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은유(metaphor)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유아평가에 대한 인식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Based on Metaphor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963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n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ssessment practice of teachers who need to implement assessments of connecting play and learning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seek support plans. Method: An open-ended questionnaire containing metaphors and reasons for assessing young children was collected, and the responses were classified and categorized. Quantitative analysis to calculate frequency and percentage within categories and qualitative analysis to derive meaning were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of metaphor analysis, 10 concepts were derived in 4 categories. The concepts of 'understanding children' and 'understanding children's changes' fell into the category of 'purpose of assessment', and 'limitation of standardized evaluation', 'evaluator error' and 'practical difficulty of assessment' belonged to category of 'issues of assessment'. In the 'necessity of assessment' category, the concepts of 'importance of assessment', 'double-sidedness of assessment' and 'unnecessariness of assessment' were classified, while the concepts of 'support for children growth'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were in the category of 'utilization of assessment results'. Conclusion: By studying the current position of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through teachers' perception, the value of assess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discovered and the direction of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was discussed.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n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ssessment practice of teachers who need to implement assessments of connecting play and learning in the fiel...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n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ssessment practice of teachers who need to implement assessments of connecting play and learning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seek support plans. Method: An open-ended questionnaire containing metaphors and reasons for assessing young children was collected, and the responses were classified and categorized. Quantitative analysis to calculate frequency and percentage within categories and qualitative analysis to derive meaning were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of metaphor analysis, 10 concepts were derived in 4 categories. The concepts of 'understanding children' and 'understanding children's changes' fell into the category of 'purpose of assessment', and 'limitation of standardized evaluation', 'evaluator error' and 'practical difficulty of assessment' belonged to category of 'issues of assessment'. In the 'necessity of assessment' category, the concepts of 'importance of assessment', 'double-sidedness of assessment' and 'unnecessariness of assessment' were classified, while the concepts of 'support for children growth'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were in the category of 'utilization of assessment results'. Conclusion: By studying the current position of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through teachers' perception, the value of assess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discovered and the direction of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was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이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놀이와 배움을 연결하는 평가를 실행해야 하는 교사들의 평가실천을 이해하고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유아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유아평가에 대해 은유로 표현하고 그 이유를 작성하게 하는 개방형 문항으로 수집된 93부의 유아교사 기록물에 대해 개념별 범주화를 실시하고, 범주 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정량분석과 의미를 도출하는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은유분석 결과 4개의 범주 속에 10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는데, ‘평가의 목적’이라는 범주 속에 ‘유아의 현재 이해’, ‘유아의 변화 이해’라는 개념이 ‘평가의 문제’ 범주 속에 ‘표준화된 평가의 한계’, ‘평가자 오류’, ‘평가의 실천적 어려움’이, ‘평가의 필요성’ 범주 속에 ‘평가의 중요성’, ‘평가의 양면성’, ‘평가의 불필요’ 개념이, ‘평가결과의 활용’이라는 범주 속에 ‘유아성장의 지원’, ‘부모와의 소통’이라는 개념이 유목화 되었다. 논의 및 결론: 교사들의 유아평가에 대한 인식을 통해 현재 유아평가의 위치를 짚어보면서, 유아평가의 가치를 발견하고 유아평가의 방향성을 논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이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놀이와 배움을 연결하는 평가를 실행해야 하는 교사들의 평가실천을 이해하고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유아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

      연구목적: 이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놀이와 배움을 연결하는 평가를 실행해야 하는 교사들의 평가실천을 이해하고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유아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유아평가에 대해 은유로 표현하고 그 이유를 작성하게 하는 개방형 문항으로 수집된 93부의 유아교사 기록물에 대해 개념별 범주화를 실시하고, 범주 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정량분석과 의미를 도출하는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은유분석 결과 4개의 범주 속에 10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는데, ‘평가의 목적’이라는 범주 속에 ‘유아의 현재 이해’, ‘유아의 변화 이해’라는 개념이 ‘평가의 문제’ 범주 속에 ‘표준화된 평가의 한계’, ‘평가자 오류’, ‘평가의 실천적 어려움’이, ‘평가의 필요성’ 범주 속에 ‘평가의 중요성’, ‘평가의 양면성’, ‘평가의 불필요’ 개념이, ‘평가결과의 활용’이라는 범주 속에 ‘유아성장의 지원’, ‘부모와의 소통’이라는 개념이 유목화 되었다. 논의 및 결론: 교사들의 유아평가에 대한 인식을 통해 현재 유아평가의 위치를 짚어보면서, 유아평가의 가치를 발견하고 유아평가의 방향성을 논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은정 ; 하민경, "현직 유아교사의 ‘유아 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147-161, 2022

      2 이연선, "은유와 은유분석 고찰을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은유분석 역할탐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253-275, 2015

      3 전유영 ; 이은영, "은유분석을 통해 본 학부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인문사회 21 12 (12): 2655-2670, 2021

      4 정혜영 ; 김미진, "은유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유아관찰에 대한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431-444, 2021

      5 고선 ; 정보미 ; 임지연, "은유분석을 통한 기록에 대한 영유아교사 인식 탐색"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2 (22): 177-199, 2021

