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2019-2023년 국내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Focus on teacher-centric research in 2019-2023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220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 국내에서 다루어진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학령기 이전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및 방향을 재고하는 기초 연구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가진다.
      방법 이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이 고시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KCI에 등재된 ‘유아교육’,‘과학’, ‘교사’를 키워드로 한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등재 학술지는 총 38편으로, 이를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에 따라 상세하게 분석하여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의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대상 연구가 보육교사 대상 연구보다 더 높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의 연구방법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는 양적연구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는 질적연구가 더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의 연구내용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는 현장 이해를 목적으로 교사 간 모임을 통한 접근이 주로 이루어졌으며 예비교사를 대상으로는 변인 이해를 목적으로 특정 및 활동을 통한 접근이 주로 이루어진 가운데 시기에 따라 접근방법의 경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를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지향하는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과학교육에서도 실현되기 위한 방법론적인 논의와 교사교육의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 국내에서 다루어진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학령기 이전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및 방향을 재고하는 기초 연...

      목적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 국내에서 다루어진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학령기 이전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및 방향을 재고하는 기초 연구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가진다.
      방법 이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이 고시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KCI에 등재된 ‘유아교육’,‘과학’, ‘교사’를 키워드로 한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등재 학술지는 총 38편으로, 이를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에 따라 상세하게 분석하여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의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대상 연구가 보육교사 대상 연구보다 더 높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의 연구방법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는 양적연구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는 질적연구가 더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의 연구내용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는 현장 이해를 목적으로 교사 간 모임을 통한 접근이 주로 이루어졌으며 예비교사를 대상으로는 변인 이해를 목적으로 특정 및 활동을 통한 접근이 주로 이루어진 가운데 시기에 따라 접근방법의 경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를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지향하는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과학교육에서도 실현되기 위한 방법론적인 논의와 교사교육의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research data to reconsider the role and direction of teach ers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before school age by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dealt with in Korea after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Methods Accordingly, papers with keywords ‘infant education’, ‘science’, and ‘teacher’ registered in the KCI for five years from 2019 to 2023, which were announced as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were selected for analysis.
      A total of 38 selected academic journals were analyz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 od, and research content of the analysis criteria, and the research trend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re lated to teachers was examin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studies o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related to teachers showed higher frequency than studi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as for the research method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related to teachers, quantitative research was found to be higher for pre-service teachers and qualitative research for incumbent teache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content of early childhood sci ence education related to teachers was mainly approached through meetings between teacher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field for incumbent teachers, and the tendency of the approach varies depending on the time while the approach through specific and activities was mainly conducted for pre-service teacher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variables.
      Conclusions It is proposed that these results be used to present methodological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for the early childhoo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aimed at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to be realized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research data to reconsider the role and direction of teach ers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before school age by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dea...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research data to reconsider the role and direction of teach ers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before school age by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dealt with in Korea after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Methods Accordingly, papers with keywords ‘infant education’, ‘science’, and ‘teacher’ registered in the KCI for five years from 2019 to 2023, which were announced as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were selected for analysis.
      A total of 38 selected academic journals were analyz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 od, and research content of the analysis criteria, and the research trend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re lated to teachers was examin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studies o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related to teachers showed higher frequency than studi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as for the research method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related to teachers, quantitative research was found to be higher for pre-service teachers and qualitative research for incumbent teache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content of early childhood sci ence education related to teachers was mainly approached through meetings between teacher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field for incumbent teachers, and the tendency of the approach varies depending on the time while the approach through specific and activities was mainly conducted for pre-service teacher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variables.
      Conclusions It is proposed that these results be used to present methodological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for the early childhoo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aimed at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to be realized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