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천식 및 알레르기성 비염 환아에서의 호기 일산화질소 농도 : 아토피 및 기도과민성과의 연관성 = Exhaled Nitric Oxide Concentration in Children with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 Association with Atopy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718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호기 NO 농도는 비침습적인 하기도 염증의 지표로 주목받고 있으며 기도과민성과 아토피와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천식 및 알레르기성 비염 환아에서 호기 NO ...

      목 적 : 호기 NO 농도는 비침습적인 하기도 염증의 지표로 주목받고 있으며 기도과민성과 아토피와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천식 및 알레르기성 비염 환아에서 호기 NO 농도를 측정하고 기도과민성과 아토피 여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방 법 : 기관지 천식(n=55), 알레르기성 비염(n=17)으로 진단 된 환아 및 대조군(n=14)을 대상으로 2001년 1월부터 4월까지 호기 NO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다시 천식환아군은 아토피성(n=37) 및 비아토피성 천식군(n=18)으로 나누어 비교하였고 알레르기성 비염군은 기도과민성 유무에 따라 나누어 비교하였다(각각, n=7, n=10). 또한 천식군과 알레르기성 비염군을 대상으로 각각 피부 단자시험에서 양성항원 수 및 메타콜린 $PC_{20}$과 호기 NO 농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호기 NO 농도는 천식군과 알레르기성 비염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아토피성 천식군이 비아토피성 천식군보다, 비아토피성 천식군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알레르기성 비염군은 기도과민성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50). 천식군에서는 피부 단자시험에서 양성항원 수 및 메타콜린 $PC_{20}$과 호기 NO 농도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r=0.32, P=0.02; r=-0.38, P<0.01), 알레르기성 비염군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r=0.42, P=0.09; r=-0.06, P=0.83). 결 론 : 호기 NO 농도는 천식환자에서 아토피에 의한 병태생리와 연관성이 있으며 기도과민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그러나 알레르기성 비염에서는 기도과민성 이외의 다른 인자가 호기 NO 농도와 관련성을 가질 것으로 추정되며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A new airway inflammatory marker, exhaled nitric oxide(ENO) has been reported to correlate with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BHR) and atop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ENO with BHR or atopy in patients with...

      Purpose : A new airway inflammatory marker, exhaled nitric oxide(ENO) has been reported to correlate with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BHR) and atop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ENO with BHR or atopy in patients with asthma and with allergic rhinitis.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55 children with asthma, 17 with allergic rhinitis, and 14 healthy controls. The asthma group was subdivided into the atopic asthma group(n=37) and the nonatopic asthma group(n=18) and the allergic rhinitis group into BHR group(n=7) and non-BHR group(n=10). All were investigated with spirometry and measurements of ENO concentra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ENO concentration and both methacholine $PC_{20}$(provocative concentration causing a 20% decrease in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and the number of allergen skin test positivity were analyzed. Results : ENO concentrations of both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group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control(P<0.01). ENO concentration of atopic asthma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nonatopic asthma(P<0.01). In allergic rhinitis, ENO concentration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BHR(P=0.50). ENO concentration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number of skin test positivity(r=0.32, P=0.02) or methacholine $PC_{20}$(r=-0.38, P<0.01) in asthma group, but not in the allergic rhinitis group(r=0.42, P=0.09; r=-0.06, P=0.83). Conclusion : In asthma patients, some pathogenetic mechanisms associated with atopy and BHR seem to influence ENO concentration. In allergic rhinitis patients, some factors other than BHR may be important in determining ENO concentr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