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욱 사람 같은 대화 모델을 실현하기 위해, 페르소나 메모리를 활용하여 응답을 생성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수의 기존 연구들에서는 메모리로부터 관련된 페르소나를 찾...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59393
2025
Korea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17-114(-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더욱 사람 같은 대화 모델을 실현하기 위해, 페르소나 메모리를 활용하여 응답을 생성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수의 기존 연구들에서는 메모리로부터 관련된 페르소나를 찾...
더욱 사람 같은 대화 모델을 실현하기 위해, 페르소나 메모리를 활용하여 응답을 생성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수의 기존 연구들에서는 메모리로부터 관련된 페르소나를 찾기 위해 별도의 검색 모델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는 전체 시스템에 속도 저하를 일으키고 시스템을 무겁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 연구들은 페르소나를 잘 반영해 응답하는 능력에만 중점을 두는데, 그 전에 페르소나 참조의 필요성 여부를 판별하는 능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검색 모델을 활용하지 않고 생성 모델의 내부에서 다각적 주의집중 연산을 통해 메모리의 참조가 필요한지를 판별한다. 참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관련된 페르소나를 반영하여 응답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대화 문맥에 집중하여 응답을 생성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 모델이 장기적인 대화에서 효과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 into developing more human-like conversational models is actively underway, utilizing persona memory to generate responses. Many existing studies employ a separate retrieval model to identify relevant personas from memory, which can slow down...
Research into developing more human-like conversational models is actively underway, utilizing persona memory to generate responses. Many existing studies employ a separate retrieval model to identify relevant personas from memory, which can slow down the overall system and make it cumbersome. Additionally, these studies primarily focused on ability to respond by reflecting a persona well. However, the ability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referencing a persona should precede thi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that does not use a retriever. Instead, the need to reference memory was determined through multi-level attention operations within the generation model itself. If a reference is deemed necessary, the response reflects the relevant persona; Otherwise, the response focuses on the conversational context.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at our proposed model operates effectively in long-term conversations.
노이즈가 추가된 입력에서 멀티 모달 오디오 비주얼 객체 분할 모델의 성능 개선
서비스 품질 연구에 대한 모바일 에지 컴퓨팅의 이동성 중심 고찰
한국어 소형 거대 언어 모델의 차트 이미지 설명 텍스트 생성 가능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