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 고찰: 뉴질랜드, 미국, 영국 정책 비교연구 = Sport Safety Poli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A Comparative Study of New Zealand, the USA, and the U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379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뉴질랜드, 미국, 영국의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의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의 발전을 위한 실질적 적용방안 및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방법] 이에 본 연구는 크게 3단계에 따른 비교연구를 활용하여, 각 국가의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에 직간접적으로영향을 행사하는 기관의 홈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 와 국내외 논문 사이트에서 수집한 관련 학술 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이에 따라 각 국가의 장애인 스포츠 안전 정책의 법적 근거, 실행기관, 전달체계를 정리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3가지로 도출하였다.
      [결론] 첫째,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의 근거가 되는 법제도 강화가 요구된다. 둘째,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 실행기관간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의 전달체계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증가하는 장애인스포츠 참여를 지속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애인 스포츠안전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정책 및 지원의 재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뉴질랜드, 미국, 영국의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의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의 발전을 위한 실질적 적용방안 및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뉴질랜드, 미국, 영국의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의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의 발전을 위한 실질적 적용방안 및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방법] 이에 본 연구는 크게 3단계에 따른 비교연구를 활용하여, 각 국가의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에 직간접적으로영향을 행사하는 기관의 홈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 와 국내외 논문 사이트에서 수집한 관련 학술 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이에 따라 각 국가의 장애인 스포츠 안전 정책의 법적 근거, 실행기관, 전달체계를 정리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3가지로 도출하였다.
      [결론] 첫째,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의 근거가 되는 법제도 강화가 요구된다. 둘째,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 실행기관간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장애인 스포츠안전 정책의 전달체계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증가하는 장애인스포츠 참여를 지속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애인 스포츠안전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정책 및 지원의 재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port safety policies in New Zealand, the USA, and the UK, this study sought to propose sport safety poli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comparative research design in three steps. Policy documents were collected from the websites of institution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the sports safety poli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each country, as well as academic articles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databases. RESULTS The data analysis revealed each country’s legal basis, operating entities, and delivery system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ports safety poli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presented. First, the current legislation system that serves as a foundation for the sports safety policy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a cooperativ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mong various operating entities related to spor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ird, the delivery system of sports safety poli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needs to be diversified. To sustain the growing participation of such individuals in sports, developing sports safety policies and guidelines specific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t the national level is essential.
      번역하기

      PURPOS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port safety policies in New Zealand, the USA, and the UK, this study sought to propose sport safety poli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comparative research design in th...

      PURPOS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port safety policies in New Zealand, the USA, and the UK, this study sought to propose sport safety poli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comparative research design in three steps. Policy documents were collected from the websites of institution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the sports safety poli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each country, as well as academic articles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databases. RESULTS The data analysis revealed each country’s legal basis, operating entities, and delivery system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ports safety poli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presented. First, the current legislation system that serves as a foundation for the sports safety policy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a cooperativ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mong various operating entities related to spor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ird, the delivery system of sports safety poli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needs to be diversified. To sustain the growing participation of such individuals in sports, developing sports safety policies and guidelines specific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t the national level is essentia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