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ooindangze(夫人堂祭) is a community rite that comes down to the village of Booinlee. The rite has continued to this day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e god of rite was a female shaman who reportedly lived in the area. The shaman interpret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93910
박종익 (충남대학교)
2020
Korean
부인 ; 조영부인 ; 부인당제 ; 왕건 ; 제전 전설 ; 꿈 ; 해몽 ; 문자점 ; 현판 ; Booin(夫人) ; Zejeon(祭典) ; Legend ; Booindangze(夫人堂祭) ; Wang Geon(王建) ; the interpretation of a dream ; divination ; shaman
KCI등재
학술저널
185-211(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ooindangze(夫人堂祭) is a community rite that comes down to the village of Booinlee. The rite has continued to this day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e god of rite was a female shaman who reportedly lived in the area. The shaman interprete...
The booindangze(夫人堂祭) is a community rite that comes down to the village of Booinlee. The rite has continued to this day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e god of rite was a female shaman who reportedly lived in the area. The shaman interpreted Wang Geon’s dream. So Wang Geon(王建) was given a nobility title called Booin(夫人). She also received a lot of land from Wang Geon. The land she received was then handed over to the villagers after her death.
After the shaman died, the villagers built a shrine for her. Then he held a rite for her in the shrine. As the rite continued, the shaman became the god of the village. Then, in 1760 it was published in the Yeojidoseo. The story of the shaman in the Yeojidoseo is called the Legend of a rite field The legend of a rite field was analyzed in detail in this article. First, Wang Geon described dreaming and being anxious. Second, the shaman analyzed Wang Geon’s dream. Third, Wang Geon dealt with repaying the shaman a favor to the shaman. Through this series of analyses, the shaman described becoming the village god of the booinlee’s village, and also the continuation of the tradition of rites.
Many stories are told in this village that have been blessed by praying to God. There is an anecdote that he gave birth to a son or was cured of a disease by praying to God. On the contrary, some say that he was punished for defying the will of God. This is when the punishment is sick or painful. Severe cases can lead to death. But all of these stories are motivated to serve the village gods more actively.
Rituals for shamans are now being kept active. Residents prepare food with one mind and attend rites. In 2020, many residents paid attention to rituals. They prayed that the village would be peaceful and that the residents would be healthy.
국문 초록 (Abstract)
부인당제(夫人堂祭)는 논산시 부적면 부인리 마을에 내려오는 공동체의례이다. 이 제의는 조선 후기 이래로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부인당제의 주신(主神)은 이 지역에 살았던 것으로 ...
부인당제(夫人堂祭)는 논산시 부적면 부인리 마을에 내려오는 공동체의례이다. 이 제의는 조선 후기 이래로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부인당제의 주신(主神)은 이 지역에 살았던 것으로 알려진 무녀이다. 이 무녀는 왕건의 꿈을 해몽해 준 대가로 부인(夫人)이라는 작호를 얻었다. 또한 전지(田地)를 하사받았는데, 이 전지가 그녀의 사후 제답(祭畓)이 되었다.
무녀가 죽자 이 일대 사람들은 그녀를 기리기 위해 사당을 지어 제사하였다. 그런 가운데 제의는 지속되었고 이것이 동인이 되어 무녀는 부인리의 마을신이 되었다. 그리고 조선후기 에 이르러 무녀의 고사(故事)가 18세기 중반에 간행된 H여지도서H에 등재되었다. 또한 1794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부인당 현판이 발견되어 제의 내력 추정의 한 자료가 되 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일차적으로 H여지도서H에 실린 <제전(祭田)> 전설을 분석을 하였다. 전설 문면상 들어난 왕건과 부인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부인의 해몽에 주목하였다. 그러면서 궁벽한 지역의 무녀가 부인의 작위를 하사받아 신분상승을 이루고 마을신으로 수용되는 과정에 대해 다루었다. 아울러 부인리의 공동체신앙으로 제의가 전승되어 온 내력을 서술하였다. 이어 이 마을에 전승되고 있는 부인당 관련 기복담(祈福談)이나 금기담(禁忌談)을 수집 하여 살펴보았다. 기복담은 기자(祈子)나 치병과 관련된 것으로 부인당신의 초월성에 의지 하고 있다. 금기담은 제의의 청결성 내지 부정 회피를 바탕으로 한다. 아울러 이와 같은 이 야기들은 모두 부인당제의 전승에 유기적으로 작용하면서 당제 전승의 기저관념으로 기능하고 있다.
그동안 논산시 부적면에 일대에 전승되고 있는 <제전> 전설은 크게 관심 받지 못하였다.
전설이 품고 있는 역사성이나 인물에 대한 성격 및 가치에 대한 논의가 소홀하였다. <제전> 전설에 등장하는 평범한 무녀가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마을신이 되었다고 하는 점 하나만으 로도 충분히 무속적 관심사라 할 만하다. 우리나라 무속신 가운데 이처럼 현실 속에서 자아 성취를 이룬 인물이 몇이나 될까. 하지만 오늘날 학계를 비롯해 무속인들 조차도 논산시 부 인리의 부인당신을 주목하는 이가 거의 없다. 이 글이 부인리 <제전> 전설과 부인당제에 관 심을 갖게 하는 단초가 되었으면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제연구소, "후백제와 견훤" 서경문화사 2000
2 김철준, "한국고대사회연구" 지식산업사 1975
3 강성복, "충청민속문화론" 민속원 438-497, 2005
4 한국예총충남도지회, "충남의 구비전승 하" 1987
5 한글학회, "충남의 구비전승 하" 1974
6 류제협, "천년의 여인" 봄호 (봄) : 2003
7 논산군, "연산-내고장 으뜸가꾸기 마을이야기 모음집 제11집" 1994
8 논산문화원, "역주 논산지리지" 2005
9 임채학, "부인당 설화" (신년) : 2004
10 박종익, "대전 유성구 성북동 동제 고찰" 어문연구학회 59 : 107-135, 2009
1 백제연구소, "후백제와 견훤" 서경문화사 2000
2 김철준, "한국고대사회연구" 지식산업사 1975
3 강성복, "충청민속문화론" 민속원 438-497, 2005
4 한국예총충남도지회, "충남의 구비전승 하" 1987
5 한글학회, "충남의 구비전승 하" 1974
6 류제협, "천년의 여인" 봄호 (봄) : 2003
7 논산군, "연산-내고장 으뜸가꾸기 마을이야기 모음집 제11집" 1994
8 논산문화원, "역주 논산지리지" 2005
9 임채학, "부인당 설화" (신년) : 2004
10 박종익, "대전 유성구 성북동 동제 고찰" 어문연구학회 59 : 107-135, 2009
11 강성복, "대전 외삼동 동제의 제의전개와 특징" 인문과학연구소 35 (35): 7-33, 2008
12 논산문화원, "놀뫼의 전설" 1988
13 논산문화원, "논산의 민속" 1994
14 논산군지편찬위원회, "논산군지" 1976
15 박종익, "남원지역 외톨이제사의 실태와 정체성 분석" 어문연구학회 99 : 103-128, 2019
16 "高麗國師道詵傳"
17 "高麗史"
18 "輿地圖書"
19 이상은, "漢韓大字典" 민중서림 1991
20 "東國與地志"
21 "新增東國輿地勝覽"
22 "忠淸道邑誌"
23 "大東地志"
24 "三國史記"
2000년 이후 민속연구의 양상과 향후 민속연구의 보완 과제 모색
현대화와 민속문화, 민속세계 -한국종교와 민속종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64 | 0.96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