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로 사유화 현상에서 바라본 베트남 다낭시의 도시공간 특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681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one of the typical public spaces in modern cities, sidewalks serve a chief role in determining the identity of the city. In addition to the functional roles of pedestrian walking and moving, sidewalks connect the city, the culture, and the people. With the enhanced quality of life and the advancement of civilization, the demand for public space in modern cities has increased and there is constant debate over what qualities constitute public space. This is mainly because the meaning and the role of public spaces have changed as the user demand evolved. Also, different countries and regions have their own understanding of what public is, so we need to consider the uniqueness of those regions.
      This work i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how city actors interact with the sidewalks. Instead of renaming or redefining the boundary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ace, the study illustrates the city Danang as an exemplar case where the public and the private both collide and coexist. In doing so, it transcends the dichotomy between public and private, and takes it further to finding that the two seemingly bifurcate qualities can exist together only after they embrace each other. By analyzing Danang’s sidewalk privatization, this study goes beyond the extant understanding of private versus public, and contributes to our knowledge on the Southeast Asian street spaces. Moreover, this work aims to suggest that privatization is not necessarily negative, which differs from the local perspective that it caused reducing the quality of walking environment and crowded city streets.
      To this objective, this study employs four methodologie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 space in Danang: user surveys, in-depth interviews, on-site observations, and digitalization. When conducting interviews and observations, the store owners, visitors, pedestrians were divided into two separate groups of new streets and old streets for more refined comparison.   
      The study finds the unofficial characteristics of ‘melting pot’and ‘change’ within the confinement of official street policy. While it is rightful to specify laws and obligations in case of excessive privatiz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respect the culture and the way local people use space which naturally derived from their lives. In contrast to the previously held view on its negative consequences, the study extends the understanding of the Southeast Asian street space by assessing three positive aspects of sidewalk privatization.
      First, space usage varies as time changes. This flexibility plays asignificant part in extending the relation between public spaces and private. Second, streets in Danang assimilates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streets in that the people let others use the space when they do not use. This is not a selfish behavior, rather it is a sharing-seeking behavior. Third, public and private embrace each other. There is a stipulation that requires users to pay fees and clear white lines are drawn to avoid overt privatization, but the government adjust the fees for the poorer and let the less fortunate store owners exemptas well.
      The privatization of the sidewalks create complex yet diverse street scenery, and also render a space for communication, life sharing, thus further promoting more usage. Only after overcoming the chasm between public and private can the two qualities become meaningful. Furthermore, the privatization of the sidewalks leads to more street usage, which yields more vitality to the city.
      번역하기

      As one of the typical public spaces in modern cities, sidewalks serve a chief role in determining the identity of the city. In addition to the functional roles of pedestrian walking and moving, sidewalks connect the city, the culture, and the people. ...

      As one of the typical public spaces in modern cities, sidewalks serve a chief role in determining the identity of the city. In addition to the functional roles of pedestrian walking and moving, sidewalks connect the city, the culture, and the people. With the enhanced quality of life and the advancement of civilization, the demand for public space in modern cities has increased and there is constant debate over what qualities constitute public space. This is mainly because the meaning and the role of public spaces have changed as the user demand evolved. Also, different countries and regions have their own understanding of what public is, so we need to consider the uniqueness of those regions.
      This work i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how city actors interact with the sidewalks. Instead of renaming or redefining the boundary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ace, the study illustrates the city Danang as an exemplar case where the public and the private both collide and coexist. In doing so, it transcends the dichotomy between public and private, and takes it further to finding that the two seemingly bifurcate qualities can exist together only after they embrace each other. By analyzing Danang’s sidewalk privatization, this study goes beyond the extant understanding of private versus public, and contributes to our knowledge on the Southeast Asian street spaces. Moreover, this work aims to suggest that privatization is not necessarily negative, which differs from the local perspective that it caused reducing the quality of walking environment and crowded city streets.
      To this objective, this study employs four methodologie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 space in Danang: user surveys, in-depth interviews, on-site observations, and digitalization. When conducting interviews and observations, the store owners, visitors, pedestrians were divided into two separate groups of new streets and old streets for more refined comparison.   
      The study finds the unofficial characteristics of ‘melting pot’and ‘change’ within the confinement of official street policy. While it is rightful to specify laws and obligations in case of excessive privatiz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respect the culture and the way local people use space which naturally derived from their lives. In contrast to the previously held view on its negative consequences, the study extends the understanding of the Southeast Asian street space by assessing three positive aspects of sidewalk privatization.
      First, space usage varies as time changes. This flexibility plays asignificant part in extending the relation between public spaces and private. Second, streets in Danang assimilates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streets in that the people let others use the space when they do not use. This is not a selfish behavior, rather it is a sharing-seeking behavior. Third, public and private embrace each other. There is a stipulation that requires users to pay fees and clear white lines are drawn to avoid overt privatization, but the government adjust the fees for the poorer and let the less fortunate store owners exemptas well.
