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조 文宣王樂章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306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文廟祭禮는 文昭殿이나 宗廟 등 국가적 大祀들 가운데 하나로서 조선조 아악이 연주되던 핵심제의였다. 조선왕조의 정치적 정당성과 왕실의 카리스마를 얻고자 행하던 종묘제례와 함께 왕...

      文廟祭禮는 文昭殿이나 宗廟 등 국가적 大祀들 가운데 하나로서 조선조 아악이 연주되던 핵심제의였다. 조선왕조의 정치적 정당성과 왕실의 카리스마를 얻고자 행하던 종묘제례와 함께 왕조 存立의 보편적 가치와 당위성을 宣揚하기 위한 문묘제례는 목적의식이나 정신적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국가적 大事였다. 왕조의 文明性이나 정통성을 강조할수록 문묘제례의 중요성은 높아졌으며, 그에 따라 구성원들의 자부심이 앙양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본 발표의 대상은 『國朝五禮儀』 와 『樂學軌範』 에 실려 있는 文宣王 樂章인데, 그 원류로 볼 수 있는 중국의 문헌들[『宋史』 ?『元史』 ?『明集禮』 ?『明史』 ?『大成樂譜』 等]과 내용을 비교하면 대부분 일치한다. 제목을 중심으로 양자를 대조할 경우 『국조오례의』 와 『악학궤범』 의 문선왕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악장과 악곡의 관계, <?國公 악장>과 <沂國公 악장>의 존재 등이다. 조선조의 문선왕 악장은 『송사』 ?『원사』 ?『대성악보』 ?『명집례』 등으로부터 옮겨온 것들일 텐데, 그 중에서 어느 것을 중점적으로 수용했는가를 밝히는 일은 쉽지 않다. 그 기준으로 삼을 만한 것이 <성국공 악장>과 <기국공 악장>의 존재인데, 이 두 악장은 송대의 釋奠樂章을 수용한 『송사』 ?『원사』 ?『대성악보』 ?『명집례』 등에 들어 있다.
      문헌들 간의 비교와 대조를 바탕으로 한다면, 『명집례』 에 들어 있는 <성국공 악장>과 <기국공 악장> 모두 송대에 만들어진 작품들일 것이고, 『원사』 ?『대성악보』 등 元代에 이루어진 史實의 기록이나 원대의 인물에 의해 만들어진 문헌도 송대의 악장을 반영했다고 본다. 송대의 악장을 반영한 『명집례』 의 석전악장이나 『대성악보』 의 악장이 조선조의 석전악장으로 수용되었다고 보는 것도 바로 그 점을 근거로 한다. 악장의 字句들을 비교할 경우에도 같은 의미의 글자로 바꾸어 놓거나 숙어의 글자 순서를 바꾼 것 한 두 예를 제외하면 내용도 정확하게 일치하는데, 이 점을 고려하면 조선조의 석전악장이 『명집례』 나 『대성악보』 의 것을 수용하고 『송사』 등을 참고로 했음은 분명해진다.
      宗廟樂이나 社稷?釋奠 등 雅樂의 祭禮樂章들은 모두 4言의 正格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들은 같은 內容構造를 보여준다. 즉 祭祀 對象인 文宣王을 頓呼하고 그의 功德을 羅列?讚揚했으며, 제사 節次를 提示하면서 降臨하여 祭需를 歆饗하실 것을 祈願하는 구조가 모든 악장들에 공통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그런 내용이나 구조의 起源을 ?詩經?에서 찾을 수 있다. 예컨대, 『詩經』 ?魯頌?<泮水> 4章에 대한 朱子의 註에 ‘釋奠’이 언급되고 있는데, 이 노래의 내용에 釋奠 혹은 釋奠과 類似한 祭禮가 暗示되어 있다. 그게 사실이라면, 『시경』 시대에 이미 그런 제례와 그에 대한 악장이 존재한 것이고, 그것이 『시경』 시에 반영된 셈이니, 문선왕 악장이야말로 악장으로서의 『시경』 시를 정신적으로 이어받은 구체적 사례이자, 고려나 조선의 太廟 혹은 宗廟 등 國家的 祭禮 樂章의 標本 역할을 수행한 模範的 先例였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문선왕 악장은 雅樂 혹은正格 祭禮樂章의 東亞細亞的 標準이나 普遍性을 確認해주는 尺度 役割을 했다고 보는데, 문선왕 악장의 通時的 位相이나 共時的 意味 또한 바로 이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nmyojerye was one of Joseon Dynasty"s big and core commemorative rites played with A-ak at that time. The more they emphasized dynasty"s civilization or legitimacy, the more importance of Munmyojerye got higher, thereby their pride was elevated. I s...

      Munmyojerye was one of Joseon Dynasty"s big and core commemorative rites played with A-ak at that time. The more they emphasized dynasty"s civilization or legitimacy, the more importance of Munmyojerye got higher, thereby their pride was elevated. I suppose that Munseonwang Akjang of Joseon Dynasty was accepted from ≪History of the Sung≫, ≪History of the Yuan≫, ≪Daeseong"akbo≫, ≪Myeongjiprye≫, etc., it is not easy to clarify to accept chiefly which one of them. The examples we can benchmark are <Seong"gukgong Akjang> and <Gigukgong Akjang>, the two akjang works are in ≪History of the Yuan≫, ≪Daeseong"akbo>, ≪Myeongjiprye≫, etc. I suppose that <Seong"gukgong Akjang> and <Gigukgong Akjang> are the works made in Sung Dynasty, the records about historical facts like ≪History of the Yuan≫, ≪Daeseong"akbo≫ or documentary records made by figures of Yuan Dynasty reflected Akjang of Sung Dynasty. My opinion that Seokjeon Akjang or ≪Daeseong"akbo≫"s Akjang was accepted into Joseon Dynasty"s Akjang relies on the viewpoint. Except for one or two cases exchanging some words to the others having same meaning, exchanging word"s order, their contents are corresponding exactly. Regarding to this fact, it is clear that Joseon Dynasty"s Seokjeon Akjang accepted the Akjang works in ≪Daeseong"akbo> or ≪Myeongjiprye≫ and referred to ≪History of the Sung≫ etc. Jerye akjang played with A-ak like Jongmyo"ak, Sajik or Seokjeon are made up of 4 words regular form, and they show same contents structure. In other words, we can make sure that the structure presenting the rites" processes and praying for coming and having the offerings are common in all akjang works. By the way, we can find out the origin of the contents or structures in the Book of Songs. If it were true, the rite"s process and akjang about it even in the time of Shijing, might as well it was reflected to Shijing Shi, the very Munseonwang akjang is a concrete example succeeded to Shijing Shi spritually. As well as it is a typical precedent performed a specimen role of dynasty"s commemorative rites like Taemyo and Jongmyo. Like this, Munseonwang akjang did a standard role checking East Asian standard or universality of A-ak of authentic jerye akjang, diachronic phase or synchronic meaning also can be found out in this poi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문선왕 악장의 원형과 수용과정
      • 3. 문선왕 악장과 조선조 아악장의 형성
      • 4. 문선왕 악장의 악장사적 위상
      • 국문초록
      • 1. 서론
      • 2. 문선왕 악장의 원형과 수용과정
      • 3. 문선왕 악장과 조선조 아악장의 형성
      • 4. 문선왕 악장의 악장사적 위상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