities entered university among 84,showing very low ratio in getting a higher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outcomes of special education provided to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re very poor and, in particular, transition on special education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s considered necessary. Therefore the findings suggest that review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s needed and local communities and the government should responsibly establish policies to cope with this issue.
      번역하기

      Korea's special education has see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rowth since the 1980s and accordingly many students for whom special education was required have advanced into the society after receiving special education. Even students with seve...

      Korea's special education has see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rowth since the 1980s and accordingly many students for whom special education was required have advanced into the society after receiving special education. Even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whom special education was required but who were isolated from special education just a few years ago, are now witnessed on the spot of special education including itinerant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lities of career and employment of graduates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the past decade who need overall aid in their daily life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input so far, thereby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organizing and managing educational courses in future special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proper direction in establishing policies for careers and jobs of the adult disabled. This study is a follow-up, complete study; all the graduates from H special school for the past ten years were surveyed. The study result is that graduates with severe disabilities were under much poorer conditions after graduation than those with non-severe disabilities to an incomparable degree in terms of their work and leisure and their lives as a whole. Only two graduates with severe disabilities entered university among 84,showing very low ratio in getting a higher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outcomes of special education provided to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re very poor and, in particular, transition on special education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s considered necessary. Therefore the findings suggest that review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s needed and local communities and the government should responsibly establish policies to cope with this issu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특수교육은 1980년대 이후 질적·양적 증대에 따라 많은 특수학교(급)의 졸업생들을 배출하였다. 몇 해 전까지만 해도 특수교육에서조차 소외되었던 중도장애학생들도 순회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특수교육 현장에 등장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간의 중도장애졸업생의 진로실태가 어떤지를 파악하고, 투입된 특수교육의 효과를 분석하며, 향후 특수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중도 성인장애인에 대한 진로·직업 정책을 수립하는데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연구되었다. 연구방법은 추적조사이며, 연구 대상은 지난 10년간 H지체장애 특수학교의 중도장애졸업생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이다. 연구결과 중도장애졸업생은 다른 장애졸업생들의 진로실태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졸업 후 주거생활, 직장생활,여가생활, 지역사회생활 등에서 열악하게 생활하고 있으며, 진학 측면에서도 매우 낮은 진학률을 보였다. 따라서 중도장애학생에 대한 특수교육의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중도장애학생에 대한 진로·직업교육의 재검토와 중도 성인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 및 국가에서의 맞춤식 진로·직업교육 등의 정책 수립이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우리나라 특수교육은 1980년대 이후 질적·양적 증대에 따라 많은 특수학교(급)의 졸업생들을 배출하였다. 몇 해 전까지만 해도 특수교육에서조차 소외되었던 중도장애학생들도 순회교육을 ...

      우리나라 특수교육은 1980년대 이후 질적·양적 증대에 따라 많은 특수학교(급)의 졸업생들을 배출하였다. 몇 해 전까지만 해도 특수교육에서조차 소외되었던 중도장애학생들도 순회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특수교육 현장에 등장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간의 중도장애졸업생의 진로실태가 어떤지를 파악하고, 투입된 특수교육의 효과를 분석하며, 향후 특수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중도 성인장애인에 대한 진로·직업 정책을 수립하는데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연구되었다. 연구방법은 추적조사이며, 연구 대상은 지난 10년간 H지체장애 특수학교의 중도장애졸업생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이다. 연구결과 중도장애졸업생은 다른 장애졸업생들의 진로실태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졸업 후 주거생활, 직장생활,여가생활, 지역사회생활 등에서 열악하게 생활하고 있으며, 진학 측면에서도 매우 낮은 진학률을 보였다. 따라서 중도장애학생에 대한 특수교육의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중도장애학생에 대한 진로·직업교육의 재검토와 중도 성인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 및 국가에서의 맞춤식 진로·직업교육 등의 정책 수립이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진, "특수학교(급)고등부 졸업생의 진로실태 및 진로 지원체제 구축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5

      2 박경옥,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167-190, 2010

      3 박은송,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64-184, 2011

      4 유애숙, "중학교 특수학급 졸업생의 진로 실태 분석 연구" 가톨릭대학교 2000

      5 한국우진학교,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서울: 한국우진학교 2003

      6 박은송, "중도 지체장애학생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의 영역화 및 우선순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23-41, 2010

      7 김언지, "주의력 결핍 장애아동과 일반아동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추적 연구 - 일본 초등학교 일반학급에서의 행동관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197-212, 2005

      8 박희찬, "장애졸업생 추적조사와 전환교육"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79-112, 2002

      9 박희찬, "인천광역시 고등학교 특수학급 졸업생의 직업실태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1 (11): 115-130, 2004

      10 이정기, "발달 장애 고등부 졸업생의 취업 및 사회 적응 실태 추적 조사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6 (6): 1-16, 2002

      1 김현진, "특수학교(급)고등부 졸업생의 진로실태 및 진로 지원체제 구축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5

      2 박경옥,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167-190, 2010

      3 박은송,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64-184, 2011

      4 유애숙, "중학교 특수학급 졸업생의 진로 실태 분석 연구" 가톨릭대학교 2000

      5 한국우진학교,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서울: 한국우진학교 2003

      6 박은송, "중도 지체장애학생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의 영역화 및 우선순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23-41, 2010

      7 김언지, "주의력 결핍 장애아동과 일반아동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추적 연구 - 일본 초등학교 일반학급에서의 행동관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197-212, 2005

      8 박희찬, "장애졸업생 추적조사와 전환교육"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79-112, 2002

      9 박희찬, "인천광역시 고등학교 특수학급 졸업생의 직업실태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1 (11): 115-130, 2004

      10 이정기, "발달 장애 고등부 졸업생의 취업 및 사회 적응 실태 추적 조사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6 (6): 1-16, 2002

      11 정철호, "대구·경북지역 일부 자폐장애 환자의 4-7년 추적 연구" 11 (11): 186-197, 2000

      12 백수진, "국내 전환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 18 : 127-147, 2007

      1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통계연보"

      14 김언아,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이진로의사결정과 졸업 후 전환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83-306, 2006

      15 Kate, S., "Reflections on an Uncommon Journey: A Follow-Up Study of Life Management of Six Mothers of Children with Diverse Disabilities" 23 (23): 103-114, 2008

      16 Graham, A., "Physical Fitness of Adults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A 13-Year Follow-up Study" 71 (71): 152-161, 2000

      17 William, L., "Pathways through Services for Offend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 One- and Two-Year Follow-Up Study" 115 (115): 250-262, 2010

      18 Fox, M, "Including children 3-11 with physical disabilities" London; David Fulton Publishers 2003

      19 Kim, B, "Activity Limitations among You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Population-Based Follow-Up Study" 30 (30): 179-191, 2009

      20 Laura, H., "A Follow-Up Study of the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School" 34 (34): 114-126, 2000

      21 Gustavson, K.-H., "A Follow-Up Study of Mortality, Health Conditions and Associated Disabilitie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 Swedish County" 49 (49): 905-914,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