      6 박장미, "유아평가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이해와 실천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7 하민경 ; 김은정, "유아교육현장에서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5 (25): 163-182, 2021

      8 황해익, "유아교육평가의 이해" 정민사 2022

      9 최미숙 ; 황윤세, "유아교육평가에 관한 학술지 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107-134, 2008

      10 양옥승 ; 황윤세, "유아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재개념주의적 접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8 : 195-224, 2002

      1 김은정 ; 하민경, "현직 유아교사의 ‘유아 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147-161, 2022

      2 이연선, "은유와 은유분석 고찰을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은유분석 역할탐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253-275, 2015

      3 전유영 ; 이은영, "은유분석을 통해 본 학부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인문사회 21 12 (12): 2655-2670, 2021

      4 정혜영 ; 김미진, "은유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유아관찰에 대한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431-444, 2021

      5 고선 ; 정보미 ; 임지연, "은유분석을 통한 기록에 대한 영유아교사 인식 탐색"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2 (22): 177-199, 2021

      6 박장미, "유아평가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이해와 실천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7 하민경 ; 김은정, "유아교육현장에서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5 (25): 163-182, 2021

      8 황해익, "유아교육평가의 이해" 정민사 2022

      9 최미숙 ; 황윤세, "유아교육평가에 관한 학술지 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107-134, 2008

      10 양옥승 ; 황윤세, "유아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재개념주의적 접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8 : 195-224, 2002

      11 Moss, P., "유아교육과 대안적 내러티브" 살림터 2021

      12 이진희, "유아교육 보육과 함께 걷는 평가" 창지사 2020

      13 윤민아,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어려움과 현장 지원 요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5-30, 2019

      14 장미연, "유아교사의 ‘한국 전래동화’에 대한 인식연구: 은유분석을 중심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21-33, 2021

      15 조유진 ; 배지현,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인식" 한국콘텐츠학회 21 (21): 806-813, 2021

      16 김은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과정에서의 교사 역할에 대한 은유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545-563, 2022

      17 이순복,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놀이에 대한 은유(metaphor)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879-897, 2021

      18 강승지 ; 손유진, "유아 ‘놀이’ 및 ‘학습’의 관계에 대한 부모 인식 연구: 메타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211-231, 2018

      19 Lakoff, G.,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6

      20 송서정 ; 김희진, "보육교사들이 인식한 개정누리과정의 놀이에 대한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339-354, 2021

      21 이진희, "배움을 ‘위한’ 사회문화적 유아평가의 탐색: 방법론적 개인주의 벗어나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791-815, 2020

      22 김재춘, "들뢰즈와 교육 : 차이생성의 배움론" 학이시습 2016

      23 Olsson, L. M.,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 운동과 실험" 살림터 2017

      24 배지현, "들뢰즈 철학에서 ‘배움’의 교육과정적 함의 : 배움의 우연성에 기초한 대안적 교육과정의 개념 모색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1-27, 2012

      25 한석실 ; 윤수진, "누리과정 시행 이후 유아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365-387, 2017

      26 이순복,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계획, 실행, 평가의 내용과 과제에 대한 탐색" 한국아동교육학회 30 (30): 139-155, 2021

      27 이진희, "놀이와 배움을 잇는 유아평가의 방향성 탐색. 유아, 놀이, 유아교육을 위한 평가의 미래" 가천대학교 69-89, 2019

      28 Carter, L.,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일체화: 성취기준에서 학생의 성장에 이르기까지" 살림터 2017

      29 김정윤, "교사 행위주체성에 관한 체계적 문헌 조사와 지원 방안 탐색" 교육연구소 25 (25): 105-128, 2019

      30 교육부, "관찰을 관찰하다" 교육부 2020

      31 김인호, "공교육, 위기와 도전 : 교사·학생·학부모가 함께한 교육 혁신 다시 보기" 맘에드림 2019

      32 김남희, "〔쟁점연구 : 교육평가〕유아교육평가의 구조적 문제 진단 및 방향 모색을 위한 탐색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9 (9): 135-163, 2010

      33 이진희, "‘함께-하는’ 유아평가 : 경계를 넘나들며 대화 이어가기" 창지사 2020

      34 김고은, "‘유아평가’메타포에 드러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 교사, 평가에 대한 인식과 변화 탐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123-152, 2019

      35 Armstrong, S. L., "The subjectivity problem : Improving triangulation approaches in metaphor analysis studies" 10 (10): 151-163, 2011

      36 Schmitt, R.,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as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10 (10): 358-394, 2005

      37 Moser, K. S., "Metaphor analysis in psychology—Method, theory, and fields of application" 1 (1): 1-10, 2000

      38 Gök, B., "Investigation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concept of technology through metaphor analysis" 9 (9): 145-285, 2010

      39 박종명,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실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40 조성경,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어려움"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41 채승연,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현실적 딜레마"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42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43 황해익 ; 제희선 ; 이은정, "2019 개정 누리과정 평가에 대한 이야기: 놀이에서 배움을 발견하는 평가를 위하여" 한국유아교육학회 41 (41): 5-32,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