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학생의 공격성과 학교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73291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2009. 8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대구

      • 기타서명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on the Relation between Agg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 형태사항

        iv, 68 p. : 삽도, 챠트 ; 26 cm.

      • 일반주기명

        계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정현희
        부록 : 1, 공격성 척도. - 2, 자기효능감 척도. - 3, 자기통제력 척도. - 4, 학교적응 척도
        참고문헌 : p. 52-58

      • 소장기관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의 공격성과 학교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D중학교 1, 2, 3학년 12학급 남·녀 학생 318명이다. 사용한 측정도구는 공격성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자기통제력 척도, 학교적응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성별, 학년별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공격성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과 학교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은 학교적응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격성과 정의적 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신감과 과제난이도 선호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격성과 정의적 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오늘날의 학교 현장에서 중학생의 공격성으로 인한 학교부적응을 예방하고 효과적인 학교적응을 돕기 위하여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과제난이도 선호를 높이며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는데 관심을 가지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학생의 공격성과 학교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D중학교 1, 2, 3학년 12학급 �...

      본 연구는 중학생의 공격성과 학교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D중학교 1, 2, 3학년 12학급 남·녀 학생 318명이다. 사용한 측정도구는 공격성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자기통제력 척도, 학교적응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성별, 학년별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공격성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과 학교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은 학교적응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격성과 정의적 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신감과 과제난이도 선호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격성과 정의적 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오늘날의 학교 현장에서 중학생의 공격성으로 인한 학교부적응을 예방하고 효과적인 학교적응을 돕기 위하여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과제난이도 선호를 높이며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는데 관심을 가지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on the relation between aggressin and school adjustmen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318 boys and girls students 12 class that were the first-year, second-year and third-year students in D middle schools located in Daegu.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ggression Scale, Self-Efficacy Scale, Self-Control Scale and School Adjustme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14.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distribution by gender and class and Cronbach's α was produced in order to verify reliability of each scale. In addition,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and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ing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in process that aggression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Result of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the agg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was negatively correlation statistically and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was significant positively correlation with school adjustment statistically. Second, there is the moderating effect about of self-confidence and preferred task difficulty about the relation between aggression and emotional adjustment. Third, there is the moderating effect about of self-control about the relation between aggression and emotional adjustment. These results suggest have an interest improving self-confidence, preferred task difficulty, self-control, to prevent school maladjustment by aggression and to help effective school adjustment the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school field nowaday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on the relation between aggressin and school adjustmen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318 boys and girls students 12 cl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on the relation between aggressin and school adjustmen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318 boys and girls students 12 class that were the first-year, second-year and third-year students in D middle schools located in Daegu.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ggression Scale, Self-Efficacy Scale, Self-Control Scale and School Adjustme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14.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distribution by gender and class and Cronbach's α was produced in order to verify reliability of each scale. In addition,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and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ing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in process that aggression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Result of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the agg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was negatively correlation statistically and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was significant positively correlation with school adjustment statistically. Second, there is the moderating effect about of self-confidence and preferred task difficulty about the relation between aggression and emotional adjustment. Third, there is the moderating effect about of self-control about the relation between aggression and emotional adjustment. These results suggest have an interest improving self-confidence, preferred task difficulty, self-control, to prevent school maladjustment by aggression and to help effective school adjustment the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school field nowaday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1
      •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연구 문제 3
      • Ⅱ.이론적 배경 5
      • 1.중학생의 공격성 5
      • Ⅰ.서론 1
      •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연구 문제 3
      • Ⅱ.이론적 배경 5
      • 1.중학생의 공격성 5
      • 2.학교적응의 개념과 하위요인 11
      • 3.자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의 개념과 발달 14
      • 4.공격성과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21
      • Ⅲ.연구방법 28
      • 1.연구대상 28
      • 2.측정도구 28
      • 3.연구절차 32
      • 4.자료처리 32
      • Ⅳ.연구결과 34
      • 1.중학생의 공격성,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과 학교적응간의 상관관계 34
      • 2.중학생의 공격성과 학교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35
      • 3.중학생의 공격성과 학교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42
      • Ⅴ.논의 47
      • Ⅵ.요약, 결론 및 제언 50
      • 참고문헌 52
      • 부록 59
      • 영문초록 65
      • 국문초록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