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 The Influence of Public self-consciousness on SNS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231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NS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ll variables of self-consciousness, SNS addiction,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 Second, it was found that after investigating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NS addiction, interpersonal problem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while social anxiety did not. Third, dual mediation effect was significant in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NS addiction. These findings proved that interpersonal problem, social anxiety, and self-consciousness are variables that affect SNS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also clarified that interpersonal problem is a strong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NS addiction.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NS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cor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NS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ll variables of self-consciousness, SNS addiction,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 Second, it was found that after investigating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NS addiction, interpersonal problem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while social anxiety did not. Third, dual mediation effect was significant in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NS addiction. These findings proved that interpersonal problem, social anxiety, and self-consciousness are variables that affect SNS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also clarified that interpersonal problem is a strong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NS addiction.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불안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서울, 경기, 충청지역의 남녀 대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경향성, 사회불안,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주요 변인들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적 자의식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대인관계문제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타인의 시선에서 비춰지는 자신의 모습을 의미 있게 인식하는 경향인 공적 자의식이 SNS 중독경향성, 사회불안, 그리고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적 자의식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회불안은 공적 자의식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는 없었으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주어 간접적으로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불안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서울, 경기, 충청지역의 남녀 대학생 394명을 대상...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불안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서울, 경기, 충청지역의 남녀 대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경향성, 사회불안,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주요 변인들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적 자의식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대인관계문제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타인의 시선에서 비춰지는 자신의 모습을 의미 있게 인식하는 경향인 공적 자의식이 SNS 중독경향성, 사회불안, 그리고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적 자의식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회불안은 공적 자의식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는 없었으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주어 간접적으로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환,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의 타당화: KIIP-C와 KIIP-PD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391-411, 2002

      2 홍상황,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 구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923-940, 2002

      3 이지은, "페이스북 이용과 대인네트워크 변화에 대한 한․미 문화 간 비교 연구: 자아개념과 자기노출, 대인불안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4 (24): 257-281, 2013

      4 이수진, "청소년의 자의식과 정서조절양식이 또래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51-170, 2010

      5 신현숙, "청소년의 자의식 군집에 따른 사회불안, 우울, 기본심리욕구, 삶의 만족도의 차이" 2015 (2015): 436-436, 2015

      6 손희주, "청소년의 외로움과 자기감시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적응의 조절효과" 중앙대학교 2016

      7 김세영, "청소년의 완벽주의 성향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공적자의식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8

      8 권혜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SNS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2016

      9 장지희, "중학생의 스포츠클럽활동 참여에 따른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2015

      10 황희은, "자존감, 사회불안 및 대인관계 지향성이 중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2 (22): 233-253, 2015

      1 김영환,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의 타당화: KIIP-C와 KIIP-PD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391-411, 2002

      2 홍상황,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 구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923-940, 2002

      3 이지은, "페이스북 이용과 대인네트워크 변화에 대한 한․미 문화 간 비교 연구: 자아개념과 자기노출, 대인불안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4 (24): 257-281, 2013

      4 이수진, "청소년의 자의식과 정서조절양식이 또래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51-170, 2010

      5 신현숙, "청소년의 자의식 군집에 따른 사회불안, 우울, 기본심리욕구, 삶의 만족도의 차이" 2015 (2015): 436-436, 2015

      6 손희주, "청소년의 외로움과 자기감시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적응의 조절효과" 중앙대학교 2016

      7 김세영, "청소년의 완벽주의 성향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공적자의식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8

      8 권혜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SNS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2016

      9 장지희, "중학생의 스포츠클럽활동 참여에 따른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2015

      10 황희은, "자존감, 사회불안 및 대인관계 지향성이 중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2 (22): 233-253, 2015

      11 김영아, "자의식의 요인구조 및 정서적 적응상의 특성" 1998 (1998): 197-202, 1998

      12 박성혜, "자의식과 정서지능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3 정미정, "자의식, 자기개념, 비합리적 신념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39-53, 2002

      14 강진화, "자기제시동기 및 자기제시기대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의식의 매개효과 검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5 서인혜, "자기노출과 대인관계성향이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여가활동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2016

      16 정승아, "자기 불일치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자의식의 매개효과와 자기제시 동기의 중재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887-901, 2005

      17 김보경, "애착과 스마트폰 및 SNS 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483-502, 2016

      18 이상호,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55-265, 2013

      19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성인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개발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5

      20 전해옥,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정서와 대인관계 능력이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269-277, 2016

      21 엄민경, "사회불안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성의 조절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22 이혜영, "사회불안이 온라인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23 황정아, "사회불안과 문화적 자기관, 수치심 및 죄책감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24 김향숙, "사회공포증 하위 유형의 기억 편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5 박은희, "사회공포증 집단의 불안통제감과 사회행동 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26 김보경, "독립적-상호의존적 자기관과 사회불안: 공적 자의식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7 이순희, "대학생의 우울, 자아존중감, 대인관계가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보건계열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2781-2793, 2014

