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Web 기반 자료를 활용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web-based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059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확장으로 일상생활 속에서도 영어를 접할 기회가 빈번해지고 개방화, 정보화, 세계화에 의해 세계가 좁아짐으로써 영어의 의사소통 기능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시대에 부응하는 방법으로 웹 자료를 활용하여 실제적인 영어를 접할 수 있고 영어교육의 실제성과 현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여 학습 자료를 찾아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데 본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
      실제 연구에서 웹 기반 자료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관련하여 연구의 효율성을 위해 중학교 3학년 한 개 반에서 20명을 표집 하여 연구반으로, 비교집단으로서 다른 한 개 반 40명에게는 일반 수업을 진행하며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일대일 심층 면접과 상담을 통한 웹 활용 지도를 병행하여 학습동기를 고양시키고 학습 효과의 극대화를 꾀하여 학업성취도와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도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검증에 있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대한 실험 전·중·후의 성취도로서 학기말 고사 3회의 성취도 결과를 통하여 웹 활용 학습을 하는 학급과 일반적인 학습을 적용하는 학급에서의 성취도 변화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별도의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여 각각의 성취도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실험 전·중·후의 성취도 결과에 있어서 정기고사의 성취도 분석과 의사소통 능력 평가 분석 모두에서 일반적 교수-학습 방법보다는 웹 자료를 활용한 방법이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를 높게 하고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학습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하여 웹 기반 학습의 성취도가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의 과제로서 다양한 집단에 대한 연구 분석과 충분한 실험기간을 통해 상·중·하와 같은 다양한 학생 수준별로 사이트의 계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웹 활용 학습지도를 하는데 있어서 멀티미디어 기자재에 대한 학교 당국의 적극적 지원과 가정에서 부모의 적극적 지원 방안도 꼭 필요하다고 본다.
      번역하기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확장으로 일상생활 속에서도 영어를 접할 기회가 빈번해지고 개방화, 정보화, 세계화에 의해 세계가 좁아짐으로써 영어의 의사소통 기능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확장으로 일상생활 속에서도 영어를 접할 기회가 빈번해지고 개방화, 정보화, 세계화에 의해 세계가 좁아짐으로써 영어의 의사소통 기능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시대에 부응하는 방법으로 웹 자료를 활용하여 실제적인 영어를 접할 수 있고 영어교육의 실제성과 현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여 학습 자료를 찾아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데 본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
      실제 연구에서 웹 기반 자료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관련하여 연구의 효율성을 위해 중학교 3학년 한 개 반에서 20명을 표집 하여 연구반으로, 비교집단으로서 다른 한 개 반 40명에게는 일반 수업을 진행하며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일대일 심층 면접과 상담을 통한 웹 활용 지도를 병행하여 학습동기를 고양시키고 학습 효과의 극대화를 꾀하여 학업성취도와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도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검증에 있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대한 실험 전·중·후의 성취도로서 학기말 고사 3회의 성취도 결과를 통하여 웹 활용 학습을 하는 학급과 일반적인 학습을 적용하는 학급에서의 성취도 변화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별도의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여 각각의 성취도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실험 전·중·후의 성취도 결과에 있어서 정기고사의 성취도 분석과 의사소통 능력 평가 분석 모두에서 일반적 교수-학습 방법보다는 웹 자료를 활용한 방법이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를 높게 하고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학습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하여 웹 기반 학습의 성취도가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의 과제로서 다양한 집단에 대한 연구 분석과 충분한 실험기간을 통해 상·중·하와 같은 다양한 학생 수준별로 사이트의 계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웹 활용 학습지도를 하는데 있어서 멀티미디어 기자재에 대한 학교 당국의 적극적 지원과 가정에서 부모의 적극적 지원 방안도 꼭 필요하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dvance in ICT and its extended applicability have allowed people to be frequently exposed to English in everyday life, and as information- oriented global trend makes the world smaller, the importance of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is increasingly highligh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Web-based materials to English education in a bid to provide more authentic, practical English education for learners to improv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at target languag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 students in two different third- year classes at a middle school. A 20-member class and a 40-member clas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and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more accurate results. The control group took typical lesson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educated by using Web-based materials an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 and counseling to provide motivation to them, maximize their learning efficiency and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To identify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two group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xperiment, their scores in three finals were investigated, and whether or not there were any change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examined. And then both groups took a separate achievement test in communicative competence includ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When the achievement of the two groups was assess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xperiment, both their regular examination scores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test results showed that Web-based teaching-learning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ypical one in providing motivation, igniting learning interest and boosting class participatio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Web-based education made a great progress i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uture, a wider range of subjects should be examined on a long-term basis to develop differentiated web sites for learners at different levels, and school and parents should give more aid for the procurement of multimedia equipment required for Web-based learning guidance.
      번역하기

      The advance in ICT and its extended applicability have allowed people to be frequently exposed to English in everyday life, and as information- oriented global trend makes the world smaller, the importance of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is increa...

