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동시대에서 나타나는 '소멸'의 의미를 모리스 블랑쇼의 '중성' 개념을 토대로 탐구하고, 이를 연구자의 창작 활동과 연결하여 고찰한 연구이다. 논문의 핵 심은 소멸이라는 주제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76010
서울 :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 미술학과 입체미술전공 , 2025. 2
2024
한국어
소멸 ; 중성 ; 동시대 ; 존재 ; 모리스블랑쇼 ; 바깥 ; 모호함 ; 여성성 ; disappearance ; neutrality ; contemporary ; existence ; Maurice Blanchot ; the outside ; ambiguity
서울
x, 102 ; 26 cm
지도교수: 이웅배
I804:11014-2000008523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동시대에서 나타나는 '소멸'의 의미를 모리스 블랑쇼의 '중성' 개념을 토대로 탐구하고, 이를 연구자의 창작 활동과 연결하여 고찰한 연구이다. 논문의 핵 심은 소멸이라는 주제가...
본 논문은 동시대에서 나타나는 '소멸'의 의미를 모리스 블랑쇼의 '중성' 개념을 토대로 탐구하고, 이를 연구자의 창작 활동과 연결하여 고찰한 연구이다. 논문의 핵 심은 소멸이라는 주제가 단순히 죽음에 국한되지 않고, 보다 폭넓은 사회적, 실존 적, 생태적 맥락에서 '중성'의 개념과 연결될 수 있음을 논의하는 데 있다. 특히, 연 구자의 창작 과정에서 이 주제가 시각적 요소와 상징을 통해 표현되고 발전된 과정 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이는 작가 개인의 경험, 특히 어머니의 죽음이라는 실존적 사건을 통해 심화 한다. 2장에서는 소멸과 중성의 배경을 바탕으로, 고대 동양과 서양의 관점을 분석하였 다. 장자와 에피쿠로스를 통해 고대 사상에서 소멸과 죽음에 대한 해석을 논의하고, 이를 현대적 관점에서 포스트휴머니즘을 통해 확장하여 살펴보았다. 포스트휴머니 즘은 인간 중심의 사고를 넘어서 생명과 비생명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며, 소멸을 더 이상 단순히 죽음으로만 이해하지 않고, 존재 자체의 변화와 확장으로 해석한다. 모리스 블랑쇼의 중성 개념은 특정 가치나 결말에 고정되지 않고, 삶과 죽음의 이 분법을 넘어선 미결정적인 상태를 설명하며, '바깥'의 개념과도 함께 사용된다. 바 깥은 중성의 연장선상에서 특정한 경계를 넘어 끊임없이 열려 있는 가능성의 공간 을 의미한다. 이는 죽음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데, 죽음은 단순한 끝이 아니라 중 성적인 상태에서 다양한 의미가 변주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3장에서는 연구자의 창작 과정에 중성과 소멸의 주제가 시각적으로 구현된 방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어머니의 죽음을 개인적 사건으로 삼아, 소멸이라는 주제를 예술 작품 속에서 실존적 경험으로 심화시켰다. 창작 과정에서 소멸과 중성의 주제 는 종자, 신체 파편, 꿈의 내러티브와 같은 시각적 요소와 상징을 통해 표현되었다. 종자는 생명과 소멸의 시작과 끝을 상징하며, 신체 파편은 존재와 소멸이 교차하는 공간을 나타내고, 꿈의 내러티브는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넘나들며 소멸의 확장 된 의미를 서사적으로 표현한다. 이와 함께 한스 옵 디 빅, 데미안 허스트, 아네트 메사제와 같은 동시대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하여, 이들이 중성과 소멸의 개념을 각 자의 작품에서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비교하였다. 이들의 작품은 사회적, 생태적 맥락을 반영하면서도 각 작가의 독창적 관점이 작품에 투영된 모습을 보여 준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가 현대 미술에서 중성과 소멸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소멸의 의미가 단순한 생명의 끝을 넘어서 확장된 의미를 가 질 수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본 연구가 현대 미술의 담론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도 포함하였다. 이 연구는 중성과 소멸을 주제로 한 현대 미술의 담론을 심화시키며, 작가의 개인적 경험이 예술 작품으로 구체화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cords explores the meaning of "disappearance" in contemporary contexts, grounded in Maurice Blanchot's concept of "neutrality," and examines its connections to the researcher's creative activities. The core argument of the thesis is that ...
This paper records explores the meaning of "disappearance" in contemporary contexts, grounded in Maurice Blanchot's concept of "neutrality," and examines its connections to the researcher's creative activities. The core argument of the thesis is that the theme of disappearance is not confined to death but can be linked to the concept of neutrality within broader social, existential, and ecological contexts. It specifically focuses on how this theme has been visually expressed and developed through the researcher’s creative process, which has been deeply influenced by personal experiences, including the existential event of the researcher’s mother’s passing.
In Chapter 2, the background of disappearance and neutrality is discussed by analyzing perspectives from ancient Eastern and Western thought. Through the philosophies of Zhuangzi and Epicurus, interpretations of disappearance and death in ancient thought are explored and further extended through posthumanism in a modern context. Posthumanism challenges anthropocentric thinking by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life and non-life, interpreting disappearance not as mere death but as a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of existence itself. Maurice Blanchot's concept of neutrality, which avoids fixation on specific values or outcomes and transcends the dichotomy of life and death, is examined alongside the concept of "the outside." The outside, as an extension of neutrality, represents a space of endless possibilities that transcends defined boundaries. It relates closely to death, not as a simple end but as an opportunity for diverse meanings to emerge in a neutral state.
Chapter 3 analyzes how the themes of neutrality and disappearance have been visually implemented in the researcher’s creative process. The researcher deepened the theme of disappearance through the existential experience of their mother’s death, reflecting this in their art. The themes of disappearance and neutrality are expressed through visual elements and symbols such as seeds, body fragments, and dream narratives. Seeds symbolize the beginning and end of life and disappearance; body fragments depict the space where existence and disappearance intersect; and dream narratives traverse the boundaries of reality and unreality, narratively expanding the meaning of disappearance. Additionally, the works of contemporary artists such as Hans Op de Beeck, Damien Hirst, and Annette Messager are analyzed, highlighting how these artists incorporate the concepts of neutrality and disappearance into their works. Their artworks reflect social and ecological contexts while projecting each artist's unique perspective.
In conclusion, the thesis argues that this research provides a new interpretation of neutrality and disappearance in contemporary art, demonstrating that the meaning of disappearance can extend beyond the mere end of life. The study emphasizes its contribution to expanding the discourse in contemporary art while discussing it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research deepens the discourse on neutrality and disappearance in contemporary art and showcases the process by which the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s are materialized into artworks.
목차 (Table of Contents)
Learning Outside the Classroom: St. Peter's Primary School
Teachers TV Teachers TVLearning Outside the Classroom: Southdale Junior School
Teachers TV Teachers TVLearning Outside the Classroom: St. James' Junior and Infants School
Teachers TV Teachers TVLearning Outside the Classroom: Secondary Science
Teachers TV Teachers TVLearning Outside the Classroom: Secondary History and Art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