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전시체제기 동원체제 하에서 종교계의 동향과 천도교의 대응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일제강점기 1931년 8월 류타오후사건을 계기로 만주를 침략하여 만 주사변을 일으켰으며 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84653
성주현 (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
2022
Korean
전시체제기 ; 동원 ; 불교 ; 유교 ; 천도교 ; 시국강연 ; 심전 개발운동 ; Warring States Period ; Mobilization ; Buddhism ; Confucianism ; Cheondogyo ; State of the Union Lecture ; Simjeon Development Movement
KCI등재
학술저널
239-269(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전시체제기 동원체제 하에서 종교계의 동향과 천도교의 대응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일제강점기 1931년 8월 류타오후사건을 계기로 만주를 침략하여 만 주사변을 일으켰으며 1...
이 논문은 전시체제기 동원체제 하에서 종교계의 동향과 천도교의 대응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일제강점기 1931년 8월 류타오후사건을 계기로 만주를 침략하여 만 주사변을 일으켰으며 1937년 중일전쟁, 1941년 태평양전쟁으로 이어 지면서 이른바 전시체제기가 형성되었다. 중일전쟁 이후 국가총동원법 을 제정하면서 전시동원 체제가 성립되었다. 이 시기 총독인 우가키는 민심작흥운동을 강화하기 위해 종교계를 중심으로 심전개발운동을 추 진하였다. 심전개발운동을 종교계를 매개로 한 것으로 조선인에 대한 교화정책이기도 하였다. 즉 신앙을 통한 정신적 교화가 사회의 불평과 불만을 완화시키고, 이를 통해 식민통치에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자 하는 목적이 깔려있다. 이러한 심전개발운동에는 주로 불교와 유교 가 동원되었다. 이는 두 종교가 오랫동안 조선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 이었다.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두 종교가 미치는 영향 역시 컸 기 때문이었다. 불교는 조선불교중앙종무원을, 유교는 각지의 유림을 중심으로 각종 강연회 개최하면서 내선융화를 강조하고 황민화운동을 적극 추진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현강, "중일전쟁 발발 이후 충청도 지역교회의 전시협력활동"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7) : 107-137, 2007
2 임숙정, "조선유도연합회 순천군지부 회원의 현황과 특징" 한국근현대사학회 (73) : 153-182, 2015
3 "조선신문"
4 원영상, "전시체제의 종교탄압과 불교계의 저항" 한국선학회 (16) : 287-318, 2007
5 류미나,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유림정책" 한국역사연구회 (63) : 309-341, 2007
6 문지현,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신종교에 대한정책과 신종교단체" 한국근현대사학회 (67) : 391-416, 2013
7 한길로, "전시체제기 조선 유림의 일본 체험과 시회 풍경 -『朝鮮儒林聖地巡拜記』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62) : 37-70, 2014
8 한길로, "전시체제기 유림 잡지 소재 한시의 성격과 그 실상 - 조선유도연합회의 『유도』를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53) : 123-152, 2017
9 윤선자, "전시체제기 광주교구와 와키다 신부"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1) : 333-364, 2009
10 윤선자, "일제전시하 총동원체제와 조선천주교회" 역사학회 157 : 1998
1 송현강, "중일전쟁 발발 이후 충청도 지역교회의 전시협력활동"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7) : 107-137, 2007
2 임숙정, "조선유도연합회 순천군지부 회원의 현황과 특징" 한국근현대사학회 (73) : 153-182, 2015
3 "조선신문"
4 원영상, "전시체제의 종교탄압과 불교계의 저항" 한국선학회 (16) : 287-318, 2007
5 류미나,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유림정책" 한국역사연구회 (63) : 309-341, 2007
6 문지현,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신종교에 대한정책과 신종교단체" 한국근현대사학회 (67) : 391-416, 2013
7 한길로, "전시체제기 조선 유림의 일본 체험과 시회 풍경 -『朝鮮儒林聖地巡拜記』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62) : 37-70, 2014
8 한길로, "전시체제기 유림 잡지 소재 한시의 성격과 그 실상 - 조선유도연합회의 『유도』를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53) : 123-152, 2017
9 윤선자, "전시체제기 광주교구와 와키다 신부"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1) : 333-364, 2009
10 윤선자, "일제전시하 총동원체제와 조선천주교회" 역사학회 157 : 1998
11 윤기엽,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정신계몽운동을 통한 식민통치: 1930년대 심전개발운동(心田開發運動)을 중심으로" 원불교사상연구원 (86) : 407-439, 2020
12 김정화, "일제강점기 ‘조선적’ 기독교의 모색과 최태용" 역사학연구소 (43) : 89-122, 2022
13 김정인, "일제강점 후반기(1931~1945)천도교 세력의 친일문제" 9·10 : 2001
14 김승태, "일제 말기 한국기독교게의 변질·개편과 부일협력"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4 : 2006
15 한길로, "일제 말 지방 유림의 동향과 친일시의 국면 - 강릉 유림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60) : 304-338, 2016
16 "신인간"
17 이장우, "식민지시대 말기 조선 천주교회와 총독부의 종교 통제 — 노기남 주교의 대응을 중심으로" (재)한국교회사연구소 (35) : 39-67, 2010
18 "부산일보"
19 "매일신보"
20 "동아일보"
21 박찬승, "국역 조선총독부30년사(중)" 민속원 2018
22 "心田開發に關する講演集"
23 김승태, "‘전시체제’하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기독교계의 부일 협력 활동, 1937~1945"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54 (54): 2002
24 윤선자, "1940년대 전시체제와 제주도천주교회"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5) : 253-284,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