      The advance in ICT and its extended applicability have allowed people to be frequently exposed to English in everyday life, and as information- oriented global trend makes the world smaller, the importance of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is increasingly highligh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Web-based materials to English education in a bid to provide more authentic, practical English education for learners to improv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at target languag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 students in two different third- year classes at a middle school. A 20-member class and a 40-member clas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and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more accurate results. The control group took typical lesson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educated by using Web-based materials an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 and counseling to provide motivation to them, maximize their learning efficiency and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To identify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two group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xperiment, their scores in three finals were investigated, and whether or not there were any change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examined. And then both groups took a separate achievement test in communicative competence includ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When the achievement of the two groups was assess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xperiment, both their regular examination scores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test results showed that Web-based teaching-learning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ypical one in providing motivation, igniting learning interest and boosting class participatio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Web-based education made a great progress i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uture, a wider range of subjects should be examined on a long-term basis to develop differentiated web sites for learners at different levels, and school and parents should give more aid for the procurement of multimedia equipment required for Web-based learning guid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1
      • 표 목차 = 5
      • 그림 목차 = 6
      • 국문 초록 = 7
      • Ⅰ. 서론 = 1
      • 목차 = 1
      • 표 목차 = 5
      • 그림 목차 = 6
      • 국문 초록 = 7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 1.1 연구의 목적 = 1
      • 1.2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내용 = 3
      • 3. 연구의 방법 = 4
      • 4. 용어의 정의 = 5
      • 4.1 의사소통 능력 = 5
      • 4.2 자기 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earning) = 5
      • 5. 연구의 제한점 = 6
      • Ⅱ. 이론적 배경 = 7
      • 1. 웹 기반 학습 이론 = 7
      • 1.1 웹 기반 상호작용 학습 = 7
      • 1.2 웹 기반 자기 주도적 학습 = 7
      • 1.3 웹 기반 문제중심 학습 = 8
      • 1.4 웹 기반 문제해결 학습 = 9
      • 1.5 웹 기반 자원기반 학습 = 10
      • 2. 웹을 통한 교수-학습 = 11
      • 2.1 자기 주도적 학습과 실시간 학습 = 11
      • 2.1.1 자기 주도적 학습의 원리 = 11
      • 2.1.2 실시 간 학습(Just-in-Time Learning) = 11
      • 2.2 정보 분석에서 메타 인지의 기능 = 12
      • 2.3. 창의적 문제해결의 기능-비판적 사고 기술 개발을 위한 요건 = 13
      • 2.4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CMC) = 14
      • 2.5 웹 기반 영어 교수-학습 자료의 내용 요건 = 15
      • 3. 웹 기반 학습의 장·단점 = 16
      • 3.1 웹 기반 교육과 동기 유발 = 18
      • 3.1.1 동기유발의 정의 = 18
      • 3.1.2 동기가 부족하거나 없는 학생들의 유형 = 19
      • 3.2 웹 기반 학습을 위한 동기유발의 구성 = 20
      • 3.2.1 동기유발의 상황 = 20
      • 3.2.2 학습의 심리적인 측면(인지적 욕구, 흥미) = 21
      • 4. 제7차 교육과정과 영어교육 = 22
      • 4.1 제7차 교육과정 요약 = 22
      • 4.2 영어교과의 핵심과제와 배경 및 각 과제별 교수-학습 전략 = 23
      • 4.2.1 의사소통을 중시하는 영어교육 = 23
      • 4.2.2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영어교육 = 24
      • 4.2.3 활동 및 과업 중심의 영어교육 = 25
      • 4.2.4 열린 교육 체제의 영어교육 = 26
      • 4.3 구성주의와 영어 교육 = 26
      • 4.4 열린 교육과 영어교육 = 29
      • 5. 요약 = 30
      • Ⅲ. 본론 = 32
      • 1. 연구 내용 = 32
      • 2. 연구 방법 = 33
      • 2.1 연구 대상 = 33
      • 2.2 연구 기간 및 연구 절차 = 33
      • 3. 평가 도구 = 35
      • 4. 교수-학습 활동 계획 = 36
      • 4.1 교과서 단원별 의사소통 영역 지도 계획 = 36
      • 4.2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제작 자료 = 39
      • 4.3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 = 40
      • 4.3.1 듣기 수업의 실제 = 41
      • 4.3.2 말하기 수업의 실제 = 44
      • 4.3.3 읽기 수업의 실제 = 48
      • 4.3.4 쓰기 수업의 실제 = 51
      • 5. 학생과의 개별 면담을 통한 웹 활용지도 = 54
      • 5.1 학생들의 웹 활용 실태 = 54
      • 5.2 유익한 웹 사이트 = 56
      • 5.2.1 듣기 학습 사이트 = 56
      • 5.2.2 말하기 학습 사이트 = 56
      • 5.2.3 읽기 학습 사이트 = 56
      • 5.2.4 쓰기 학습 사이트 = 57
      • Ⅳ. 연구 결과 분석 = 58
      • 1. 웹 활용 학습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59
      • 1.1 실험 전·중·후의 영어 정기고사 성적 성취도 결과 비교 분석 = 59
      • 1.2 평가 시기별 전·후 비교를 통한 분석 = 61
      • 2. 영어 의사소통 능력 측정을 위한 언어기능별 성적 분석 = 63
      • 2.1 듣기 영역 성취도 결과 분석 = 65
      • 2.2 말하기 영역 성취도 결과 분석 = 65
      • 2.3 읽기 영역 성취도 결과 분석 = 66
      • 2.4 쓰기 영역 성취도 결과 분석 = 67
      • 3. 성취수준별 웹 활용 현황과 학습동기 부여 요인 = 67
      • 4. 학생과의 개별 면담을 통한 웹 활용 지도에 대한 시사점 = 70
      • 5. 기초 설문조사 분석 = 71
      • 5.1 영어 학습 매체 = 72
      • 5.2 영어의 네 기능에 대한 비교 분석 = 74
      • 6. 요약 및 논의 = 76
      • 6.1 요약 = 76
      • 6.2 논의 = 77
      • Ⅴ. 결론 = 80
      • 1. 결론 = 80
      • 2. 향후 연구 = 81
      • 참고 문헌 및 URL = 83
      • ABSTRACT = 85
      • 부록 목차 = 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