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원예치료가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ocial Support and Self Esteem in Solitary Old Adul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680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초생활 수급권자인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전남 목포시에 위치한 노인 복지관에서 12명을 대상으로 매주 1회 1시간씩 실시하였다. 2008년 3월 27일부터 7월 17일 까지 15회기 중 10회기 이상 참석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사회적 지지와 자아 존중감을 평가하였고 매회 프로그램 후 원예활동 평가표에서 9개 항목의 관찰 평가를 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변화에서 12명 중 11명은 증가하였고 1명은 감소하였다. 감소한 이유는 가정사로 여러 가지 큰일을 겪고 건강상의 이유도 있었다. 원예치료 실시 전 사회적 지지도는 전체평균이 15.41이였으나 실시 후에는 평균 34.00으로 향상되어 원예치료가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아 존중감의 변화에서는 실시 전 평균은 20.58였으나, 실시 후에는 평균 25.41으로 증가되어 원예치료가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원예활동 평가에서는 참여성, 관심 및 조력성, 언어 소통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 운동 지각 능력과 숙련도와 직업 적응력에서 증가가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기초생활 수급권자인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전남 목포시에 위치한 노인 복지관에서 12명...

      본 연구는 기초생활 수급권자인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전남 목포시에 위치한 노인 복지관에서 12명을 대상으로 매주 1회 1시간씩 실시하였다. 2008년 3월 27일부터 7월 17일 까지 15회기 중 10회기 이상 참석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사회적 지지와 자아 존중감을 평가하였고 매회 프로그램 후 원예활동 평가표에서 9개 항목의 관찰 평가를 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변화에서 12명 중 11명은 증가하였고 1명은 감소하였다. 감소한 이유는 가정사로 여러 가지 큰일을 겪고 건강상의 이유도 있었다. 원예치료 실시 전 사회적 지지도는 전체평균이 15.41이였으나 실시 후에는 평균 34.00으로 향상되어 원예치료가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아 존중감의 변화에서는 실시 전 평균은 20.58였으나, 실시 후에는 평균 25.41으로 증가되어 원예치료가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원예활동 평가에서는 참여성, 관심 및 조력성, 언어 소통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 운동 지각 능력과 숙련도와 직업 적응력에서 증가가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on the changes of th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solitary old adult. The 12 old adults have participated in thi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HTP) at welfare center for old adult in Mokpo country. HTP were conducted one time per week from 27 March to 17 July, 2008. To examine the effects of HTP, social support scale and self-esteem scale were evaluated between before and after program processing. And we carried out the observation evaluation by horticultural activity evalution every times. In change of social support, 11 old adults among subjects were increased, but 1 old adult was decreased. Mean value of social support showed high grade of 34.0 after HTP compared to 15.4 before HTP. Self-esteem of twelve subjec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mean value of self-esteem scale was higher by grade of 25.4 after HTP than grade of 20.6 before HTP.
      Therefore, HTP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solitary old adult.. In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participation, interest and assistance, verbal interaction ability, self-concept and identity, desire-drive adaptation,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exercise perceptivity, and life-tasks skills and vocational adjustment were improv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on the changes of th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solitary old adult. The 12 old adults have participated in thi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HTP) at welfa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on the changes of th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solitary old adult. The 12 old adults have participated in thi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HTP) at welfare center for old adult in Mokpo country. HTP were conducted one time per week from 27 March to 17 July, 2008. To examine the effects of HTP, social support scale and self-esteem scale were evaluated between before and after program processing. And we carried out the observation evaluation by horticultural activity evalution every times. In change of social support, 11 old adults among subjects were increased, but 1 old adult was decreased. Mean value of social support showed high grade of 34.0 after HTP compared to 15.4 before HTP. Self-esteem of twelve subjec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mean value of self-esteem scale was higher by grade of 25.4 after HTP than grade of 20.6 before HTP.
      Therefore, HTP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solitary old adult.. In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participation, interest and assistance, verbal interaction ability, self-concept and identity, desire-drive adaptation,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exercise perceptivity, and life-tasks skills and vocational adjustment were improv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2장 본론 3
      • 제1절 이론적 배경 3
      • 1. 노인의 정의 및 특성 3
      • 1)노인의 정의 3
      • 제1장 서론 1
      • 제2장 본론 3
      • 제1절 이론적 배경 3
      • 1. 노인의 정의 및 특성 3
      • 1)노인의 정의 3
      • 2)노인의 특성 3
      • 3)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 존중감 5
      • 2. 원예치료 6
      • 1) 원예치료의 정의 6
      • 2) 원예치료의 특성 8
      • 3) 원예치료의 효과 10
      • 3.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의 효과 12
      • 제2절 연구대상 및 방법 14
      • 1. 연구대상 14
      • 2. 연구방법 14
      • 3. 측정도구 16
      • 4. 분석방법 17
      • 5. 연구의 제한점 17
      • 제3절 연구 결과 및 고찰 18
      • 1. 원예치료가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18
      • 2. 원예치료가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20
      • 3. 원예 활동 평가 22
      • 제3장 결론 32
      • 참고문헌 33
      • 국문초록 38
      • 부록1. 사회적 지지 측정지 39
      • 부록2. 자아존중감 측정지 40
      • 부록3. 원예활동 평가표 41
      • 부록4. 원예치료 프로그램 42
      • 부록5. 원예치료 사진 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