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빌트인 가전 제품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김치냉장고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built-in home appliance design : Focused on Kimchi refrigerat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6865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30대의 젊은 층은 집이나 가전을 소유하기 보다는 사용 하는 것에 목적을 두는 경향이 짙고, Dead Space를 최소화하고 세련된 주방을 만드는 것이 인테리어 디자인의 핵심이 되면서 Built-in 가전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 되었다.
      '빌트인'이란 주부들이 주로 사용하는 가전기기를 붙박이 형태로 장착한 것을 뜻한다. 전체 인테리어의 조화를 감안해 가전과 가구를 배치하기 때문에 자투리 공간을 최소화하고 동선을 단축, 공간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리성도 극대화할 수 있다. 빌트인 가전은 가구와 가전의 인테리어를 통일감 있게 조화시킬 수 있고, 전체를 감안해 기기들을 배치하기 때문에 공간을 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근래 분양하고 있는 아파트에서 주방 가구와 주방 가전인 냉장고, 김치냉장고, 식기세척기, 후드, 가스오븐레인지 등의 가전이 일체화 될 수 있도록 설계된 빌트인 시스템은 생산 방식에 있어서도 대량 생산 방식을 탈피하여 개개인의 요구에 따른 Order Made 생산 방식으로 고객 개개인의 필요에 따른 맞춤가구를 선보이고 있다.
      향후 주방가구에 사용될 기기는 그 종류나 쓰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Lay-Out상 Image를 연출할 수 있고 주부의 동선에 영향을 주지 않는 Built-in방식의 기기들이 현재보다 적극적으로 도입될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빌트인 가전 중에서도 필수 가전 제품으로 자리 잡은 김치냉장고 디자인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이를 위해 주방 공간의 구성, 국내·외 주방의 규격 및 빌트인 가전 현황 분석과 국내·외 주방 가구 디자인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국내·외 연구 논문 및 서적 문헌 등과 국내 평형대별 주방 스타일을 70~80~90평형대, 50~60평형대, 30~40평형대, 10~20평형대 별로 세분화하여 Positioning Map을 작성·분석한 결과 Simple함이 우선이라는 소비자 Needs를 파악하고 Easy open, Intelligent, Useful 을 키워드로 한 컨셉을 설정하고, 이 컨셉을 적용한 디자인 사례로서 110ℓ급 서랍식 빌트인 김치냉장고를 디자인하여 예시하였다.
      번역하기

      20~30대의 젊은 층은 집이나 가전을 소유하기 보다는 사용 하는 것에 목적을 두는 경향이 짙고, Dead Space를 최소화하고 세련된 주방을 만드는 것이 인테리어 디자인의 핵심이 되면서 Built-in 가...

      20~30대의 젊은 층은 집이나 가전을 소유하기 보다는 사용 하는 것에 목적을 두는 경향이 짙고, Dead Space를 최소화하고 세련된 주방을 만드는 것이 인테리어 디자인의 핵심이 되면서 Built-in 가전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 되었다.
      '빌트인'이란 주부들이 주로 사용하는 가전기기를 붙박이 형태로 장착한 것을 뜻한다. 전체 인테리어의 조화를 감안해 가전과 가구를 배치하기 때문에 자투리 공간을 최소화하고 동선을 단축, 공간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리성도 극대화할 수 있다. 빌트인 가전은 가구와 가전의 인테리어를 통일감 있게 조화시킬 수 있고, 전체를 감안해 기기들을 배치하기 때문에 공간을 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근래 분양하고 있는 아파트에서 주방 가구와 주방 가전인 냉장고, 김치냉장고, 식기세척기, 후드, 가스오븐레인지 등의 가전이 일체화 될 수 있도록 설계된 빌트인 시스템은 생산 방식에 있어서도 대량 생산 방식을 탈피하여 개개인의 요구에 따른 Order Made 생산 방식으로 고객 개개인의 필요에 따른 맞춤가구를 선보이고 있다.
      향후 주방가구에 사용될 기기는 그 종류나 쓰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Lay-Out상 Image를 연출할 수 있고 주부의 동선에 영향을 주지 않는 Built-in방식의 기기들이 현재보다 적극적으로 도입될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빌트인 가전 중에서도 필수 가전 제품으로 자리 잡은 김치냉장고 디자인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이를 위해 주방 공간의 구성, 국내·외 주방의 규격 및 빌트인 가전 현황 분석과 국내·외 주방 가구 디자인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국내·외 연구 논문 및 서적 문헌 등과 국내 평형대별 주방 스타일을 70~80~90평형대, 50~60평형대, 30~40평형대, 10~20평형대 별로 세분화하여 Positioning Map을 작성·분석한 결과 Simple함이 우선이라는 소비자 Needs를 파악하고 Easy open, Intelligent, Useful 을 키워드로 한 컨셉을 설정하고, 이 컨셉을 적용한 디자인 사례로서 110ℓ급 서랍식 빌트인 김치냉장고를 디자인하여 예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uilt-In appliance research initiated from young generation at their 20 to 30s. This young generation place more value on functionality of home and appliances. This demographic also put extra effort to minimize the 'dead space', and to furnish their kitchen areas so that their kitchen look decent.
      'Built In' literally represent the a method of appliance arrangement where all appliances are built into the kitchen furniture. This 'Built In' concept make it possible to fully utilize the space and help to minimize the kitchen traffic. The 'Built In' structure promote the environment where your kitchen furnitures are naturally coordinated with your kitchen appliances.
      Recently, many contractors are introducing alternative way to meet the customer expectation. These contractors not only place refrigerators, KimChi Refrigerators, dish washers, hood, and range as a built in appliance. They also came up with new manufacturing process which will allow them to build furnitures to meet individual customer needs.
      It is expected that the built in application will spread further since the built in enable users to create the image in furniture & appliance layout.
      The writer focused on built in design study for KimChi refrigerator application. Study was done using published papers to review kitchen area, kitchen standard, and built in appliance industries for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The writer also developed positioning map based on kitchen size of 70~90 pyung, 50~60 pyung, 30~40 pyung and 10~20 pyung and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simplicity' is the number one requirement for users. Based on this conclusion, the writer established three concepts (easy open, intelligent and useful) and proceeded with design. As a result, writer submit renderings for 110L drawer type built in KimChi refrigerator.
      번역하기

