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서원건축의 비보풍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Bibo Pungsu of Seowon Architectur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753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원건축에서 비보가 어떤 형태로 적용되고 있고 활용 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미존치 47개 서원가운데 경기지역 5곳과 경상지역 5곳, 그리고 호남지역 1곳,...

      본 연구는 서원건축에서 비보가 어떤 형태로 적용되고 있고 활용 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미존치 47개 서원가운데 경기지역 5곳과 경상지역 5곳, 그리고 호남지역 1곳, 강원지역 2곳의 서원을 중심으로 비보적인 요소가 실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서원건축의 비보는 팔요황천살과 팔로사로황천살의 여러 영향들을 정확히 꿰뚫고 상황에 맞도록 적절한 수목과 연못 등을 활용하고 있다. 이것은 조경적인 요인의 충족과 함께 풍수적인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다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lighten what is the defect-complementary method of Fengshui, which is called ‘Bi-bo Fengshui(裨補風水)’, and how was it applied in Korean Academics in Korean Seowon Architecture. The application cases of defe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lighten what is the defect-complementary method of Fengshui, which is called ‘Bi-bo Fengshui(裨補風水)’, and how was it applied in Korean Academics in Korean Seowon Architecture. The application cases of defect-complementary Fengshui are investigated, with five on Kyonggi province, five on Kyongsang province, one on Honam province and two on Kangwon province of the whole 47 Korean Academics for classical learning in Korean Seowon Architecture. As a result, in Korean Academics for classical learning trees and ponds were well located with accurately analyzing and complementing defects of the ground, such as ‘Pal-yo-hwang-cheon-sal(八曜黃泉殺)’ and ‘Pal-lo-sa-ro-hwang-cheon-sal(八路四路黃泉殺)’. Therefore the landscape factor was used for not only its own landscaping purpose but a solution of Fengshui problem on the groun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원석, "한국의 풍수와 비보" 민속원 41-, 2004

      2 최원석, "한국의 풍수와 비보" 민속원 47-48, 2004

      3 최원석, "한국의 수 경관에 관한 전통적 상징 및 지식체계" 32 : 289-, 2010

      4 왕도형, "지리나경투해" 명문당 91-, 1994

      5 양포생, "중국서원여전통문화" 중국 호남교육출판사 172-, 1992

      6 "조선왕조실록"

      7 이상인, "조선시대 주거문화의 풍수지리적 특성 연구" 원광대학교 2009

      8 "의상십육조소, 능침지제, in 동환봉사"

      9 "의, in 백사집"

      10 류경수, "우리 옛 건축에 담긴 표정들" 대원사 25-, 2004

      1 최원석, "한국의 풍수와 비보" 민속원 41-, 2004

      2 최원석, "한국의 풍수와 비보" 민속원 47-48, 2004

      3 최원석, "한국의 수 경관에 관한 전통적 상징 및 지식체계" 32 : 289-, 2010

      4 왕도형, "지리나경투해" 명문당 91-, 1994

      5 양포생, "중국서원여전통문화" 중국 호남교육출판사 172-, 1992

      6 "조선왕조실록"

      7 이상인, "조선시대 주거문화의 풍수지리적 특성 연구" 원광대학교 2009

      8 "의상십육조소, 능침지제, in 동환봉사"

      9 "의, in 백사집"

      10 류경수, "우리 옛 건축에 담긴 표정들" 대원사 25-, 2004

      11 "오화연필, in 몽경당일사"

      12 "세종 106권, in 조선왕조실록"

      13 "성종 174권, in 국역조선왕조실록"

      14 서유구, "산수간에 집을 짓고" 114-, 2006

      15 "복거, in 산림경제"

      16 "문종 7권, in 국역조선왕조실록"

      17 최창조, "땅의 논리 인간의 논리" 민음사 233-, 1992

      18 "도산잡영, in 퇴계집"

      19 "답양지인, in 주자문집"

      20 김흥경, "노자" 들녘 273-, 2010

      21 이상필,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와우출판사 24-, 2005

      22 "기, 연복사탑중창기 , in 동문선"

      23 "국역조선왕조실록"

      24 "국역조선왕조실록"

      25 노병한, "고전풍수학" 안암문화사 494-, 2006

      26 "고려사절요"

      27 Amos Ih Tiao Chang, "건축공간과 노자사상" 기문당 49-, 1996

      28 노송호, "鄕校 및 書院의 空間別 象徵樹木과 配植類型" 한국전통조경학회 24 (24): 1-12, 2006

      29 이황, "5본조, in 해동잡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