      The privatization of the sidewalks create complex yet diverse street scenery, and also render a space for communication, life sharing, thus further promoting more usage. Only after overcoming the chasm between public and private can the two qualities become meaningful. Furthermore, the privatization of the sidewalks leads to more street usage, which yields more vitality to the c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도시에서 가로는 대표적인 공공공간 중 하나이자 도시의 색과 정체성을 규정할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보행과 이동의 기능적 측면을 넘어 도시와 문화, 사람이 소통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 또한 수행한다. 삶의 질이 높아지고 문명의 발달이 고도화됨에 따라 현대사회의 공공공간에 대한 수요는 다양해지고, 질적 논의와 경계에 대한 담론 또한 지속되고 있다. 이것은 공공성, 공적 공간에 대한 의미와 역할이 사용자의 요구와 시대에 맞추어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나라와 지역마다 공공의 역할과 그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이제 이러한 논의는 공과 사의 양면적 가치에 따라, 지역의 특수성에 맞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공공의 영역 중 일상과 가장 친밀한 가로공간에 대해 다양한 도시 행위자들이 어떤식으로 대응하고 있는지 실증적 분석을 하기 위함이다. 공적·사적 경계 공간을 다시 명명하거나 재정의하기 보다는, 공공과 민간의 충돌, 공존이 가장 극적으로 발생하는 다낭시를 하나의 사례로 관찰하고, 기존 공과 사의 이분법적 논리에서 벗어나 서로의 양면적 가치가 상생할 때 비로소 상호 존립할 수 있다는 태도를 갖는다. 다낭의 사유화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공적·사적 경계에 대한 해석을 다각화하고 동남아시아 가로환경에 대한 의의를 다양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를 찾는다. 또한, 기존 사유화 현상에 대한 보행환경의 질적 저하, 혼잡한 도시경관 양산 등의 현지 부정적 시각 속에서 긍정적 요소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위해 설문조사, 심층인터뷰, 관찰조사, 도면화 총 4가지의 방법으로 가로공간의 특성을 파악한다. 실제 가로를 점유하고 있는 상점 소유주나 방문객, 보행자들의 인터뷰 및 관찰조사를 통해 실제 어떤 식으로 사유화되고 있는지 신가로와 구가로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분석 결과, 공식적인 가로 사용 정책 틀 안에서 ‘혼재’와 ‘변화’라는 비공식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가로를 과도하게 사유화할 때 기준이 되는 법과 규제는 분명 필요하지만, 자연스레 그들의 삶에서 발현되는 공간사용 방식과 외부공간 문화 또한 존중받아야 한다. 과도한 가로 점유로 인한 기존의 부정적 시각 속에서 세 가지 긍정적 측면을 이끌어 내어 동남아시아의 가로환경에 대한 의의를 다양화할 수 있다.
      첫째, 시간대에 따라 가로 공간을 혼용하는 가변적 가로사용의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가변성의 특징은 공공영역과 사적영역의 경계와 관계를 새롭게 확장하고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둘째, 다낭의 가로는 이웃의 사적 상행위를 위해 자신이 이용하지 않는 시간대에 사용하도록 하는 공유가로의 특징을 보인다. 이는 타인에게 나의 공간을 사용하도록 허락하는 행위로 나만 쓰겠다는 이기적 가로 점유가 아닌 공유적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민간과 공공의 공생적 가로사용의 특징을 갖는다. 사용료를 부과하고 흰색 선을 그리는 등의 명확한 가로사용 정책은 무분별하고 과도한 사유화의 방치를 규제하지만, 때때로 정부는 빈곤층이나 수입이 적은 상인들에게 사용료를 감면해주는 등의 적절한 대응과 인도적 규제를 엿볼 수 있다.
      가로를 활발히 쓰는 사유화의 모습은 혼잡하지만 다양한 가로 경관을 양산하고, 동시에 사람들의 상호소통의 장, 일상을 향유하는 공간으로 만듦으로써 가로라는 공공공간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현대의 공공공간에서 논의되는 공과 사의 이분법적 양분은 사라지고, 상호 존립할 때 서로의 양면적 가치가 비로소 실현될 수 있다. 나아가 사유화된 가로문화로 인해 촉진된 가로의 활성화는 도시 활력소의 가능태를 지닌다.
      번역하기

      현대도시에서 가로는 대표적인 공공공간 중 하나이자 도시의 색과 정체성을 규정할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보행과 이동의 기능적 측면을 넘어 도시와 문화, 사람이 소통하는 매개체로서...

