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행연구에서는 한국 교직의 현재주의 문화에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않았으며, 교직문화의 특징인 현재주의, 보수주의, 개인주의가 서로 중첩되어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에 주목하지 않았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48234
서울 : 서울교육대학교, 2018
학위논문(석사)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초등교육행정전공 , 2018
2018
한국어
375.21 판사항(6)
372.12 판사항(23)
서울
vi, 86 p. ; 26 cm
지도교수: 정바울
권말부록: 연구참여 설명서 ; 연구참여 동의서
참고문헌: p. 75-7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선행연구에서는 한국 교직의 현재주의 문화에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않았으며, 교직문화의 특징인 현재주의, 보수주의, 개인주의가 서로 중첩되어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에 주목하지 않았다...
선행연구에서는 한국 교직의 현재주의 문화에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않았으며, 교직문화의 특징인 현재주의, 보수주의, 개인주의가 서로 중첩되어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에 주목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선행연구의 결과에 의문을 던지고 한국 교직문화를 현재주의, 보수주의, 개인주의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바람직한 교직문화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세 가지이다.
첫째, 서울형 혁신학교로 변화하는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서울형 혁신학교의 교직문화에 현재주의, 보수주의, 개인주의 문화가 존재하는가?
셋째, 현재주의, 보수주의, 개인주의 문화가 서로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본 연구를 위해 혁신학교를 연구 장소로 하였다. 혁신학교는 현재주의가 드러났던 Hargreaves & Shirley(2009b)의 연구대상과 유사하고, 교직문화 혁신을 위한 정책이라는 점에서 연구대상으로서의 가치가 있었다. 연구 대상이 된 학교는 서울시에 소재한 서울형 혁신학교인 슬기초등학교였으며, 면담자 9명은 성별과 경력뿐만 아니라 부장교사 경험과 혁신학교 업무 수행 여부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현재주의는 학급 안에서 드러났다. 교사들에게는 학생들이 주는 심리적 보상이 매우 중요하지만 예측하기 어려웠고, 교사들의 업무가 과중하여 교사들이 학생의 배움의 질을 생각하고 준비할 기회를 잃어버렸다.
둘째, 교사의 현재주의는 학급에서 확장되어 학교 전체에서 드러났다. 하향식 정책의 한계, 과중한 업무, 단기운영예산으로 새로운 형태의 현재주의가 드러났다. 현재주의의 모습은 학교가 장기적 교육의 목표에 집중하기보다 안전 업무와 민원 처리에 몰입하는 모습에서 드러났다. 그러나 단·중·장기 전략을 세우지 않고 행정절차를 간소화시킴으로서 현재주의 문화를 극복할 가능성이 있었다. 슬기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은 변화를 이끌어줄 리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진화의 개념을 도입하여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다는 긍정적인 관점이 드러났다.
셋째, 보수주의는 존재하던 것을 개혁하기 보다는 이미 존재했던 것들의 효율성을 강화하는 모습에서 드러났다. 그러나 기존의 일반학교 정책들이 이미 교육 개혁 성향의 정책들이 많았으며, 하고 있던 정책들을 묶어서 혁신학교의 틀에 맞출 수 있을 만큼 교사들이 많은 일을 하고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보수주의가 나타난 사실에 대하여 신중하게 접근해야할 필요성이 있었다.
넷째, 개인주의는 교원학습공동체, 토론이 있는 교직원회의를 통해 줄어든 모습을 보였다. 혁신학교의 특징인 학교 간 활발한 네트워킹은 학교 간 개인주의 또한 줄이면서 본 정책의 취지에 맞는 교직의 개인주의 문화 감소가 두드러졌다.
연구의 결론으로, 첫째, 학급에서 드러나는 교사의 현재주의를 줄이기 위하여 담임교사의 업무경감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에서 드러나는 교사의 현재주의를 줄이기 위하여 서울형 혁신학교 정책들이 취지에 맞게 운영이 되어야 한다. 토론이 있는 교직원회의를 통한 교원의 발언권 강화, 학교평가를 통한 운영예산의 기간 자율화, 업무지원팀 운영을 통한 교사전문학습공동체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셋째, 교사들이 학교에서 해온 학교 변화의 노력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있어야 한다. 넷째, 교사 스스로 전문성을 갖춘 의사결정의 주체가 되도록 지식의 성문화를 위해 노력하고 정치적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