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부산 지역에서 활동하는 예술가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삶에 나타난 특징과 예술가로서 성장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했다. 또한 이들 예술가의 활동을 어떻게 유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50640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03-223(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부산 지역에서 활동하는 예술가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삶에 나타난 특징과 예술가로서 성장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했다. 또한 이들 예술가의 활동을 어떻게 유형...
이 연구는 부산 지역에서 활동하는 예술가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삶에 나타난 특징과 예술가로서 성장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했다. 또한 이들 예술가의 활동을 어떻게 유형화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예술가들은 어릴 적 개인적 재능을 인정받거나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문화예술가로 살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들은 활동 과정에서 경제적 어려움 등을 겪으며 예술가로서 삶을 지속하기 위한 내적 갈등에 부딪힌다. 하지만 이들이 가지고 있는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으로부터 어려움을 내적 갈등을 극복하는 원동력으로작용하였고, 외적 갈등의 대표 격인 경제적 자립을 위한 준비 등을 하게 된다. 문화예술가로서의 활동은 경험의 증폭, 낯선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태도, 지속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술가들 삶의 과정은 학생들에게 예술가의 세계를 이해하고, 진로로서 예술가를 준비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영은,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정책 변천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2 오세준, "한국에서의 문화교육, 예술교육,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의 관계 변모" 한국무용교육학회 28 (28): 63-78, 2017
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4 오정훈 ; 권민정, "초·중등학교 체육 진로교육의 재구조화 방향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2 (22): 1-22, 2015
5 Creswell, J.,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21
6 Koren, L., "예술가란 무엇인가" 안그라픽스 2021
7 홍경환, "예술人,Vol.25.6. 뇌과학으로 본 창의성에서"
8 이송하 ; 유재봉, "미적경험의 성장으로서의 예술교육 : 예술교육의 대안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089-1106, 2020
9 서울문화재단, "미적 체험과 예술교육"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10 정재엽 ; 최명길, "문화예술분야의 진로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83-390, 2017
1 전영은,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정책 변천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2 오세준, "한국에서의 문화교육, 예술교육,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의 관계 변모" 한국무용교육학회 28 (28): 63-78, 2017
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4 오정훈 ; 권민정, "초·중등학교 체육 진로교육의 재구조화 방향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2 (22): 1-22, 2015
5 Creswell, J.,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21
6 Koren, L., "예술가란 무엇인가" 안그라픽스 2021
7 홍경환, "예술人,Vol.25.6. 뇌과학으로 본 창의성에서"
8 이송하 ; 유재봉, "미적경험의 성장으로서의 예술교육 : 예술교육의 대안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089-1106, 2020
9 서울문화재단, "미적 체험과 예술교육"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10 정재엽 ; 최명길, "문화예술분야의 진로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83-390, 2017
11 임승희 ; 김소영 ; 이유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연구- 토요문화학교 사업을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30) : 225-245, 2013
12 김동일, "문화예술교육론" 동문사 2021
13 최혜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방향 모색 : 허버트 리드의 ‘예술을 통한 교육’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4) : 86-107, 2010
14 민들례, "문화예술교육 교수자의 가치 인식 연구" 순천향대학교 2019
15 송미숙, "문화예술교육 개론" 레인보우북 2019
16 정익중 ; 김서현 ; 임혜림, "문화예술 진로교육으로 꿈을 찾은 아이들 -CJ도너스캠프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52) : 241-278, 2015
17 황연주,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의 관계 고찰" 3 : 83-96, 2005
18 이선영 ; 안지언, "듀이의 질성적 사고와 그린의 상상력으로 본 융합학문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학문적 가능성과 방향성 연구" 교육연구소 28 (28): 155-175, 2022
19 Dewey, J.,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003
20 Bamford, A., "The Wow Factor" Waxmann 2006
21 Ulbricht, J., "Helping Students Contemplate a Career in Art" 54 (54): 40-44, 2001
22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Inc 1990
23 윤택림,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질적연구방법론" 아르케 2004
교육 목적의 사용자 움직임 감지를 통한 상호작용 미디어 구현에 관한 연구
예체능 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이몰두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창의아일랜드 프로그램이 한국음악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