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치매노인들을 대상으로 원예치료를 단일군 실시 전후설계로 우울정도와 자아존중감 그리고 활동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장성군에 위치한 F노인전문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222962
광주 : 湖南大學校 大學院, 2003
학위논문(석사) -- 호남대학교 대학원 , 환경원예학과 환경원예학전공 , 2004. 2
2003
한국어
525 판사항(4)
광주
iv, 43, xvii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33-4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치매노인들을 대상으로 원예치료를 단일군 실시 전후설계로 우울정도와 자아존중감 그리고 활동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장성군에 위치한 F노인전문요...
본 연구는 치매노인들을 대상으로 원예치료를 단일군 실시 전후설계로 우울정도와 자아존중감 그리고 활동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장성군에 위치한 F노인전문요양원 치매노인 9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식물의 재배와 이용을 잘 배분한 집단 원예치료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실시 기간은 2003년 3월 8일부터 2003년 8월 30일까지 매 주 1회씩 하여 층 24회를 실시하였다. 이 기간 중에 프로그램을 실시한 전과 후에 우울과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여 변화 사항을 각 대상자 별 로 비교하고 paired t-test로 분석하여 원예치료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원예활동 평가표를 사용하여 지속적인 치매노인의 활동 변화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연구대상 치매노인들의 원예치료 실시 전 우울 정도는 평균 17.6점이었으나, 실시 후에는 평균 13.8점으로 감소되어 원예치료가 우울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두 번째, 자아존중감 정도에서 실시 전 평균이 18.6점이었으나, 실시 후에는 평균 27점으로 증가되었고, 원예치료가 자아존중감을 증가를 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세 번째로 원예치료를 실시 초기와 후기의 9가지의 활동 영역으로 변화도를 보았을 때에 언어소통 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 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 숙련도와 직업 적응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았고, 그 중에서 자아개념 및 주체성과 숙련도 및 직업 적응력 에서 매우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와 자아존중감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활동변화에서도 언어소통 능력, 자아 개념 및 주체성, 욕구-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 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 숙련도와 직업 적응력에서 변화를 주어 정서, 사회, 인지 능력 기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demented old adults between pre- and post-therapy as horticulture.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nine demented old adults attending to Day-care cent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demented old adults between pre- and post-therapy as horticulture.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nine demented old adults attending to Day-care center at a F-Aged Hearsay welfare service center located in Generals. They took Part in the groupe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HTP) consisting of a variety of activities including the culturing and utilization of plants once a week from March 8 to August 30, 2003, where 25 therapy sessions was held. To verify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the changes between pre- and post-HTP in depression using KGDS (Korean fro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elf-esteem using SES (self-esteem scale), and evaluation in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measured and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HTP was found to be absolutely effective in decreasing the depression level of demented old adults, which has been significantly changed from 17.6 at pre-HTP to 13.8 at post-HTP. Horticultural therapy had also influence positively on the increase of the self-esteem in demented old adults, showing 18.6 and 27 at pre-HTP and post HTP, respectively. In the light of the results of evaluation in horticultural activities, there were fairly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HTP in verbal interaction, self-concept and identity, need-drive adaption,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nd life-tasks skills and vocational adjustment aspects, particularly, with significance in self-concept and identity and life-tasks skills and vocational adjustment aspects.
In conclus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 level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the demented old adults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after 25 programs of horticultural therapy. Therefore, these data implicated that horticultural therapy, despite of several limitations, may be accepted as a effective alternative remediation program in delaying or preventing of dementia.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