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남아시아 중국인 디아스포라와 화교⸱화인 학교교육의 설립과 변화: 청말 이후 1949년 이전까지 = Chinese Diaspora in Southeast Asia and the Establishment and the Change of Chinese Ethnic Schooling Therein: From the end of the Qing Dynasty to before 194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670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민족주의와 국가정체성이 싹트고 성장했던 청말 이후 중국이 공산화되기까지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 정착해있던 중국인 디아스포라의 교육 양태를 본국 및 정착국과의 관계, 그리고 지역 중국인 사회의 맥락에서 점검하는 글이다. 서구 식민지배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독립국가체제 정립 그리고 이념적으로 양분되어가던 중국의 변화 등 역사적 여정 속에서 해외 중국인의 디아스포라 교육은 국민됨과 민족성, 고향, 적응, 세대 변화, 이중국적의 이슈 등 화교⸱화인이 동남아 지역에서 겪어온 다양한 이슈들을 반영한다.
      논문에서는 먼저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근대적인 중국인 교육이 성립되는 배경으로서 19세기 말 이후 본국 중국의 교육 개혁의 양상과 해외 중국인 교육 시스템과 연결되는 양상을 파악하고,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실제 진행되어온 바를 기록한다. 그럼으로써 이 연구는 디아스포라 교육의 진전에 투사되는 동남아 화교⸱화인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변화하는 중국인 디아스포라 세대의 ‘중국’과의 관계를 읽어내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민족주의와 국가정체성이 싹트고 성장했던 청말 이후 중국이 공산화되기까지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 정착해있던 중국인 디아스포라의 교육 양태를 본국 및 정착국과의 관계, 그...

      이 논문은 민족주의와 국가정체성이 싹트고 성장했던 청말 이후 중국이 공산화되기까지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 정착해있던 중국인 디아스포라의 교육 양태를 본국 및 정착국과의 관계, 그리고 지역 중국인 사회의 맥락에서 점검하는 글이다. 서구 식민지배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독립국가체제 정립 그리고 이념적으로 양분되어가던 중국의 변화 등 역사적 여정 속에서 해외 중국인의 디아스포라 교육은 국민됨과 민족성, 고향, 적응, 세대 변화, 이중국적의 이슈 등 화교⸱화인이 동남아 지역에서 겪어온 다양한 이슈들을 반영한다.
      논문에서는 먼저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근대적인 중국인 교육이 성립되는 배경으로서 19세기 말 이후 본국 중국의 교육 개혁의 양상과 해외 중국인 교육 시스템과 연결되는 양상을 파악하고,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실제 진행되어온 바를 기록한다. 그럼으로써 이 연구는 디아스포라 교육의 진전에 투사되는 동남아 화교⸱화인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변화하는 중국인 디아스포라 세대의 ‘중국’과의 관계를 읽어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Chinese education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since the end of the Qing Dynasty, when nationalism and national identity sprouted and grew. I scrutinize the diaspora education in relation with the home country and also in the context of local Chinese community. Overseas Chinese diaspora education reflects various issues in Southeast Asia, including nationality, ethnicity, hometown, adaptation, generational change, and dual nationality.
      In the paper, as the background of modern Chinese education in many Southeast Asian countries, I discuss the aspects of educational reform in China and how they were linked to the overseas Chinese education system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record the actual progress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By doing so, this study aims to rea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ing Chinese diaspora generation's recognition of "China" along with changes in Southeast Asian Chinese society projected on the progress of diaspora education.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Chinese education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since the end of the Qing Dynasty, when nationalism and national identity sprouted and grew. I scrutinize the diaspora education in relation with the ...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Chinese education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since the end of the Qing Dynasty, when nationalism and national identity sprouted and grew. I scrutinize the diaspora education in relation with the home country and also in the context of local Chinese community. Overseas Chinese diaspora education reflects various issues in Southeast Asia, including nationality, ethnicity, hometown, adaptation, generational change, and dual nationality.
      In the paper, as the background of modern Chinese education in many Southeast Asian countries, I discuss the aspects of educational reform in China and how they were linked to the overseas Chinese education system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record the actual progress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By doing so, this study aims to rea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ing Chinese diaspora generation's recognition of "China" along with changes in Southeast Asian Chinese society projected on the progress of diaspora educ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