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정에서의 혁신학교와 비혁신학교의 학교유형별, 성별에 따라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83044
포천 : 대진대학교, 2016
학위논문(석사) --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2016
2016
한국어
376.6261 판사항(6)
373.14 판사항(23)
경기도
v, 53장 ; 26 cm
지도교수: 강갑원
권말부록: 심리적 안녕감 척도 등
참고문헌: 장 34-4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정에서의 혁신학교와 비혁신학교의 학교유형별, 성별에 따라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정에서의 혁신학교와 비혁신학교의 학교유형별, 성별에 따라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N시에 소재하는 일반고 1개교, 혁신학교 2개교 2학년 남, 여학생을 대상으로 임의로 280명을 표집하였으며 2015년 10월 30일부터 11월 17일까지 18일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주관적 행복감 척도, 행복한 삶에 대한 척도(파나스척도, 청소년 몰입 경험 척도, 삶의 의미 척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을 구하고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에서 혁신학교와 비혁신학교의 심리적 안녕감과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는 거의 없다.
둘째, 고등학교에서 성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는 거의 없다.
셋째, 혁신학교가 고등학생들에게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혁신학교를 주장한 많은 학자들이 혁신학교는 경쟁과 차별에서 배움과 돌봄으로 혁신학교는 교육의 혁신을 추구한다(성열관, 2011)고 하였고, 이에 따라 혁신학교에서는 지향하는 변화는 지시에서 소통으로의 변화, 소외에서 참여로의 변화, 차별에서 지원으로의 변화, 경쟁에서 협력으로의 변화하는 것이라고 정의 내렸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고등학교에서 혁신학교가 마주하는 현실은 비혁신학교의 모습과 다르지 않다. 여전히 대학입시 결과에 따라 좋은 학교의 유무를 판단 받고 있고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없는 교육의 ‘혁신’은 공허한 외침이 될 수밖에 없다.
혁신학교 고등학생과 비혁신학교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및 주관적 행복감은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김성천(2011)은 혁신학교는 근본적으로 비혁신학교를 바꾸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모델과 철학, 프로그램과 사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했는데 혁신학교인 고등학교와 비혁신학교의 차이가 유의미한 정도가 아닌 것은 경기도의 혁신학교가 제대로 정착하고 있다는 증거가 될 수도 있다. 혁신학교 모델이 비혁신학교에 전파되어 비혁신학교도 혁신학교와 거의 같은 수준으로 바뀌게 되어 혁신학교와 비혁신학교도 비슷한 정도의 심리적 안녕감과 주관적 행복감을 가지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혁신학교와 달리 대학입시를 앞두고 있는 고등학교의 특성상 혁신학교가 제대로 뿌리내리지 못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혁신학교이든 비혁신학교이든 상관없이 심리적 안녕감과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수준을 나타내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결론이 더 높은 설득력을 가진다.
Jensen(1987)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개인의 자원, 자존감의 크기, 성격차원, 의사표현능력과 더불어 개인이 처한 사회적, 문화적 구조가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및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고 주관적 행복감에 좋은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다양한 심리 상태에 만든 프로그램의 개발과 상담과 지도를 병행해 나가야 한다. 대학 입시로 인해 심리적 스트레스가 많아 행복지수가 많이 떨어져 있는 시기인 고등학생들의 심리적 상태에 맞는 처방이 필요하다.
혁신학교를 다니면 더 행복하고 심리적으로도 더 안정적으로 학업 성취 결과도 더 높을 것이라는 과신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혁신학교가 아무리 높은 이상을 지향한다 하더라도 실제로 학교현장에서 제대로 실현되지 못한다면 그것은 이상일 뿐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뤄 볼 때, 고등학교 단계에서 혁신학교는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주관적 행복감을 주는 것에 있어서는 별로 소용이 없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appiness between the Innovation high school students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One hundred forty sophomores of General high school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appiness between the Innovation high school students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One hundred forty sophomores of General high school and one hundred forty sophomores of Innovation high school, a total of two hundred and eigh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measuring the Subjective Happiness of each student, the PANAS(Positive Affectivity and Negative Affectivity Scale) Questionnaire, the Flow Scale, and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ited to prove that each student is in charge of his or her response of the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 students in the two types of schools ― Innovation high school students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 including all sub-scale of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personal growth, purpose in lif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nd self-acceptance.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ubjective happiness between the students in the two types of schools. Second, Gender did not affect the outcome of this study and there were not statistical differenc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Innovation high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gree of happiness are as same as that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