      28 김현진, "대학생의 우울 취약성과 자의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277-294, 2004

      29 김종운,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83-299, 2014

      30 박웅기,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SNS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7 (27): 95-125, 2014

      31 이은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와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순천향대학교 2015

      32 이아름,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 : 공적 자의식과 자기비난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33 이강아,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2271-2290, 2013

      34 임민희, "대학생의 SNS 이용동기 및 지각된 상호작용과 사회불안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성차" 건양대학교 2015

      35 김형수, "대학생들의 대인관계지향성과 SNS 몰입 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5 (35): 11-26, 2014

      36 이영은, "내현적․외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30 (30): 63-80, 2016

      37 이경민,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을 매개로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2014

      38 장윤지,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 어려움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2016

      39 박은화, "내현적 자기애 성향, SNS 사용,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2015

      40 강지혜, "남녀 중학생의 대인불안과 자기제시동기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41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42 김미영, "공적 자의식과 대인 불안과의 관계에서 자아 정체성 성취의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 한국상담학회 12 (12): 721-738, 2011

      43 홍지은, "고등학생의 SNS 이용 행태가 자아존중감과 공적 자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33-65, 2013

      44 박정원, "간호대학생의 자의식과 의사소통 불안이 대인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트레스학회 19 (19): 1-10, 2011

      45 Lee, R. J., "Who wants to be"friend-rich"? Social compensatory friending on Facebook and the moderating role of public self-consciousness" 28 : 1036-1043, 2012

      46 Creed, A. T., "The two faces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 self-report, peer-report, and behavioral correlates" 12 : 411-431, 1998

      47 Salehan, M., "Social networking on smartphones : When mobile phones become addictive" 29 (29): 2632-2639, 2013

      48 Ellison, N. B., "Social network sites :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13 (13): 210-230, 2007

      49 Doherty, K., "Self‐consciousness and strategic self‐presentation" 59 (59): 1-18, 1991

      50 Scheier, M. F., "Self-focused attention and the experience of emotion : Attraction, repulsion, elation, and depression" 35 (35): 625-, 1977

      51 Nilly. M, "Self-focused attention and negative affect: A meta-analysis" 128 (128): 638-662, 2002

      52 오윤경,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2

      53 조다현, "SNS중독경향성과 병리적 자기애, 정서 표현성, 친구 지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54 조성현,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8 (18): 239-250, 2013

      55 피승정, "SNS 사용행동에 따른 SNS 중독 가능성,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의 차이"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6 Hart, T. A., "Relation of marital status to social phobia severity" 10 : 28-32, 1999

      57 Fenigstein, A.,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 assessment and theory" 43 (43): 522-527, 1975

      58 Kalkan, M., "Predictiveness of interpersonal cognitive distortions on university students' problematic Internet use" 34 (34): 1305-1308, 2012

      59 Shim, M., "Photograph use on social network sites among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 The role of public and private self consciousness" 11 (11): 489-493, 2008

      60 Leary, M.R., "Personality and persona: personality processes in self-presentation" 79 (79): 1191-1218, 2011

      61 Lalwani, A. K., "Motivated Response Styles : The Role of Cultural Values, Regulatory Focus, and Self-Consciousness in Socially Desirable Responding" 96 (96): 870-882, 2009

      62 Shrout, P. E.,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7 (7): 422-445, 2002

      63 Davila, J., "Is social anxiety associated with impairment in close relationship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33 (33): 427-446, 2002

      64 Kraut, R., "Internet paradox revisited" 58 (58): 49-74, 2002

      65 Nie, N. H., "Internet and society" 3 : 14-19, 2000

      66 Young, K. S., "Internet addiction :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1 (1): 237-244, 1998

      67 Mattick, R. P.,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asures of social phobia scrutiny fear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36 (36): 455-470, 1998

      68 Alden, L. E., "Construction of circumplex scales for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55 (55): 521-536, 1990

      69 Wenzel, A., "Characteristics of close relationships in individuals with social phobia; a preliminary comparison with nonanxious individual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213, 2002

      70 조규영, "B시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6 (26): 166-178, 2014

      71 Vandemark LM, "Awareness of self and expanding consciousness: using nursing theories to prepare nurse-therapists" 27 : 605-615, 2006

      72 Ingram, R. E., "Attentional processes in depressive disorders" 11 (11): 351-360, 1987

      73 Kim, J. H., "An analysis of self-construals, motivations, Facebook use, and user satisfaction" 26 (26): 1077-1099, 2010

      74 Valkenburg, P. M., "Adolescents’ identity experiments on the Internet" 7 (7): 383-402, 2005

      75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년 인터넷 실태조사 최종보고서"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