      현대도시에서 가로는 대표적인 공공공간 중 하나이자 도시의 색과 정체성을 규정할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보행과 이동의 기능적 측면을 넘어 도시와 문화, 사람이 소통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 또한 수행한다. 삶의 질이 높아지고 문명의 발달이 고도화됨에 따라 현대사회의 공공공간에 대한 수요는 다양해지고, 질적 논의와 경계에 대한 담론 또한 지속되고 있다. 이것은 공공성, 공적 공간에 대한 의미와 역할이 사용자의 요구와 시대에 맞추어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나라와 지역마다 공공의 역할과 그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이제 이러한 논의는 공과 사의 양면적 가치에 따라, 지역의 특수성에 맞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공공의 영역 중 일상과 가장 친밀한 가로공간에 대해 다양한 도시 행위자들이 어떤식으로 대응하고 있는지 실증적 분석을 하기 위함이다. 공적·사적 경계 공간을 다시 명명하거나 재정의하기 보다는, 공공과 민간의 충돌, 공존이 가장 극적으로 발생하는 다낭시를 하나의 사례로 관찰하고, 기존 공과 사의 이분법적 논리에서 벗어나 서로의 양면적 가치가 상생할 때 비로소 상호 존립할 수 있다는 태도를 갖는다. 다낭의 사유화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공적·사적 경계에 대한 해석을 다각화하고 동남아시아 가로환경에 대한 의의를 다양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를 찾는다. 또한, 기존 사유화 현상에 대한 보행환경의 질적 저하, 혼잡한 도시경관 양산 등의 현지 부정적 시각 속에서 긍정적 요소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위해 설문조사, 심층인터뷰, 관찰조사, 도면화 총 4가지의 방법으로 가로공간의 특성을 파악한다. 실제 가로를 점유하고 있는 상점 소유주나 방문객, 보행자들의 인터뷰 및 관찰조사를 통해 실제 어떤 식으로 사유화되고 있는지 신가로와 구가로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분석 결과, 공식적인 가로 사용 정책 틀 안에서 ‘혼재’와 ‘변화’라는 비공식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가로를 과도하게 사유화할 때 기준이 되는 법과 규제는 분명 필요하지만, 자연스레 그들의 삶에서 발현되는 공간사용 방식과 외부공간 문화 또한 존중받아야 한다. 과도한 가로 점유로 인한 기존의 부정적 시각 속에서 세 가지 긍정적 측면을 이끌어 내어 동남아시아의 가로환경에 대한 의의를 다양화할 수 있다.
      첫째, 시간대에 따라 가로 공간을 혼용하는 가변적 가로사용의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가변성의 특징은 공공영역과 사적영역의 경계와 관계를 새롭게 확장하고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둘째, 다낭의 가로는 이웃의 사적 상행위를 위해 자신이 이용하지 않는 시간대에 사용하도록 하는 공유가로의 특징을 보인다. 이는 타인에게 나의 공간을 사용하도록 허락하는 행위로 나만 쓰겠다는 이기적 가로 점유가 아닌 공유적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민간과 공공의 공생적 가로사용의 특징을 갖는다. 사용료를 부과하고 흰색 선을 그리는 등의 명확한 가로사용 정책은 무분별하고 과도한 사유화의 방치를 규제하지만, 때때로 정부는 빈곤층이나 수입이 적은 상인들에게 사용료를 감면해주는 등의 적절한 대응과 인도적 규제를 엿볼 수 있다.
      가로를 활발히 쓰는 사유화의 모습은 혼잡하지만 다양한 가로 경관을 양산하고, 동시에 사람들의 상호소통의 장, 일상을 향유하는 공간으로 만듦으로써 가로라는 공공공간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현대의 공공공간에서 논의되는 공과 사의 이분법적 양분은 사라지고, 상호 존립할 때 서로의 양면적 가치가 비로소 실현될 수 있다. 나아가 사유화된 가로문화로 인해 촉진된 가로의 활성화는 도시 활력소의 가능태를 지닌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연구의 배경
      • 2. 연구의 목적
      •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제1장 서 론
      •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연구의 배경
      • 2. 연구의 목적
      •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1. 연구의 범위
      • 2. 연구의 방법
      • 제2장 도시 공공공간과 사적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
      • 1절 공공공간의 개념 및 역사적 변천
      • 2절 가로, 가로사유화, 공적·사적 가치의 균형
      • 3절 가로의 사용가치, 교환가치
      • 제3장 다낭의 도시적 배경
      • 1절 도시개발과 토지이용
      • 2절 가로문화와 필지형태
      • 1. 다낭의 가로문화
      • 2. 다낭의 필지형태
      • 3절 오토바이와 이동행태
      • 제4장 다낭의 가로 사유화 현상
      • 1절 신가로의 공간적 특성
      • 1. Nguyen Tat Thanh의 가로 사유화
      • 1.1 물리적 특성
      • 1.2 가로 사용자 특성
      • 2. Ton That Dam의 가로 사유화
      • 2.1 물리적 특성
      • 2.2 가로 사용자 특성
      • 3. 소결
      • 2절 구가로의 공간적 특성
      • 1. Bach Dang의 가로 사유화
      • 1.1 물리적 특성
      • 1.2 가로 사용자 특성
      • 2. Hung Vuong의 가로 사유화
      • 2.1 물리적 특성
      • 2.2 가로 사용자 특성
      • 3. 소결
      • 3절 가로 사유화 양상 및 특성
      • 제5장 가로 사유화를 통한 공간이용 특성
      • 1절 가변적 가로 사용
      • 2절 공공가로의 공유가로화
      • 3절 민간과 공공의 공생적 가로 사용
      • 제6장 결 론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설문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