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수학 챗봇 관련 연구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신흥 학문분야 및 후속 연구 탐구 = A scoping review of domestic research on math chatbots: Exploring emerging academic field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363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coping review of 19 studies on math chatbots conducted in South Korea. The study analyzed key research themes and types, mathematical content and its selection criteria, research methods, roles and design principles of chatbots, technologies employed in chatbots, and the role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math chatbot research. Through this analysis, the current landscape and growth potential of the math chatbot research ecosystem were identified, leading to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irst, ‘studies on AI and convergence’, ‘exploratory research’, ‘research on geometry content’, and ‘literature reviews’ should be expanded.
      Second, further studies should establish a consensus on the safety of personalized instructional chatbots and then develop technical solutions for their implementation. Third,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on teachers’ roles as ethical supervisors and students’ roles as ethical adherents regarding AI and chatbots. Fourth, future research should allocate adequate research resources to studies on teachers’ noticing and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SCK) in chatbot-base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as well as the impact of chatbots on students’ thinking processes. Finally, three research topics for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hich should be conducted once sufficient chatbot research has been accumulated, were suggested. The study provided specific directions to ensure the systematic and continuous growth of the math chatbot research ecosystem in South Korea through this analysis.
      번역하기

      This study conducted a scoping review of 19 studies on math chatbots conducted in South Korea. The study analyzed key research themes and types, mathematical content and its selection criteria, research methods, roles and design principles of chatbots...

      This study conducted a scoping review of 19 studies on math chatbots conducted in South Korea. The study analyzed key research themes and types, mathematical content and its selection criteria, research methods, roles and design principles of chatbots, technologies employed in chatbots, and the role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math chatbot research. Through this analysis, the current landscape and growth potential of the math chatbot research ecosystem were identified, leading to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irst, ‘studies on AI and convergence’, ‘exploratory research’, ‘research on geometry content’, and ‘literature reviews’ should be expanded.
      Second, further studies should establish a consensus on the safety of personalized instructional chatbots and then develop technical solutions for their implementation. Third,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on teachers’ roles as ethical supervisors and students’ roles as ethical adherents regarding AI and chatbots. Fourth, future research should allocate adequate research resources to studies on teachers’ noticing and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SCK) in chatbot-base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as well as the impact of chatbots on students’ thinking processes. Finally, three research topics for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hich should be conducted once sufficient chatbot research has been accumulated, were suggested. The study provided specific directions to ensure the systematic and continuous growth of the math chatbot research ecosystem in South Korea through this analys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수학 챗봇 관련 연구 19편을 대상으로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수학 챗봇 연구에 나타난 연구 주제와 유형, 수학 내용과 선정 기준, 연구 방법, 챗봇의 역할과 디자인 원리, 챗봇 관련 기술, 교사와 학생의 역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수학 챗봇 연구 생태계의 현황과 성장 잠재력을 확인하였고,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공지능과 융합을 주제로 한 연구’, ‘탐구 연구’, ‘기하영역 연구’, ‘문헌 연구’를 충분히 확대해야 하는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맞춤형 교수자 챗봇의 안전성에 대한 합의와 이러한 챗봇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 솔루션을 마련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였다. 셋째, 교사의 AI・챗봇 윤리 관리감독자 역할과 학생의 AI・챗봇 윤리 준수자 역할에 대한 후속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었다. 넷째, 챗봇이 통합된 교수・학습 환경에서교사의 주목하기(noticing)와 전문내용지식(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SCK)에 대한 연구, 챗봇이 학생의 사고에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충분히 확대할 필요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향후 챗봇 연구가 충분히 축적되었을 때 수행될 필요가 있는 체계적 문헌 고찰을 위한 연구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국내 수학 챗봇 연구 생태계가 계속해서 체계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수학 챗봇 관련 연구 19편을 대상으로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수학 챗봇 연구에 나타난 연구 주제와 유형, 수학 내용과 선...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수학 챗봇 관련 연구 19편을 대상으로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수학 챗봇 연구에 나타난 연구 주제와 유형, 수학 내용과 선정 기준, 연구 방법, 챗봇의 역할과 디자인 원리, 챗봇 관련 기술, 교사와 학생의 역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수학 챗봇 연구 생태계의 현황과 성장 잠재력을 확인하였고,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공지능과 융합을 주제로 한 연구’, ‘탐구 연구’, ‘기하영역 연구’, ‘문헌 연구’를 충분히 확대해야 하는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맞춤형 교수자 챗봇의 안전성에 대한 합의와 이러한 챗봇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 솔루션을 마련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였다. 셋째, 교사의 AI・챗봇 윤리 관리감독자 역할과 학생의 AI・챗봇 윤리 준수자 역할에 대한 후속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었다. 넷째, 챗봇이 통합된 교수・학습 환경에서교사의 주목하기(noticing)와 전문내용지식(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SCK)에 대한 연구, 챗봇이 학생의 사고에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충분히 확대할 필요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향후 챗봇 연구가 충분히 축적되었을 때 수행될 필요가 있는 체계적 문헌 고찰을 위한 연구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국내 수학 챗봇 연구 생태계가 계속해서 체계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