      The Built-In appliance research initiated from young generation at their 20 to 30s. This young generation place more value on functionality of home and appliances. This demographic also put extra effort to minimize the 'dead space', and to furnish the...

      The Built-In appliance research initiated from young generation at their 20 to 30s. This young generation place more value on functionality of home and appliances. This demographic also put extra effort to minimize the 'dead space', and to furnish their kitchen areas so that their kitchen look decent.
      'Built In' literally represent the a method of appliance arrangement where all appliances are built into the kitchen furniture. This 'Built In' concept make it possible to fully utilize the space and help to minimize the kitchen traffic. The 'Built In' structure promote the environment where your kitchen furnitures are naturally coordinated with your kitchen appliances.
      Recently, many contractors are introducing alternative way to meet the customer expectation. These contractors not only place refrigerators, KimChi Refrigerators, dish washers, hood, and range as a built in appliance. They also came up with new manufacturing process which will allow them to build furnitures to meet individual customer needs.
      It is expected that the built in application will spread further since the built in enable users to create the image in furniture & appliance layout.
      The writer focused on built in design study for KimChi refrigerator application. Study was done using published papers to review kitchen area, kitchen standard, and built in appliance industries for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The writer also developed positioning map based on kitchen size of 70~90 pyung, 50~60 pyung, 30~40 pyung and 10~20 pyung and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simplicity' is the number one requirement for users. Based on this conclusion, the writer established three concepts (easy open, intelligent and useful) and proceeded with design. As a result, writer submit renderings for 110L drawer type built in KimChi refrigerat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 목차 = 3
      • 제1장. 서론 = 7
      • 1-1.연구배경 = 8
      • 1-2.연구목적 및 범위 = 8
      • 국문초록 = 1
      • 목차 = 3
      • 제1장. 서론 = 7
      • 1-1.연구배경 = 8
      • 1-2.연구목적 및 범위 = 8
      • 제2장. 주방 공간의 구성과 빌트인 가전의 특징 및 현황 = 10
      • 2-1.주방 공간의 구성과 디자인의 변화 = 11
      • 2-1-1.작업대 = 13
      • 2-1-2.작업동선 = 13
      • 2-1-3.국내·외 주방 가구의 규격 = 20
      • 2-1-4.국내·외 주방 가구 디자인의 변화 = 23
      • 2-2.주방 빌트인 가전 제품의 특징과 현황 = 28
      • 2-2-1.빌트인 가전의 개념 = 28
      • 2-2-2.주방 빌트인 가전의 구성 및 설치 = 30
      • 2-3.국내·외 주방 빌트인 가전제품 시장 현황 분석 = 33
      • 제3장. 빌트인 주방 가전 제품의 소비자 실태 = 39
      • 3-1.빌트인 주방 가전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 40
      • 3-2.국내 평형대별 주방 스타일 = 41
      • 3-2-1.70~8O~90평대 = 41
      • 3-2-2.50~60평대 = 43
      • 3-2-3.30~40평대 = 45
      • 3-2-4.1O~20평대 = 47
      • 3-4.국내 주방 Keywords Positioning = 49
      • 제4장. 빌트인 가전 제품 디자인 제안 = 50
      • 4-1.계획의 개요 = 51
      • 4-2.디자인 전개 = 52
      • 4-2-1.Research & Spec = 52
      • 4-2-2.Positioning Map & Concept = 61
      • 4-2-3.Idea Sketch = 64
      • 4-3.Production = 70
      • 4-3-1.Rendering = 70
      • 제5장. 결론 = 72
      • Abstract =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