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海印寺에 소장된 江華京板 󰡔高麗大藏經󰡕의 ‘外藏’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지원과제는 2년동안에 걸쳐 현재 합천 海印寺에 소장된 江華京板 󰡔高麗大藏經󰡕(이하 강화경판) '外藏(일명 : 雜板 또는 해인사 寺․私刊板)'의 역사․문화적 실체를 ...

      본 연구지원과제는 2년동안에 걸쳐 현재 합천 海印寺에 소장된 江華京板 󰡔高麗大藏經󰡕(이하 강화경판) '外藏(일명 : 雜板 또는 해인사 寺․私刊板)'의 역사․문화적 실체를 객관적으로 탐색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성과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외장의 역사․문화유산적 성격을 객관적으로 진단하는 한편, 동아대학교 함진재 소장의 인경본과 해인사팔만대장경연구원의 디지털자료를 텍스트로 삼아, 외장에 포함된 국보 206호(28종 2,725판)․보물 734호(26종 110판)와 보유판 15종 등의 개별 경판에 새겨진 형태 서지학 자료와 함께 지․발문 및 각수 자료를 정리․분석하였다.
      외장의 자료는 13세기 중엽 강화경판 판각사업에 있어서 참여자․각수의 출신성분․역할, 참여 배경 및 현실인식, 사업의 운영체계, 판각공간의 소재지 등과 같이 다양한 내용을 비교적 풍부하게 새겨두고 있으므로, 역사․문화적인 중요성을 가진다. 이에 본 지원과제에서는 기존의 판독 오류를 바로잡고 누락 부분을 보완하여 원전 텍스트를 확정하고, 지․발문의 역주를 수행하였다. 이들 분석 자료는 외장 개별 경판의 판각시기와 함께 판각주체․참여자의 출신성분과 현실인식, 판각조직체계, 조성공간, 서지학적 계승관계 등을 전반적으로 검토하는데 활용하여, 본 지원과제와 관련된 외장의 조성시기 및 판본의 역사․문화적 성격을 진단하는 초고를 작성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개별 판본의 조성시기와 판본의 성격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내용의 상당 부분을 바로잡는 한편, 불명확하게 추정된 내용도 새롭운 자료의 발굴을 통해 분명하게 확인하게 되었다. 그리고 형태 서지학적인 분석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일부 개별 경판의 경우에는 경전의 본문 내용도 분석하여 판본의 완전본 여부를 바로잡기도 하였다.
      한편 본 지원연구의 수행과정에서는 '대장'의 일부 자료에서 고종 32년 경부터 대장도감 산하에 中房(衆房)․東房․西房 등과 같은 판각공간이 운영되고 있다는 새로운 사실도 확인하였다. 이에 향후에는 가야산 하거사․해인사․동천사 등 외장에 새겨진 판각공간과 교차적인 검토를 구체적으로 수행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project is researched at the historical fact and cultural value of the Ganghwa Woodblock(江華經板)-Koryo Tripitaka(高麗大臧經)-Woijang(外藏) there has be collecting in the Haein-Temple(海印寺). above all, this process of wo...

      This research project is researched at the historical fact and cultural value of the Ganghwa Woodblock(江華經板)-Koryo Tripitaka(高麗大臧經)-Woijang(外藏) there has be collecting in the Haein-Temple(海印寺). above all, this process of work analyzed the existing research-results. next, this process of work investigated the epilogue and the sculptor of a Tripitaka-woodblock, analyzed that. the epilogue was translated into.
      These data were used in this search of Woijang(外藏)-Woodblock's sculpturing-time and cultural value. As a result, the existing error of sculpturing-time was redressed, a new facts was searched. Specially, the following fact was newly confirmed. the Koryo-Dynasty's Daejangdogam(高麗國大藏都監) and the Koryo-Dynasty's Bunsa-Daejangdogam(高麗國分司大藏都監) had operated the sculpturing-place of an Woodblock. that was the Hageo-Temple(下鉅寺), the Haein-Temple(海印寺), the Dongchen-Temple(東泉社), the sculpturing-place of middle(中房), the sculpturing-place of east(東房), the sculpturing-place of west(西房).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